‘태백부대’를 아시나요?…태백중, 전교생이 학도병

입력 2021.06.24 (23:42) 수정 2021.06.25 (01: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6.25 전쟁 당시 자원 입대한 학도병들은 어리고, 정규군이 아니라는 이유로 대부분 군번도, 계급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태백의 태백중학교 학생들은 다른 학도병들과 달리 군번과 계급을 부여받고 참전했습니다.

하초희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70년의 세월을 머금어 누렇게 빛이 바래버린 흑백사진들.

6.25 전쟁 때 태백중학교 학생 부대원들의 모습입니다.

16살 학도병은 이제 아흔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이용연/태백중학교 학도병 : “내 키가 155cm에요. 그 당시때. 그러니까 총이 땅에 끌리니까 못 들잖아요. 그걸 보던 연대장이 ‘안되겠다’ 부관을 부르더니 ‘총 바꿔줘라’.”]

부대원은 127명.

당시 태백에 살던 남학생들이 자원 입대했습니다.

그리고 단일 학교 학생들로 중대급 부대 하나가 꾸려졌습니다.

전국에서 유일합니다.

다른 학도병들과는 달리, 군번과 이등병 계급을 부여받았습니다.

[이용연/태백중학교 학도병 : “전교생이나 다름없죠. 여학생 빼니까... '내 고향 내가 지킨다'하는 뜻에서 나간 겁니다.”]

육군 3사단 백골부대에 배속돼 양구 가칠봉 전투, 고성 간성 쑥고개 전투 등 격전지를 누볐습니다.

중공군에게 포위된 정규군을 구출하고, 고지를 탈환하기도 했습니다.

[이용연/태백중학교 학도병 : “주목적이 뭐냐면 ‘인민군 나오는 거 생포해라. 그 다음에 적 탄약고 폭파해라.’ 임무를 그런 걸 받았어요.”]

이 과정에서 동창이고, 친구였던 전우 18명을 잃었습니다.

눈 앞에서 떠나보낸 친동생 같았던 전우의 모습은 아직도 가슴에 맺혀 있습니다.

[이용연/태백중학교 학도병 : “형 집에 가면, 울 어머니 아버지한테 나 잘 싸우다 죽었다 이야기해주고, 담배는 우리 아버지 가져다주고 양말은 우리 어머니 가져다 달라... 그 부탁하면서, 눈을 감더라고...”]

태백부대원 127명 가운데 이제 남은 사람은 19명.

태백중학교 후배들은 학교 안에 기념관과 충혼탑을 세우고, 선배들의 호국정신을 기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초희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태백부대’를 아시나요?…태백중, 전교생이 학도병
    • 입력 2021-06-24 23:42:12
    • 수정2021-06-25 01:47:59
    뉴스9(강릉)
[앵커]

6.25 전쟁 당시 자원 입대한 학도병들은 어리고, 정규군이 아니라는 이유로 대부분 군번도, 계급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태백의 태백중학교 학생들은 다른 학도병들과 달리 군번과 계급을 부여받고 참전했습니다.

하초희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70년의 세월을 머금어 누렇게 빛이 바래버린 흑백사진들.

6.25 전쟁 때 태백중학교 학생 부대원들의 모습입니다.

16살 학도병은 이제 아흔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이용연/태백중학교 학도병 : “내 키가 155cm에요. 그 당시때. 그러니까 총이 땅에 끌리니까 못 들잖아요. 그걸 보던 연대장이 ‘안되겠다’ 부관을 부르더니 ‘총 바꿔줘라’.”]

부대원은 127명.

당시 태백에 살던 남학생들이 자원 입대했습니다.

그리고 단일 학교 학생들로 중대급 부대 하나가 꾸려졌습니다.

전국에서 유일합니다.

다른 학도병들과는 달리, 군번과 이등병 계급을 부여받았습니다.

[이용연/태백중학교 학도병 : “전교생이나 다름없죠. 여학생 빼니까... '내 고향 내가 지킨다'하는 뜻에서 나간 겁니다.”]

육군 3사단 백골부대에 배속돼 양구 가칠봉 전투, 고성 간성 쑥고개 전투 등 격전지를 누볐습니다.

중공군에게 포위된 정규군을 구출하고, 고지를 탈환하기도 했습니다.

[이용연/태백중학교 학도병 : “주목적이 뭐냐면 ‘인민군 나오는 거 생포해라. 그 다음에 적 탄약고 폭파해라.’ 임무를 그런 걸 받았어요.”]

이 과정에서 동창이고, 친구였던 전우 18명을 잃었습니다.

눈 앞에서 떠나보낸 친동생 같았던 전우의 모습은 아직도 가슴에 맺혀 있습니다.

[이용연/태백중학교 학도병 : “형 집에 가면, 울 어머니 아버지한테 나 잘 싸우다 죽었다 이야기해주고, 담배는 우리 아버지 가져다주고 양말은 우리 어머니 가져다 달라... 그 부탁하면서, 눈을 감더라고...”]

태백부대원 127명 가운데 이제 남은 사람은 19명.

태백중학교 후배들은 학교 안에 기념관과 충혼탑을 세우고, 선배들의 호국정신을 기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하초희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강릉-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