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전 국제자유도시 핵심가치 “환경”

입력 2021.06.28 (21:36) 수정 2021.06.28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주도가 앞으로 10년간 추진할 핵심사업을 담아내는 제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안을 두고 제주의 가치가 빠지고 내용이 부실하다며 비판의 목소리가 많았는데요,

KBS가 20년 전 제주국제자유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해외 전문기관이 분석한 타당성 연구 조사 결과를 입수했습니다.

당시, 용역진은 제주의 미래비전과 경쟁력을 어디에 뒀을까요?

강인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999년 김대중 정부 당시, 건설교통부와 제주도가 미국 존스 랭 라살 (Jones Lang Lasalle)사에 의뢰해 진행한 '제주 국제자유도시 타당성 연구용역' 보고서입니다.

300쪽에 달하는 보고서를 통해 연구진이 제시한 '3가지 핵심사항'은 바로 '관광'과 '교육', 그리고 '1차 산업'입니다.

관광은 기존 기반시설을 통합 이용하고 항공기 노선 확대 등을 통해 명소가 되도록 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교육과 관련 해선 인적 자원 개발위한 투자와 국제 연구 기관 유치 등을 꼽았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1차 산업의 강조.

토지 개혁과 수확 개선, 새로운 품종 도입으로 효율성을 높이면 동북아 최대 고부가가치 1차 산업 생산지역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그런데 연구진이 가장 방점을 둔 건, '환경'이었습니다.

관광과 교육, 1차 산업을 구현하며 "대규모 도시 개발은 필요하지 않고, 제주도의 자연 자원을 위협할 필요도 없다"고 명시했습니다.

그러면서 "제주도의 환경은 제주국제자유도시 조성에 있어 가장 훌륭한 자산"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당시 연구진은 제주도민의 정체성과 전통 문화를 보존하면서 주민들의 권리와 이익을 극대화하는 걸 국제자유도시 개발계획 수립의 목적으로 제시했습니다.

특히, 부동산 자문 업체인 이 용역사는 서귀포항 재개발과 해양공원 설립, 자유무역지역 조성 등 개발 사업을 제안하면서도 국제자유도시의 부작용으로 20여년 뒤인 지금 제주의 모습을 정확히 예측했습니다.

부동산과 물가 상승, 외지 자본 주도의 개발로 도민의 소외감이 발생하고, 대규모 시설 건설과 인적 교류로 환경적 역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짚은 겁니다.

[이상봉/도의회 행정자치위원장 : "투자처를 모집하는 속에서 환경을 파헤치고 지금도 대규모 개발사업장들이 정체된 곳들이 많은 것들은 그만큼 환경과 개발의 조화가 힘든 부분이고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로(남았습니다.)"]

이번 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안이 제시된 이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 것으로 꼽히는 게 1차산업과 환경, 그리고 도민의 삶이었습니다.

공교롭게도 20년 전 타당성 연구에선 핵심가치로 꼽혔던 내용이었는데 당시 연구진에는 이번 3차 계획안을 수립한 국토연구원도 참여했습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그래픽:서경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년 전 국제자유도시 핵심가치 “환경”
    • 입력 2021-06-28 21:36:45
    • 수정2021-06-28 22:02:27
    뉴스9(제주)
[앵커]

제주도가 앞으로 10년간 추진할 핵심사업을 담아내는 제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안을 두고 제주의 가치가 빠지고 내용이 부실하다며 비판의 목소리가 많았는데요,

KBS가 20년 전 제주국제자유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해외 전문기관이 분석한 타당성 연구 조사 결과를 입수했습니다.

당시, 용역진은 제주의 미래비전과 경쟁력을 어디에 뒀을까요?

강인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999년 김대중 정부 당시, 건설교통부와 제주도가 미국 존스 랭 라살 (Jones Lang Lasalle)사에 의뢰해 진행한 '제주 국제자유도시 타당성 연구용역' 보고서입니다.

300쪽에 달하는 보고서를 통해 연구진이 제시한 '3가지 핵심사항'은 바로 '관광'과 '교육', 그리고 '1차 산업'입니다.

관광은 기존 기반시설을 통합 이용하고 항공기 노선 확대 등을 통해 명소가 되도록 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교육과 관련 해선 인적 자원 개발위한 투자와 국제 연구 기관 유치 등을 꼽았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1차 산업의 강조.

토지 개혁과 수확 개선, 새로운 품종 도입으로 효율성을 높이면 동북아 최대 고부가가치 1차 산업 생산지역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그런데 연구진이 가장 방점을 둔 건, '환경'이었습니다.

관광과 교육, 1차 산업을 구현하며 "대규모 도시 개발은 필요하지 않고, 제주도의 자연 자원을 위협할 필요도 없다"고 명시했습니다.

그러면서 "제주도의 환경은 제주국제자유도시 조성에 있어 가장 훌륭한 자산"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당시 연구진은 제주도민의 정체성과 전통 문화를 보존하면서 주민들의 권리와 이익을 극대화하는 걸 국제자유도시 개발계획 수립의 목적으로 제시했습니다.

특히, 부동산 자문 업체인 이 용역사는 서귀포항 재개발과 해양공원 설립, 자유무역지역 조성 등 개발 사업을 제안하면서도 국제자유도시의 부작용으로 20여년 뒤인 지금 제주의 모습을 정확히 예측했습니다.

부동산과 물가 상승, 외지 자본 주도의 개발로 도민의 소외감이 발생하고, 대규모 시설 건설과 인적 교류로 환경적 역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짚은 겁니다.

[이상봉/도의회 행정자치위원장 : "투자처를 모집하는 속에서 환경을 파헤치고 지금도 대규모 개발사업장들이 정체된 곳들이 많은 것들은 그만큼 환경과 개발의 조화가 힘든 부분이고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로(남았습니다.)"]

이번 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안이 제시된 이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 것으로 꼽히는 게 1차산업과 환경, 그리고 도민의 삶이었습니다.

공교롭게도 20년 전 타당성 연구에선 핵심가치로 꼽혔던 내용이었는데 당시 연구진에는 이번 3차 계획안을 수립한 국토연구원도 참여했습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고진현/그래픽:서경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