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하면 갈 곳 없는 특수학교 학생들…“가족 짐 나눠야”

입력 2021.07.01 (21:49) 수정 2021.07.01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특수학교에 대한 연속기획 보도, 장거리 통학과 과밀 문제에 이어, 오늘은 평생 고민해야 되는 '돌봄 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

학교를 졸업하고 나면 공적 돌봄 서비스가 대폭 축소되다보니 성인이 된 장애인을 돌보는 책임은 오롯이 가족들의 몫이 되고 있습니다.

홍정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바리스타 실습이 한창인 특수학교의 전공과.

고등학교를 졸업한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이 직업 교육을 받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의무교육이 아니다보니, 장애 정도가 심한 특수학교 졸업생들은 능력 평가로 진행되는 입학 시험을 통과하지 못합니다.

[특수학교 재학생 부모 : "전공과를 진학하지 못하면 각자 알아서 주간보호센터나 이런 데 (보내야 해서) 저희로서는 굉장히 속상한 일이거든요."]

실제로 대전지역 특수학교 졸업생의 전공과나 대학 진학율은 61% 수준으로, 소수의 취업자를 제외하면 40% 가량은 더 이상 공교육을 받을 기회가 없습니다.

누군가의 돌봄이 필요한 발달 장애인의 경우, 학교 울타리 안에서 보내는 2년의 전공과정이 절실한 이윱니다.

결국 학교 밖으로 나온 장애인들을 돌보는 것은 가족의 몫.

복지관이나 활동보조인 서비스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시간 제한이 있고 장애가 심할 경우 오히려 혜택을 보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족들까지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등 건강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채철기/성인 발달장애인 가족 : "우리도 똑같은 사람이니까, 아무리 잘 대 처한다 하더라도 그 받는 스트레스 같은 것을 좀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수요자별 맞춤형 복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동기/목원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발달장애인의 특성과 그 가족들의 돌봄에 필요한 시간에 맞게끔 최대한 서비스 급여 량을 늘려나가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특히 국가책임제가 도입된 '치매'처럼, 발달장애인 본인과 가족들이 받는 고통과 부담을 정부가 해결해주는 보다 적극적인 정책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졸업하면 갈 곳 없는 특수학교 학생들…“가족 짐 나눠야”
    • 입력 2021-07-01 21:49:50
    • 수정2021-07-01 22:07:54
    뉴스9(대전)
[앵커]

특수학교에 대한 연속기획 보도, 장거리 통학과 과밀 문제에 이어, 오늘은 평생 고민해야 되는 '돌봄 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

학교를 졸업하고 나면 공적 돌봄 서비스가 대폭 축소되다보니 성인이 된 장애인을 돌보는 책임은 오롯이 가족들의 몫이 되고 있습니다.

홍정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바리스타 실습이 한창인 특수학교의 전공과.

고등학교를 졸업한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이 직업 교육을 받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의무교육이 아니다보니, 장애 정도가 심한 특수학교 졸업생들은 능력 평가로 진행되는 입학 시험을 통과하지 못합니다.

[특수학교 재학생 부모 : "전공과를 진학하지 못하면 각자 알아서 주간보호센터나 이런 데 (보내야 해서) 저희로서는 굉장히 속상한 일이거든요."]

실제로 대전지역 특수학교 졸업생의 전공과나 대학 진학율은 61% 수준으로, 소수의 취업자를 제외하면 40% 가량은 더 이상 공교육을 받을 기회가 없습니다.

누군가의 돌봄이 필요한 발달 장애인의 경우, 학교 울타리 안에서 보내는 2년의 전공과정이 절실한 이윱니다.

결국 학교 밖으로 나온 장애인들을 돌보는 것은 가족의 몫.

복지관이나 활동보조인 서비스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시간 제한이 있고 장애가 심할 경우 오히려 혜택을 보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족들까지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등 건강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채철기/성인 발달장애인 가족 : "우리도 똑같은 사람이니까, 아무리 잘 대 처한다 하더라도 그 받는 스트레스 같은 것을 좀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수요자별 맞춤형 복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동기/목원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발달장애인의 특성과 그 가족들의 돌봄에 필요한 시간에 맞게끔 최대한 서비스 급여 량을 늘려나가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특히 국가책임제가 도입된 '치매'처럼, 발달장애인 본인과 가족들이 받는 고통과 부담을 정부가 해결해주는 보다 적극적인 정책이 요구됩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촬영기자:강욱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