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만보(步)’는 미신? “7~8천보면 충분해”

입력 2021.07.09 (06: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게티이미지출처=게티이미지

"1일 1만보 (步)운동"

걸음 측정기인 이른바 '만보계'를 처음으로 만들어 판매한 것으로 알려진 일본 제조업체의 1965년 신문 광고 문구입니다.

당시 신문 광고 (아래 사진)는 이 회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여전히 공개돼 있습니다.

출처=야마사 홈페이지(http://www.yamasa-tokei.co.jp/top_category/article_pedometer_first.html)출처=야마사 홈페이지(http://www.yamasa-tokei.co.jp/top_category/article_pedometer_first.html)

광고 문구나 슬로건 자체는 '범국민 건강 운동' 처럼 들리지만, 사실 걸음 측정기의 대명사 처럼 된 '만보계'의 탄생 배경은 이렇습니다.

일본에서는 1964년 도쿄 올림픽이 끝난 뒤,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에 편승해 이익을 보려는 업체가 '만보계'라는 걸음 계측기를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왜 하루에 성인이 '만보'를 걸어야만 하는걸까요? 스포츠·헬스 관련 전문가들은 만보계에서 1만을 뜻하는 '만'(万) 자가 사람이 걷는 모습과 흡사해 판매촉진 차원에서 만보 걷기를 '홍보'했을 뿐 특별한 과학적 의미는 없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학적으로는 하루 얼마나 걷는 것이 가장 도움이 될까.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나름의 분석 기사를 현지시간 8일 홈페이지 등에 올렸습니다.

NYT는 우선 해설기사 (아래 사진)를 통해 하루 1만보 목표는 일본에서 유래한 미신에 가깝다고 평가했습니다. 한마디로 근거 없는 수치라는 것.

출처=뉴욕타임즈 홈페이지출처=뉴욕타임즈 홈페이지

NYT는 걷기의 건강증진 효과를 분석한 기존 연구를 인용해 실제 최적점은 1만보보다 훨씬 적은 수준에서 형성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미 하버드대 보건대학원의 2019년 논문에 따르면 하루 4천400보를 걷는 70대 여성은 2천700보 이하를 걷는 같은 연령대 여성보다 조기사망 위험이 40% 정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 대상자 중 5천보 이상을 걷는 이들의 조기사망 위험은 계속 떨어졌으나, 그 건강증진 추세는 7천500보 정도가 정점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만보까지 걷는다고 해서 건강 이익이 계속 증가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조사 결과인 셈입니다.

미국 의학협회 저널 네트워크(JAMA Network)에 2020년 3월 게재된 더 광범위한 논문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찾을수 있습니다.

NYT 보도에 따르면 이 연구의 결론은 하루 1만보는 장수의 조건이 아니라는 것이고, 당시 의미있는 결론은 8천보 정도를 걷는 사람이 4천보를 걷는 사람보다 심장질환 등으로 일찍 죽을 위험이 절반으로 떨어진다는 점이었습니다.

NYT는 아울러 미국, 캐나다를 비롯한 서구 국가에서 대다수 성인들의 하루 걷기량이 5천보 미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1만보' 라는 과도한 목표가 오히려 걷기 운동의 의욕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리 박사(영문명 I-Min Lee)는 미국을 비롯한 다수 국가 정부에서 공식 권고하는 육체 활동량이 하루 30분 정도라며, 이를 걸음으로 환산하면 하루 2천∼3천보 정도라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리 박사는 아울러 대형 마트 등에서 쇼핑이나 집안일 등으로 일반 성인이 매일 총 5천보 정도를 걷는 까닭에 하루에 2천∼3천보(1.6∼2.4㎞) 정도를 더 걷는다면 최적점으로 여겨지는 하루 7천∼8천보를 채울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출처=야마사 홈페이지출처=야마사 홈페이지

55년도 더 된 '만보계'의 비이성적인 신화를 이젠 떨쳐버릴수 있을까요.

요즘은 스마트 폰과 스마트 와치 등이 모두 걸음의 숫자(혹은 거리, 심박수)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것을 감안하면, 각자에게 맞는 최적의 걷기 운동이 언제든 가능해진 셈입니다. 결국 모든 것은 마음 먹기에 달렸다는 뜻이겠지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일 1만보(步)’는 미신? “7~8천보면 충분해”
    • 입력 2021-07-09 06:02:13
    취재K
출처=게티이미지
"1일 1만보 (步)운동"

걸음 측정기인 이른바 '만보계'를 처음으로 만들어 판매한 것으로 알려진 일본 제조업체의 1965년 신문 광고 문구입니다.

당시 신문 광고 (아래 사진)는 이 회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여전히 공개돼 있습니다.

출처=야마사 홈페이지(http://www.yamasa-tokei.co.jp/top_category/article_pedometer_first.html)
광고 문구나 슬로건 자체는 '범국민 건강 운동' 처럼 들리지만, 사실 걸음 측정기의 대명사 처럼 된 '만보계'의 탄생 배경은 이렇습니다.

일본에서는 1964년 도쿄 올림픽이 끝난 뒤,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에 편승해 이익을 보려는 업체가 '만보계'라는 걸음 계측기를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왜 하루에 성인이 '만보'를 걸어야만 하는걸까요? 스포츠·헬스 관련 전문가들은 만보계에서 1만을 뜻하는 '만'(万) 자가 사람이 걷는 모습과 흡사해 판매촉진 차원에서 만보 걷기를 '홍보'했을 뿐 특별한 과학적 의미는 없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학적으로는 하루 얼마나 걷는 것이 가장 도움이 될까.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나름의 분석 기사를 현지시간 8일 홈페이지 등에 올렸습니다.

NYT는 우선 해설기사 (아래 사진)를 통해 하루 1만보 목표는 일본에서 유래한 미신에 가깝다고 평가했습니다. 한마디로 근거 없는 수치라는 것.

출처=뉴욕타임즈 홈페이지
NYT는 걷기의 건강증진 효과를 분석한 기존 연구를 인용해 실제 최적점은 1만보보다 훨씬 적은 수준에서 형성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미 하버드대 보건대학원의 2019년 논문에 따르면 하루 4천400보를 걷는 70대 여성은 2천700보 이하를 걷는 같은 연령대 여성보다 조기사망 위험이 40% 정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사 대상자 중 5천보 이상을 걷는 이들의 조기사망 위험은 계속 떨어졌으나, 그 건강증진 추세는 7천500보 정도가 정점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만보까지 걷는다고 해서 건강 이익이 계속 증가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조사 결과인 셈입니다.

미국 의학협회 저널 네트워크(JAMA Network)에 2020년 3월 게재된 더 광범위한 논문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찾을수 있습니다.

NYT 보도에 따르면 이 연구의 결론은 하루 1만보는 장수의 조건이 아니라는 것이고, 당시 의미있는 결론은 8천보 정도를 걷는 사람이 4천보를 걷는 사람보다 심장질환 등으로 일찍 죽을 위험이 절반으로 떨어진다는 점이었습니다.

NYT는 아울러 미국, 캐나다를 비롯한 서구 국가에서 대다수 성인들의 하루 걷기량이 5천보 미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1만보' 라는 과도한 목표가 오히려 걷기 운동의 의욕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리 박사(영문명 I-Min Lee)는 미국을 비롯한 다수 국가 정부에서 공식 권고하는 육체 활동량이 하루 30분 정도라며, 이를 걸음으로 환산하면 하루 2천∼3천보 정도라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리 박사는 아울러 대형 마트 등에서 쇼핑이나 집안일 등으로 일반 성인이 매일 총 5천보 정도를 걷는 까닭에 하루에 2천∼3천보(1.6∼2.4㎞) 정도를 더 걷는다면 최적점으로 여겨지는 하루 7천∼8천보를 채울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출처=야마사 홈페이지
55년도 더 된 '만보계'의 비이성적인 신화를 이젠 떨쳐버릴수 있을까요.

요즘은 스마트 폰과 스마트 와치 등이 모두 걸음의 숫자(혹은 거리, 심박수)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것을 감안하면, 각자에게 맞는 최적의 걷기 운동이 언제든 가능해진 셈입니다. 결국 모든 것은 마음 먹기에 달렸다는 뜻이겠지요.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