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에서 대형 화장실 흔적 발견…‘현대식 정화시설’까지 갖춰
입력 2021.07.09 (09:54)
수정 2021.07.09 (10: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조선 시대 화장실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악취가 진동하는 비위생적인 공간을 떠올리기 쉽지만, 놀랍게도 지금의 화장실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경복궁에서 150년 전 대형 화장실 유적이 발견됐는데, 화장실 터를 자세히 분석해 봤더니 현대식 정화시설까지 갖췄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1868년, 흥선대원군이 왕실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중건한 경복궁.
세자와 세자빈이 머물렀던 동궁전도 당시 함께 완공됐습니다.
이 동궁 권역 내 남쪽 지역에서 대형 화장실의 흔적이 발견됐습니다.
길이 10.4m, 깊이 1.8m의 좁고 긴 네모꼴 석조 구덩이 형태로, 이 위에 4칸에서 5칸가량의 화장실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한 번에 최대 10명, 하루 150여 명이 사용한 규모입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이 이용할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정화시설.
입수구를 통해 정화시설 내부로 물이 들어와 오물을 바닥으로 가라앉히고, 오물과 섞여 더러워진 물은 새로 유입된 물과 함께 출수구 두 곳으로 빠져나가는 현대식 정화조와도 매우 유사한 구조입니다.
[오동선/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연구사 : "물하고 변들이 섞이면서 부식이 좀 빨리 진행되고 악취도 상당히 줄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정화시설 내 토양에서는 g당 만 8천 여 건의 기생충 알, 오이와 가지, 들깨 씨앗 등이 검출됐는데, 이곳이 화장실이었다는 증거일 뿐 아니라 오물이 밖으로 넘치지 않았다는 사실도 보여 줍니다.
[오동선/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연구사 : "외부에서 채취한 토양에서는 기생충 알이 한 점도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주변으로 쌓인 변들이 넘치거나 이런 상황이 아니었고."]
궁궐 내부에서 화장실 흔적이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특히 정화시설은 당시 유럽에서도 사용되지 않은 최신 시스템이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입니다.
[이장훈/한국생활악취연구소 소장 : "(서양은) 물을 이용해서 (분뇨를) 버리는 문화였습니다. 이렇게 버리지 않고 모아서 처리하는 시스템을 갖춘 곳은 여기가 처음..."]
문화재청은 경복궁 내 또 다른 곳에서 이런 대형 화장실 흔적이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발굴 조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조승연/영상편집:김기곤/그래픽:이근희
조선 시대 화장실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악취가 진동하는 비위생적인 공간을 떠올리기 쉽지만, 놀랍게도 지금의 화장실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경복궁에서 150년 전 대형 화장실 유적이 발견됐는데, 화장실 터를 자세히 분석해 봤더니 현대식 정화시설까지 갖췄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1868년, 흥선대원군이 왕실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중건한 경복궁.
세자와 세자빈이 머물렀던 동궁전도 당시 함께 완공됐습니다.
이 동궁 권역 내 남쪽 지역에서 대형 화장실의 흔적이 발견됐습니다.
길이 10.4m, 깊이 1.8m의 좁고 긴 네모꼴 석조 구덩이 형태로, 이 위에 4칸에서 5칸가량의 화장실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한 번에 최대 10명, 하루 150여 명이 사용한 규모입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이 이용할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정화시설.
입수구를 통해 정화시설 내부로 물이 들어와 오물을 바닥으로 가라앉히고, 오물과 섞여 더러워진 물은 새로 유입된 물과 함께 출수구 두 곳으로 빠져나가는 현대식 정화조와도 매우 유사한 구조입니다.
[오동선/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연구사 : "물하고 변들이 섞이면서 부식이 좀 빨리 진행되고 악취도 상당히 줄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정화시설 내 토양에서는 g당 만 8천 여 건의 기생충 알, 오이와 가지, 들깨 씨앗 등이 검출됐는데, 이곳이 화장실이었다는 증거일 뿐 아니라 오물이 밖으로 넘치지 않았다는 사실도 보여 줍니다.
[오동선/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연구사 : "외부에서 채취한 토양에서는 기생충 알이 한 점도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주변으로 쌓인 변들이 넘치거나 이런 상황이 아니었고."]
궁궐 내부에서 화장실 흔적이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특히 정화시설은 당시 유럽에서도 사용되지 않은 최신 시스템이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입니다.
[이장훈/한국생활악취연구소 소장 : "(서양은) 물을 이용해서 (분뇨를) 버리는 문화였습니다. 이렇게 버리지 않고 모아서 처리하는 시스템을 갖춘 곳은 여기가 처음..."]
문화재청은 경복궁 내 또 다른 곳에서 이런 대형 화장실 흔적이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발굴 조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조승연/영상편집:김기곤/그래픽:이근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복궁에서 대형 화장실 흔적 발견…‘현대식 정화시설’까지 갖춰
-
- 입력 2021-07-09 09:54:50
- 수정2021-07-09 10:00:48
[앵커]
조선 시대 화장실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악취가 진동하는 비위생적인 공간을 떠올리기 쉽지만, 놀랍게도 지금의 화장실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경복궁에서 150년 전 대형 화장실 유적이 발견됐는데, 화장실 터를 자세히 분석해 봤더니 현대식 정화시설까지 갖췄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1868년, 흥선대원군이 왕실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중건한 경복궁.
세자와 세자빈이 머물렀던 동궁전도 당시 함께 완공됐습니다.
이 동궁 권역 내 남쪽 지역에서 대형 화장실의 흔적이 발견됐습니다.
길이 10.4m, 깊이 1.8m의 좁고 긴 네모꼴 석조 구덩이 형태로, 이 위에 4칸에서 5칸가량의 화장실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한 번에 최대 10명, 하루 150여 명이 사용한 규모입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이 이용할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정화시설.
입수구를 통해 정화시설 내부로 물이 들어와 오물을 바닥으로 가라앉히고, 오물과 섞여 더러워진 물은 새로 유입된 물과 함께 출수구 두 곳으로 빠져나가는 현대식 정화조와도 매우 유사한 구조입니다.
[오동선/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연구사 : "물하고 변들이 섞이면서 부식이 좀 빨리 진행되고 악취도 상당히 줄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정화시설 내 토양에서는 g당 만 8천 여 건의 기생충 알, 오이와 가지, 들깨 씨앗 등이 검출됐는데, 이곳이 화장실이었다는 증거일 뿐 아니라 오물이 밖으로 넘치지 않았다는 사실도 보여 줍니다.
[오동선/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연구사 : "외부에서 채취한 토양에서는 기생충 알이 한 점도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주변으로 쌓인 변들이 넘치거나 이런 상황이 아니었고."]
궁궐 내부에서 화장실 흔적이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특히 정화시설은 당시 유럽에서도 사용되지 않은 최신 시스템이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입니다.
[이장훈/한국생활악취연구소 소장 : "(서양은) 물을 이용해서 (분뇨를) 버리는 문화였습니다. 이렇게 버리지 않고 모아서 처리하는 시스템을 갖춘 곳은 여기가 처음..."]
문화재청은 경복궁 내 또 다른 곳에서 이런 대형 화장실 흔적이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발굴 조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조승연/영상편집:김기곤/그래픽:이근희
조선 시대 화장실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악취가 진동하는 비위생적인 공간을 떠올리기 쉽지만, 놀랍게도 지금의 화장실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경복궁에서 150년 전 대형 화장실 유적이 발견됐는데, 화장실 터를 자세히 분석해 봤더니 현대식 정화시설까지 갖췄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연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1868년, 흥선대원군이 왕실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중건한 경복궁.
세자와 세자빈이 머물렀던 동궁전도 당시 함께 완공됐습니다.
이 동궁 권역 내 남쪽 지역에서 대형 화장실의 흔적이 발견됐습니다.
길이 10.4m, 깊이 1.8m의 좁고 긴 네모꼴 석조 구덩이 형태로, 이 위에 4칸에서 5칸가량의 화장실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한 번에 최대 10명, 하루 150여 명이 사용한 규모입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이 이용할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정화시설.
입수구를 통해 정화시설 내부로 물이 들어와 오물을 바닥으로 가라앉히고, 오물과 섞여 더러워진 물은 새로 유입된 물과 함께 출수구 두 곳으로 빠져나가는 현대식 정화조와도 매우 유사한 구조입니다.
[오동선/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연구사 : "물하고 변들이 섞이면서 부식이 좀 빨리 진행되고 악취도 상당히 줄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정화시설 내 토양에서는 g당 만 8천 여 건의 기생충 알, 오이와 가지, 들깨 씨앗 등이 검출됐는데, 이곳이 화장실이었다는 증거일 뿐 아니라 오물이 밖으로 넘치지 않았다는 사실도 보여 줍니다.
[오동선/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연구사 : "외부에서 채취한 토양에서는 기생충 알이 한 점도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주변으로 쌓인 변들이 넘치거나 이런 상황이 아니었고."]
궁궐 내부에서 화장실 흔적이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특히 정화시설은 당시 유럽에서도 사용되지 않은 최신 시스템이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입니다.
[이장훈/한국생활악취연구소 소장 : "(서양은) 물을 이용해서 (분뇨를) 버리는 문화였습니다. 이렇게 버리지 않고 모아서 처리하는 시스템을 갖춘 곳은 여기가 처음..."]
문화재청은 경복궁 내 또 다른 곳에서 이런 대형 화장실 흔적이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발굴 조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조승연/영상편집:김기곤/그래픽:이근희
-
-
정연욱 기자 donkey@kbs.co.kr
정연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