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다시 확인된 군함도 ‘역사 왜곡’…日, 전향적 조치 취해야
입력 2021.07.13 (07:50)
수정 2021.07.13 (07: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환주 해설위원
일제강점기 강제징용하면 떠오르는 곳 일본의 하시마섬, 일명 군함도입니다.
조선인 수백 명이 천 미터 깊이의 해저 탄광에서 강제노역에 시달리다 백 20여 명이 숨진 곳입니다.
2015년 이 군함도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유네스코는 일본 정부에 대해 이런 강제노동의 역사를 제대로 알리라는 조건을 달았습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시종일관 외면해 왔습니다.
군함도 현장을 실사해온 국제 기구가 이런 일본의 행태를 '역사 왜곡'으로 결론짓고 시정을 요구했습니다.
문화유산 등재 당시 일본 정부는 두 가지를 약속했습니다.
1940년대 수많은 한국인이 자기 의사에 반해 동원됐고 가혹한 상황에서 강제노역한 사실을 알리겠다, 또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를 취하겠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군함도에서는 강제노역은 사라진 채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는 자화자찬만 요란했습니다.
지난해 문을 연 산업유산 정보센터에는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는커녕, 강제노역을 물타기 하는 자료까지 버젓이 전시됐습니다.
일본은 문화유산 등재 이후 2년마다 제출하는 이행 경과 보고서에서도 약속했던 후속조치를 누락시켰습니다.
심지어 스가총리는 관방장관 시절,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다고까지 강변했습니다.
세계유산위원회가 채택할 예정인 결정문에는 일본의 약속 미이행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는 이례적인 고강도 표현이 포함돼있습니다.
또 강제노역 사실과 징용 정책을 알 수 있게 조치하라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세계유산위원회 결정문이 공식 채택되면 일본은 내년 말까지 관련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나라 안팎의 빗발치는 비판에도 요지부동인 일본 정부에겐 강한 압박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분명한 건 역사를 왜곡하는 현장이 세계인의 문화유산으로 기억될 수는 없다는 사실입니다.
이웃 나라와의 관계개선 역시 과거를 직시하는 전향적인 조치가 있을 때 가능할 것입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일제강점기 강제징용하면 떠오르는 곳 일본의 하시마섬, 일명 군함도입니다.
조선인 수백 명이 천 미터 깊이의 해저 탄광에서 강제노역에 시달리다 백 20여 명이 숨진 곳입니다.
2015년 이 군함도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유네스코는 일본 정부에 대해 이런 강제노동의 역사를 제대로 알리라는 조건을 달았습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시종일관 외면해 왔습니다.
군함도 현장을 실사해온 국제 기구가 이런 일본의 행태를 '역사 왜곡'으로 결론짓고 시정을 요구했습니다.
문화유산 등재 당시 일본 정부는 두 가지를 약속했습니다.
1940년대 수많은 한국인이 자기 의사에 반해 동원됐고 가혹한 상황에서 강제노역한 사실을 알리겠다, 또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를 취하겠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군함도에서는 강제노역은 사라진 채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는 자화자찬만 요란했습니다.
지난해 문을 연 산업유산 정보센터에는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는커녕, 강제노역을 물타기 하는 자료까지 버젓이 전시됐습니다.
일본은 문화유산 등재 이후 2년마다 제출하는 이행 경과 보고서에서도 약속했던 후속조치를 누락시켰습니다.
심지어 스가총리는 관방장관 시절,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다고까지 강변했습니다.
세계유산위원회가 채택할 예정인 결정문에는 일본의 약속 미이행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는 이례적인 고강도 표현이 포함돼있습니다.
또 강제노역 사실과 징용 정책을 알 수 있게 조치하라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세계유산위원회 결정문이 공식 채택되면 일본은 내년 말까지 관련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나라 안팎의 빗발치는 비판에도 요지부동인 일본 정부에겐 강한 압박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분명한 건 역사를 왜곡하는 현장이 세계인의 문화유산으로 기억될 수는 없다는 사실입니다.
이웃 나라와의 관계개선 역시 과거를 직시하는 전향적인 조치가 있을 때 가능할 것입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다시 확인된 군함도 ‘역사 왜곡’…日, 전향적 조치 취해야
-
- 입력 2021-07-13 07:50:41
- 수정2021-07-13 07:55:47
김환주 해설위원
일제강점기 강제징용하면 떠오르는 곳 일본의 하시마섬, 일명 군함도입니다.
조선인 수백 명이 천 미터 깊이의 해저 탄광에서 강제노역에 시달리다 백 20여 명이 숨진 곳입니다.
2015년 이 군함도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유네스코는 일본 정부에 대해 이런 강제노동의 역사를 제대로 알리라는 조건을 달았습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시종일관 외면해 왔습니다.
군함도 현장을 실사해온 국제 기구가 이런 일본의 행태를 '역사 왜곡'으로 결론짓고 시정을 요구했습니다.
문화유산 등재 당시 일본 정부는 두 가지를 약속했습니다.
1940년대 수많은 한국인이 자기 의사에 반해 동원됐고 가혹한 상황에서 강제노역한 사실을 알리겠다, 또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를 취하겠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군함도에서는 강제노역은 사라진 채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는 자화자찬만 요란했습니다.
지난해 문을 연 산업유산 정보센터에는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는커녕, 강제노역을 물타기 하는 자료까지 버젓이 전시됐습니다.
일본은 문화유산 등재 이후 2년마다 제출하는 이행 경과 보고서에서도 약속했던 후속조치를 누락시켰습니다.
심지어 스가총리는 관방장관 시절,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다고까지 강변했습니다.
세계유산위원회가 채택할 예정인 결정문에는 일본의 약속 미이행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는 이례적인 고강도 표현이 포함돼있습니다.
또 강제노역 사실과 징용 정책을 알 수 있게 조치하라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세계유산위원회 결정문이 공식 채택되면 일본은 내년 말까지 관련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나라 안팎의 빗발치는 비판에도 요지부동인 일본 정부에겐 강한 압박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분명한 건 역사를 왜곡하는 현장이 세계인의 문화유산으로 기억될 수는 없다는 사실입니다.
이웃 나라와의 관계개선 역시 과거를 직시하는 전향적인 조치가 있을 때 가능할 것입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일제강점기 강제징용하면 떠오르는 곳 일본의 하시마섬, 일명 군함도입니다.
조선인 수백 명이 천 미터 깊이의 해저 탄광에서 강제노역에 시달리다 백 20여 명이 숨진 곳입니다.
2015년 이 군함도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유네스코는 일본 정부에 대해 이런 강제노동의 역사를 제대로 알리라는 조건을 달았습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시종일관 외면해 왔습니다.
군함도 현장을 실사해온 국제 기구가 이런 일본의 행태를 '역사 왜곡'으로 결론짓고 시정을 요구했습니다.
문화유산 등재 당시 일본 정부는 두 가지를 약속했습니다.
1940년대 수많은 한국인이 자기 의사에 반해 동원됐고 가혹한 상황에서 강제노역한 사실을 알리겠다, 또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를 취하겠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군함도에서는 강제노역은 사라진 채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는 자화자찬만 요란했습니다.
지난해 문을 연 산업유산 정보센터에는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는커녕, 강제노역을 물타기 하는 자료까지 버젓이 전시됐습니다.
일본은 문화유산 등재 이후 2년마다 제출하는 이행 경과 보고서에서도 약속했던 후속조치를 누락시켰습니다.
심지어 스가총리는 관방장관 시절,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다고까지 강변했습니다.
세계유산위원회가 채택할 예정인 결정문에는 일본의 약속 미이행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는 이례적인 고강도 표현이 포함돼있습니다.
또 강제노역 사실과 징용 정책을 알 수 있게 조치하라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세계유산위원회 결정문이 공식 채택되면 일본은 내년 말까지 관련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나라 안팎의 빗발치는 비판에도 요지부동인 일본 정부에겐 강한 압박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분명한 건 역사를 왜곡하는 현장이 세계인의 문화유산으로 기억될 수는 없다는 사실입니다.
이웃 나라와의 관계개선 역시 과거를 직시하는 전향적인 조치가 있을 때 가능할 것입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
김환주 기자 towndrum@kbs.co.kr
김환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