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백화점 183차례 확진…이대로 괜찮은가?
입력 2021.07.14 (14:59)
수정 2021.07.14 (17: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서울 시내 백화점에서 연달아 코로나19 확진자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얼마 전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에 이어 롯데백화점 영등포점과 강남 갤러리아 백화점 그리고 오늘(14일)은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물건을 사러, 식사하러 백화점을 방문하는 시민들뿐 아니라 그곳에서 일하는 직원들도 매일 불안한 하루를 보내고 있는 요즘입니다.
지금까지 백화점은 다중이용시설 가운데 정부 방역 지침에서 사실상 제외돼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자체적으로 방역 기준을 강화하거나 완화하며 유동적으로 대응해왔습니다. 그렇다 보니 확진자가 발생할 때마다 백화점마다, 매장마다 대응 방식이 달랐는데요. 이 때문에 근로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 "지난해 2월부터 전국 백화점에서 183차례 코로나 문제 불거져"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동조합은 어제 기자회견을 열고 "백화점들이 이윤 추구를 위해 고객과 직원을 사람으로 보지 않고 오로지 매출로만 보는 갑질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자료 제공 :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동조합]
그러면서 지금까지 취합된 자료에 근거해 "지난해 2월부터 이번 달 12일까지 최소 183차례 걸쳐 직원 또는 고객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백화점이 짧게는 몇 시간 일찍 폐점하거나 며칠에 걸쳐 휴점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상황에서도 백화점은 주말 영업, 연장 영업을 버젓이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백화점이 일터인 직원들에게는 코로나19 확진 관련 정보를 제대로 공유하지 않거나 협력업체 직원들에게는 공지조차 하지 않아 긴급재난문자나 뉴스를 보고 알게 된 경우까지 있었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또 "백화점 측에 문의해도 '개인정보를 이유로 몇 층, 어디 매장에서 확진자가 발생했는지 알려주지 않아 구청 등에서 공개한 확진자 동선을 확인해 자신이 일하는 매장에 확진자가 다녀갔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경우도 존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노조는 "지난 17일에도 스타필드 고양점에 확진자 다녀갔지만, 직원들에게 공지하지 않았다"면서 "고용노동부 지침에 따르면 사업장 내 코로나 확진 환자가 발생하면 그 사실을 즉시 사업장에서 노무를 제공하는 모든 사람에게 알려야 한다고 명시돼 있고 여러 차례 문제를 제기했지만, 여전히 상황은 바뀌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습니다.
■ 3명 발생한 갤러리아는 그 매장만, 1명 발생한 현대백화점은 그 층 전체 닫아
또 방역 기준이나 영업 재개 기준이 백화점마다 다른 것도 문제로 지적됐습니다.
어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서울 강남 갤러리아 백화점은 특정 매장만 임시 휴무 조치했지만, 서울 여의도 더현대서울은 지하 2층을 모두 폐쇄했습니다.
과거 사례들을 보면 짧게는 당일 바로 영업을 개시하거나 몇 시간만 일찍 문을 닫은 곳도 있고 다음 날 정상적으로 영업을 한 곳도 있는가 하면 며칠을 휴점한 곳도 있었습니다. 또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한 날 휴점한 걸 그달의 정기휴점일로 대체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정확한 방역 기준 없이 백화점마다 자체적인 판단에 따라 대응하기 때문인데 직원들은 이런 부분이 근로자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 교통의 요지에 있는 유동인구 많은 다중이용시설 '백화점' … 통일된 방역 원칙과 기준 '없음'
전국 백화점 대부분이 교통이 편한 곳, 해당 지역 시내에 있다 보니 백화점을 방문하는 고객 외에도 그곳을 지나치는 유동인구도 대단히 많습니다.
식사하거나 음료를 마실 수 있는 매장도 많습니다. 그래서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같은 다중이용시설은 감염 위험성도 높고 방역이나 역학조사를 하기도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지금까지 백화점은 식당이니 카페 등 매장별로만 출입자를 확인했습니다. 서울 삼성동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확진자를 둘러싸고 일대 혼란이 있었던 것도 사실 정확한 출입자가 파악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인구 이동 속도도 빠르고 인구 밀도도 높은 곳"이라며 "'방역의 취약 지역, 사각지대'이기 때문에 특별한 규정을 통해서 좀 더 코로나 환자 발생을 막으려는 조치들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김 교수는 "수도권에 폭발적으로 코로나 확진자가 나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4단계로 상향해 여러 다중이용시설 이용 인원을 제한하고 있는 상황에서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같은 거대한 다중이용시설을 예외로 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고객과 직원, 나아가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인원 수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지침보다 강력한 선제 대응 조치" … "QR코드·안심콜까지 도입"
백화점들은 공통적으로 "지금까지도 지침보다 강력한 선제 대응 조치를 해왔다"고 답변했습니다. 또 "코로나 거리두기 단계가 4단계로 격상됐을 때도 운영 중인 문화센터나 아카데미 등을 자발적으로 2주 동안 휴강 조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입구에 이미 열 감지기를 설치했고 음료나 식사를 하는 매장에선 점포별로 QR코드를 이용한 출입 명부도 작성하고 있다"고 입을 모아 설명했습니다.
다만, "코로나 확진자가 나왔다고 해서 입점 매장에 휴무 조치를 강제할 순 없고 업장마다 공지 방식도 조금씩 다른 것 같다"면서 "권고만 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또 "방문 고객뿐 아니라 백화점을 거쳐 이동하는 유동 인구도 많아서 모든 사람들의 출입 기록을 남기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도 털어놨습니다.
특히 백화점 대부분이 교통 요지 또는 시내에 있는 만큼 "백화점 입구, 주차장 입구에서 QR코드 또는 안심콜이나 수기 방명록 등을 운영할 경우 일대 교통이 마비되는 등 불편을 끼칠 수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 격이기는 합니다만 최근 120명의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한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의 경우, 다시 문을 연 어제부터 QR코드와 안심콜 서비스를 이용한 출입명부 기록을 시작했습니다. 영업 시작 시간부터 정오까지 꽤 많은 고객이 백화점을 찾았고 입장 전 QR코드 인증을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는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현대백화점 측은 "해당 시스템 운영을 위해 QR코드 체크인 기계는 1대당 50만 원 정도, 안심콜은 전화 1건당 5원 정도의 비용이 든다"고 설명했습니다. 신세계백화점도 QR코드 도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국 백화점 183차례 확진…이대로 괜찮은가?
-
- 입력 2021-07-14 14:59:04
- 수정2021-07-14 17:45:04
최근 서울 시내 백화점에서 연달아 코로나19 확진자가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얼마 전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에 이어 롯데백화점 영등포점과 강남 갤러리아 백화점 그리고 오늘(14일)은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물건을 사러, 식사하러 백화점을 방문하는 시민들뿐 아니라 그곳에서 일하는 직원들도 매일 불안한 하루를 보내고 있는 요즘입니다.
지금까지 백화점은 다중이용시설 가운데 정부 방역 지침에서 사실상 제외돼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자체적으로 방역 기준을 강화하거나 완화하며 유동적으로 대응해왔습니다. 그렇다 보니 확진자가 발생할 때마다 백화점마다, 매장마다 대응 방식이 달랐는데요. 이 때문에 근로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 "지난해 2월부터 전국 백화점에서 183차례 코로나 문제 불거져"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동조합은 어제 기자회견을 열고 "백화점들이 이윤 추구를 위해 고객과 직원을 사람으로 보지 않고 오로지 매출로만 보는 갑질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취합된 자료에 근거해 "지난해 2월부터 이번 달 12일까지 최소 183차례 걸쳐 직원 또는 고객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백화점이 짧게는 몇 시간 일찍 폐점하거나 며칠에 걸쳐 휴점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상황에서도 백화점은 주말 영업, 연장 영업을 버젓이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백화점이 일터인 직원들에게는 코로나19 확진 관련 정보를 제대로 공유하지 않거나 협력업체 직원들에게는 공지조차 하지 않아 긴급재난문자나 뉴스를 보고 알게 된 경우까지 있었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또 "백화점 측에 문의해도 '개인정보를 이유로 몇 층, 어디 매장에서 확진자가 발생했는지 알려주지 않아 구청 등에서 공개한 확진자 동선을 확인해 자신이 일하는 매장에 확진자가 다녀갔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경우도 존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노조는 "지난 17일에도 스타필드 고양점에 확진자 다녀갔지만, 직원들에게 공지하지 않았다"면서 "고용노동부 지침에 따르면 사업장 내 코로나 확진 환자가 발생하면 그 사실을 즉시 사업장에서 노무를 제공하는 모든 사람에게 알려야 한다고 명시돼 있고 여러 차례 문제를 제기했지만, 여전히 상황은 바뀌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습니다.
■ 3명 발생한 갤러리아는 그 매장만, 1명 발생한 현대백화점은 그 층 전체 닫아
또 방역 기준이나 영업 재개 기준이 백화점마다 다른 것도 문제로 지적됐습니다.
어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서울 강남 갤러리아 백화점은 특정 매장만 임시 휴무 조치했지만, 서울 여의도 더현대서울은 지하 2층을 모두 폐쇄했습니다.
과거 사례들을 보면 짧게는 당일 바로 영업을 개시하거나 몇 시간만 일찍 문을 닫은 곳도 있고 다음 날 정상적으로 영업을 한 곳도 있는가 하면 며칠을 휴점한 곳도 있었습니다. 또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한 날 휴점한 걸 그달의 정기휴점일로 대체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정확한 방역 기준 없이 백화점마다 자체적인 판단에 따라 대응하기 때문인데 직원들은 이런 부분이 근로자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 교통의 요지에 있는 유동인구 많은 다중이용시설 '백화점' … 통일된 방역 원칙과 기준 '없음'
전국 백화점 대부분이 교통이 편한 곳, 해당 지역 시내에 있다 보니 백화점을 방문하는 고객 외에도 그곳을 지나치는 유동인구도 대단히 많습니다.
식사하거나 음료를 마실 수 있는 매장도 많습니다. 그래서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같은 다중이용시설은 감염 위험성도 높고 방역이나 역학조사를 하기도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지금까지 백화점은 식당이니 카페 등 매장별로만 출입자를 확인했습니다. 서울 삼성동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확진자를 둘러싸고 일대 혼란이 있었던 것도 사실 정확한 출입자가 파악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인구 이동 속도도 빠르고 인구 밀도도 높은 곳"이라며 "'방역의 취약 지역, 사각지대'이기 때문에 특별한 규정을 통해서 좀 더 코로나 환자 발생을 막으려는 조치들이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김 교수는 "수도권에 폭발적으로 코로나 확진자가 나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4단계로 상향해 여러 다중이용시설 이용 인원을 제한하고 있는 상황에서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같은 거대한 다중이용시설을 예외로 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고객과 직원, 나아가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인원 수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지침보다 강력한 선제 대응 조치" … "QR코드·안심콜까지 도입"
백화점들은 공통적으로 "지금까지도 지침보다 강력한 선제 대응 조치를 해왔다"고 답변했습니다. 또 "코로나 거리두기 단계가 4단계로 격상됐을 때도 운영 중인 문화센터나 아카데미 등을 자발적으로 2주 동안 휴강 조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입구에 이미 열 감지기를 설치했고 음료나 식사를 하는 매장에선 점포별로 QR코드를 이용한 출입 명부도 작성하고 있다"고 입을 모아 설명했습니다.
다만, "코로나 확진자가 나왔다고 해서 입점 매장에 휴무 조치를 강제할 순 없고 업장마다 공지 방식도 조금씩 다른 것 같다"면서 "권고만 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또 "방문 고객뿐 아니라 백화점을 거쳐 이동하는 유동 인구도 많아서 모든 사람들의 출입 기록을 남기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도 털어놨습니다.
특히 백화점 대부분이 교통 요지 또는 시내에 있는 만큼 "백화점 입구, 주차장 입구에서 QR코드 또는 안심콜이나 수기 방명록 등을 운영할 경우 일대 교통이 마비되는 등 불편을 끼칠 수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 격이기는 합니다만 최근 120명의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한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의 경우, 다시 문을 연 어제부터 QR코드와 안심콜 서비스를 이용한 출입명부 기록을 시작했습니다. 영업 시작 시간부터 정오까지 꽤 많은 고객이 백화점을 찾았고 입장 전 QR코드 인증을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는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현대백화점 측은 "해당 시스템 운영을 위해 QR코드 체크인 기계는 1대당 50만 원 정도, 안심콜은 전화 1건당 5원 정도의 비용이 든다"고 설명했습니다. 신세계백화점도 QR코드 도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
-
박민경 기자 pmg@kbs.co.kr
박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