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일본 위안부 부인, 정의와 양심 우롱하는 후안무치”

입력 2021.07.15 (16:45) 수정 2021.07.15 (16: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일본이 국제무대에서 위안부 강제 모집을 부인했다면서 “정의와 인류 양심에 대한 우롱이자 도전”이라고 비난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오늘(15일) ‘일본군 성노예 범죄는 시효가 없는 전쟁범죄이다’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유엔인권이사회 제47차 회의에서 일본 대표가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일본군이 위안부를 강제 모집하였다는 것은 꾸며낸 이야기라고 강변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가장 잔인한 현대판 성노예 제도를 실시하고 그 죄상이 만천하에 까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국제무대에서까지 부인하는 것은 과거 범죄의 법적 도덕적 책임에서 벗어나 보려는 후안무치한 짓”이라고 비난했습니다.

이어 “길 가던 여성, 논밭에서 일하던 여성, 우물가에 물길러 나왔던 여성, 지어 어머니의 치마폭에 숨어있거나 뜨락에서 소꿉놀이를 하던 어린 소녀에 이르기까지 무려 20만 명에 달하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인간 사냥’의 대상이 되었다”면서 위안부는 역사적 사실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전쟁범죄는 반드시 처벌되어야 하며 특히 여성에 대한 성폭력은 시효가 없는 전쟁범죄라는 사실을 일본은 알아야 한다”고 강조하며 “증거가 명백하고 부인할 수 없는 엄중한 죄행을 회피하려 할 것이 아니라 과거 일본이 저지른 전대미문의 범죄에 대하여 죄책감을 가지고 진심으로 사죄하여야 하며 과거를 똑똑히 청산하여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달 28일 유엔 인권이사회 제47차 회의에서는 한국과 중국 대표들이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일제 위안부 문제를 언급했습니다.

한국 측 대표는 “피해자에게 오명을 씌우고 일을 저지른 사람을 법적 제재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은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로, 고통을 가중한다”라면서 사과를 촉구했고, 중국 측 대표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피해국 국민의 인권에 대한 심각한 침해로, 반드시 정의와 양심의 규탄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일본 위안부 부인, 정의와 양심 우롱하는 후안무치”
    • 입력 2021-07-15 16:45:09
    • 수정2021-07-15 16:49:00
    정치
북한이 일본이 국제무대에서 위안부 강제 모집을 부인했다면서 “정의와 인류 양심에 대한 우롱이자 도전”이라고 비난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오늘(15일) ‘일본군 성노예 범죄는 시효가 없는 전쟁범죄이다’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유엔인권이사회 제47차 회의에서 일본 대표가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일본군이 위안부를 강제 모집하였다는 것은 꾸며낸 이야기라고 강변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가장 잔인한 현대판 성노예 제도를 실시하고 그 죄상이 만천하에 까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국제무대에서까지 부인하는 것은 과거 범죄의 법적 도덕적 책임에서 벗어나 보려는 후안무치한 짓”이라고 비난했습니다.

이어 “길 가던 여성, 논밭에서 일하던 여성, 우물가에 물길러 나왔던 여성, 지어 어머니의 치마폭에 숨어있거나 뜨락에서 소꿉놀이를 하던 어린 소녀에 이르기까지 무려 20만 명에 달하는 우리나라 여성들이 ‘인간 사냥’의 대상이 되었다”면서 위안부는 역사적 사실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전쟁범죄는 반드시 처벌되어야 하며 특히 여성에 대한 성폭력은 시효가 없는 전쟁범죄라는 사실을 일본은 알아야 한다”고 강조하며 “증거가 명백하고 부인할 수 없는 엄중한 죄행을 회피하려 할 것이 아니라 과거 일본이 저지른 전대미문의 범죄에 대하여 죄책감을 가지고 진심으로 사죄하여야 하며 과거를 똑똑히 청산하여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달 28일 유엔 인권이사회 제47차 회의에서는 한국과 중국 대표들이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일제 위안부 문제를 언급했습니다.

한국 측 대표는 “피해자에게 오명을 씌우고 일을 저지른 사람을 법적 제재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은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로, 고통을 가중한다”라면서 사과를 촉구했고, 중국 측 대표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피해국 국민의 인권에 대한 심각한 침해로, 반드시 정의와 양심의 규탄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