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의 목소리를 기억하라”…日 강제징용자 육성 증언 공개

입력 2021.07.16 (21:12) 수정 2021.07.16 (21: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유네스코가 일본의 군함도 전시관 역사왜곡에 강한 유감을 밝히며, 강제 동원 역사를 제대로 알릴 것을 촉구했다는 사실 얼마전 전해드렸는데요.

유네스코의 관련 결정문 채택을 앞두고 당시 강제 동원 피해자들의 육성 증언이 공개됐습니다.

​박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벽면을 채운 모니터, 영상마다 백발의 노인들이 말을 합니다.

일제시대 강제동원 피해자들입니다.

손용암 씨는 사복 형사에게 끌려간 날이 수십 년이 지나도록 생생히 기억납니다.

[손용암/日 다카시마 탄광 강제동원 피해자 : "(사복 형사가) 오라 해서 가니까 웬 여관을 들어가라고 해요. 방에 보니깐 한 6~7명인가 와있더라고요."]

이들이 목적지도 모르고 도착한 곳, 일본 각지의 탄광과 조선소였습니다.

고 최장섭 씨는 이 가운데 일명 '군함도'로 알려진 하시마 탄광으로 갔습니다.

밥 대신 깻묵을 먹으며 중노동을 해야 했습니다.

[고 최장섭/日 하시마 탄광 강제동원 피해자 : "숙소는 제일 하층에 질퍽질퍽한데. 바닥이. 일본놈들은 고층에 이렇게 해서"]

목숨을 걸고 일했지만, 아무도 월급을 제대로 받지 못했습니다.

[손성춘/日 미이케 제련소 강제동원 피해자 : "돈 돌려준다고도 안 하고 한 달 되면 오라고 해요. 도장 갖고 도장 찍고 이 돈은 월급은 집으로 보낸다."]

강제동원 노동자들은 고국에서도 생활고에 시달렸습니다.

[김승은/민족문제연구소 학예실장 : "가장 그 사회의 하층민으로 삽니다. 식민지에서 살 때도 학교를 못 다녔고 내가 학교 다닐 나이에 동원됐었고, 돌아와서도 내가 학교를 다닐 수 없었고 다시 한국 전쟁이 터졌고..."]

일본은 2015년 군함도 등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때 강제동원 사실을 알리겠다고 공언했지만, 지난해 개관한 정보센터에서는 쏙 뺐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오늘부터 44차 회의를 열고, 일본 정부에 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결정문을 채택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김진환/영상편집:차정남

[앵커]

"오늘 나 혼자 나와서, 눈물이 많이 납니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손해를 배상하라는 2018년 대법원 확정판결 뒤 원고 중 유일한 생존자였던 이춘식 할아버지가 한 말입니다.

이 할아버지는 판결 뒤 한일 관계가 나빠졌을 때도 "나 때문에 국민들이 피해 보는 것 같다"며 걱정이 끊이지 않았는데요.

그런 할아버지 앞으로 한 고등학생이 편지를 보냈습니다.

할아버지 곁엔 우리가 있으니 죄송하다 하실 필요가 없다는 내용입니다.

할아버지는 이 편지를 받고도 또 눈물을 흘렸는데요.

그건, 외로움과 걱정의 눈물이 아니라 감사와 기쁨의 눈물이었을 겁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피해자의 목소리를 기억하라”…日 강제징용자 육성 증언 공개
    • 입력 2021-07-16 21:12:19
    • 수정2021-07-16 21:34:34
    뉴스 9
[앵커]

유네스코가 일본의 군함도 전시관 역사왜곡에 강한 유감을 밝히며, 강제 동원 역사를 제대로 알릴 것을 촉구했다는 사실 얼마전 전해드렸는데요.

유네스코의 관련 결정문 채택을 앞두고 당시 강제 동원 피해자들의 육성 증언이 공개됐습니다.

​박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벽면을 채운 모니터, 영상마다 백발의 노인들이 말을 합니다.

일제시대 강제동원 피해자들입니다.

손용암 씨는 사복 형사에게 끌려간 날이 수십 년이 지나도록 생생히 기억납니다.

[손용암/日 다카시마 탄광 강제동원 피해자 : "(사복 형사가) 오라 해서 가니까 웬 여관을 들어가라고 해요. 방에 보니깐 한 6~7명인가 와있더라고요."]

이들이 목적지도 모르고 도착한 곳, 일본 각지의 탄광과 조선소였습니다.

고 최장섭 씨는 이 가운데 일명 '군함도'로 알려진 하시마 탄광으로 갔습니다.

밥 대신 깻묵을 먹으며 중노동을 해야 했습니다.

[고 최장섭/日 하시마 탄광 강제동원 피해자 : "숙소는 제일 하층에 질퍽질퍽한데. 바닥이. 일본놈들은 고층에 이렇게 해서"]

목숨을 걸고 일했지만, 아무도 월급을 제대로 받지 못했습니다.

[손성춘/日 미이케 제련소 강제동원 피해자 : "돈 돌려준다고도 안 하고 한 달 되면 오라고 해요. 도장 갖고 도장 찍고 이 돈은 월급은 집으로 보낸다."]

강제동원 노동자들은 고국에서도 생활고에 시달렸습니다.

[김승은/민족문제연구소 학예실장 : "가장 그 사회의 하층민으로 삽니다. 식민지에서 살 때도 학교를 못 다녔고 내가 학교 다닐 나이에 동원됐었고, 돌아와서도 내가 학교를 다닐 수 없었고 다시 한국 전쟁이 터졌고..."]

일본은 2015년 군함도 등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때 강제동원 사실을 알리겠다고 공언했지만, 지난해 개관한 정보센터에서는 쏙 뺐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오늘부터 44차 회의를 열고, 일본 정부에 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결정문을 채택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김진환/영상편집:차정남

[앵커]

"오늘 나 혼자 나와서, 눈물이 많이 납니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손해를 배상하라는 2018년 대법원 확정판결 뒤 원고 중 유일한 생존자였던 이춘식 할아버지가 한 말입니다.

이 할아버지는 판결 뒤 한일 관계가 나빠졌을 때도 "나 때문에 국민들이 피해 보는 것 같다"며 걱정이 끊이지 않았는데요.

그런 할아버지 앞으로 한 고등학생이 편지를 보냈습니다.

할아버지 곁엔 우리가 있으니 죄송하다 하실 필요가 없다는 내용입니다.

할아버지는 이 편지를 받고도 또 눈물을 흘렸는데요.

그건, 외로움과 걱정의 눈물이 아니라 감사와 기쁨의 눈물이었을 겁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