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생산·소비 동반상승…4차 유행은 아직 미반영
입력 2021.07.30 (17:15)
수정 2021.07.30 (17: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달 소비 지수가 한 달 만에 반등에 성공하고, 생산 지표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다만 7월 들어 시작된 코로나19 4차 유행은 아직 반영되지 않은 결과라, 향후 전망은 어느 때보다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전산업생산은 5월보다 1.6% 상승했습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증가했는데, 특히 제조업의 경우 2% 넘게 늘며, 석 달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습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 생산이 8% 이상 증가했고, 자동차와 전기장비도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대출과 주식 거래 증가로 금융-보험이 3.2% 늘었고, 도소매업의 생산도 1.6% 증가했습니다.
소비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 판매액 지수는 전달보다 1.4% 증가하며, 한 달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하절기 의류판매가 늘면서 의복을 비롯한 준내구재의 판매가 6% 가까이 증가했고, 코로나 백신 접종으로 의약품 등 비내구재 판매도 1% 증가했습니다.
[어운선/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 "대부분 주요 지표들이 호조를 보이면서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는,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통계청은 6월 지표는 호조세였지만, 7월 들어 시작된 코로나19 4차 유행으로 향후 불확실성은 커졌다고 설명했습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도 7월 들어 소비자심리지수와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가 모두 하락했다며, 코로나19 확산이 하반기 경제 운용에 큰 위험 요인이 될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정부는 소비자와 기업 심리 위축 등으로 특히 내수부문의 영향이 우려된다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황보현평/그래픽:김지훈
지난달 소비 지수가 한 달 만에 반등에 성공하고, 생산 지표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다만 7월 들어 시작된 코로나19 4차 유행은 아직 반영되지 않은 결과라, 향후 전망은 어느 때보다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전산업생산은 5월보다 1.6% 상승했습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증가했는데, 특히 제조업의 경우 2% 넘게 늘며, 석 달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습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 생산이 8% 이상 증가했고, 자동차와 전기장비도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대출과 주식 거래 증가로 금융-보험이 3.2% 늘었고, 도소매업의 생산도 1.6% 증가했습니다.
소비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 판매액 지수는 전달보다 1.4% 증가하며, 한 달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하절기 의류판매가 늘면서 의복을 비롯한 준내구재의 판매가 6% 가까이 증가했고, 코로나 백신 접종으로 의약품 등 비내구재 판매도 1% 증가했습니다.
[어운선/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 "대부분 주요 지표들이 호조를 보이면서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는,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통계청은 6월 지표는 호조세였지만, 7월 들어 시작된 코로나19 4차 유행으로 향후 불확실성은 커졌다고 설명했습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도 7월 들어 소비자심리지수와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가 모두 하락했다며, 코로나19 확산이 하반기 경제 운용에 큰 위험 요인이 될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정부는 소비자와 기업 심리 위축 등으로 특히 내수부문의 영향이 우려된다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황보현평/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6월 생산·소비 동반상승…4차 유행은 아직 미반영
-
- 입력 2021-07-30 17:15:20
- 수정2021-07-30 17:28:11

[앵커]
지난달 소비 지수가 한 달 만에 반등에 성공하고, 생산 지표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다만 7월 들어 시작된 코로나19 4차 유행은 아직 반영되지 않은 결과라, 향후 전망은 어느 때보다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전산업생산은 5월보다 1.6% 상승했습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증가했는데, 특히 제조업의 경우 2% 넘게 늘며, 석 달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습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 생산이 8% 이상 증가했고, 자동차와 전기장비도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대출과 주식 거래 증가로 금융-보험이 3.2% 늘었고, 도소매업의 생산도 1.6% 증가했습니다.
소비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 판매액 지수는 전달보다 1.4% 증가하며, 한 달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하절기 의류판매가 늘면서 의복을 비롯한 준내구재의 판매가 6% 가까이 증가했고, 코로나 백신 접종으로 의약품 등 비내구재 판매도 1% 증가했습니다.
[어운선/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 "대부분 주요 지표들이 호조를 보이면서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는,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통계청은 6월 지표는 호조세였지만, 7월 들어 시작된 코로나19 4차 유행으로 향후 불확실성은 커졌다고 설명했습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도 7월 들어 소비자심리지수와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가 모두 하락했다며, 코로나19 확산이 하반기 경제 운용에 큰 위험 요인이 될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정부는 소비자와 기업 심리 위축 등으로 특히 내수부문의 영향이 우려된다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황보현평/그래픽:김지훈
지난달 소비 지수가 한 달 만에 반등에 성공하고, 생산 지표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다만 7월 들어 시작된 코로나19 4차 유행은 아직 반영되지 않은 결과라, 향후 전망은 어느 때보다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이승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달 전산업생산은 5월보다 1.6% 상승했습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증가했는데, 특히 제조업의 경우 2% 넘게 늘며, 석 달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습니다.
업종별로는 반도체 생산이 8% 이상 증가했고, 자동차와 전기장비도 호조세를 보였습니다.
대출과 주식 거래 증가로 금융-보험이 3.2% 늘었고, 도소매업의 생산도 1.6% 증가했습니다.
소비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 판매액 지수는 전달보다 1.4% 증가하며, 한 달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하절기 의류판매가 늘면서 의복을 비롯한 준내구재의 판매가 6% 가까이 증가했고, 코로나 백신 접종으로 의약품 등 비내구재 판매도 1% 증가했습니다.
[어운선/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 "대부분 주요 지표들이 호조를 보이면서 경기 회복세가 지속되는,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통계청은 6월 지표는 호조세였지만, 7월 들어 시작된 코로나19 4차 유행으로 향후 불확실성은 커졌다고 설명했습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도 7월 들어 소비자심리지수와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가 모두 하락했다며, 코로나19 확산이 하반기 경제 운용에 큰 위험 요인이 될 거라고 전망했습니다.
정부는 소비자와 기업 심리 위축 등으로 특히 내수부문의 영향이 우려된다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황보현평/그래픽:김지훈
-
-
이승훈 기자 hun21@kbs.co.kr
이승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