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초고령화’ 문턱의 대한민국…돌봄·일자리 해법 찾아야

입력 2021.08.03 (07:44) 수정 2021.08.03 (07: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재환 해설위원

경북 내륙 도시 군위군입니다.

연령별 인구를 봤더니 15살 미만의 유소년 1명당 65살 이상 노인의 비율이 8명꼴입니다.

5년마다 시행하는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 65살 이상 노인 인구는 처음으로 8백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갈수록 아기 울음소리를 듣기 어려운 저출산 대한민국이 이제 고령화 사회를 넘어 65살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가 넘는 초고령사회 문턱에 성큼 다가섰습니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65살 이상 노인 인구는 821만 명, 전체의 16.4%입니다.

노인 인구 비율은 5년 사이 3% 포인트 이상, 30년 전보다는 무려 3배가 높아진 수칩니다.

국민 6명 가운데 1명이 노인이라는 것인데, 고령화가 저출산의 영향으로 정부가 예측한 증가 속도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7백만 명에 가까운 이른바 베이비부머 세대가 속속 고령층으로 들어서고 있는 것도 고령화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일할 인구가 줄어 성장 동력은 떨어지는데, 부양해야 할 사람이 급속히 늘어나 여러 사회 경제적 문제가 불가피해진 겁니다.

한 국제신용평가기관이 최근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하향 조정한 이유도 급격한 인구 고령화 때문이었습니다.

특히, 홀로 사는 1인 노인 가구의 빠른 증가세가 큰 부담입니다.

노인 5명 가운데 1명이 배우자나 자녀도 없이 홀로 살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80살 이상 1인 가구는 50% 급증해 증가 속도가 더 가파릅니다.

문제는 거처도 상대적으로 열악한 데다 의료 인프라 접근성이 어려운 곳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늙어가는 대한민국의 지표는 정부 정책에 속도감 있는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저출산 문제 뿐 아니라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의 노인 복지와 일자리 정책을 돌아보고 효율적 방안을 검토해야 할 때라는 겁니다.

당장에는 일하는 인구의 주축이었던 베이비부머 세대 등 고령자 고용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미뤄져서는 안 됩니다.

또, 노인 삶의 실상과 노인 1인 가구의 현황을 철저히 조사해 정부와 자치단체가 함께 대응 방안을 만들고, 사각지대 없는 돌봄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시급합니다.

뉴스 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초고령화’ 문턱의 대한민국…돌봄·일자리 해법 찾아야
    • 입력 2021-08-03 07:44:56
    • 수정2021-08-03 07:50:51
    뉴스광장
이재환 해설위원

경북 내륙 도시 군위군입니다.

연령별 인구를 봤더니 15살 미만의 유소년 1명당 65살 이상 노인의 비율이 8명꼴입니다.

5년마다 시행하는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 65살 이상 노인 인구는 처음으로 8백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갈수록 아기 울음소리를 듣기 어려운 저출산 대한민국이 이제 고령화 사회를 넘어 65살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가 넘는 초고령사회 문턱에 성큼 다가섰습니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65살 이상 노인 인구는 821만 명, 전체의 16.4%입니다.

노인 인구 비율은 5년 사이 3% 포인트 이상, 30년 전보다는 무려 3배가 높아진 수칩니다.

국민 6명 가운데 1명이 노인이라는 것인데, 고령화가 저출산의 영향으로 정부가 예측한 증가 속도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7백만 명에 가까운 이른바 베이비부머 세대가 속속 고령층으로 들어서고 있는 것도 고령화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일할 인구가 줄어 성장 동력은 떨어지는데, 부양해야 할 사람이 급속히 늘어나 여러 사회 경제적 문제가 불가피해진 겁니다.

한 국제신용평가기관이 최근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하향 조정한 이유도 급격한 인구 고령화 때문이었습니다.

특히, 홀로 사는 1인 노인 가구의 빠른 증가세가 큰 부담입니다.

노인 5명 가운데 1명이 배우자나 자녀도 없이 홀로 살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80살 이상 1인 가구는 50% 급증해 증가 속도가 더 가파릅니다.

문제는 거처도 상대적으로 열악한 데다 의료 인프라 접근성이 어려운 곳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늙어가는 대한민국의 지표는 정부 정책에 속도감 있는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저출산 문제 뿐 아니라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의 노인 복지와 일자리 정책을 돌아보고 효율적 방안을 검토해야 할 때라는 겁니다.

당장에는 일하는 인구의 주축이었던 베이비부머 세대 등 고령자 고용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미뤄져서는 안 됩니다.

또, 노인 삶의 실상과 노인 1인 가구의 현황을 철저히 조사해 정부와 자치단체가 함께 대응 방안을 만들고, 사각지대 없는 돌봄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시급합니다.

뉴스 해설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