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국가문헌보존관 설계 공모 당선작에 ‘무한의 길’

입력 2021.08.05 (17:26) 수정 2021.08.05 (17: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이 한국패시브건축협회와 함께 진행한 평창 국가문헌보존관 건립 국제 설계 공모 당선작으로 신한건축사사무소가 제출한 ‘무한의 길’(TIMELESS CORRIDOR)을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신한건축사사무소와 디엔비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가 함께 작업한 ‘무한의 길’은 국가문헌보존관이 과거·현재·미래를 관통하는 곳이자 자료와 사람이 소통하는 공간이라는 점을 잘 살린 거로 평가됐습니다.

또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한 각종 자료를 보관하는 국가문헌보존관 기능을 충실하게 반영했으며, 동선이 간결하고 운영하기 효율적일 것으로 예상돼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건축사사무소엠피아트의 ‘지식의 회랑’은 2위를 차지했고,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가 제출한 ‘지식 플랫폼’이 3위에 올랐습니다. 4위와 5위는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건축공방건축사사무소 작품이었습니다.

수상작은 10일부터 24일까지 국립중앙도서관 1층 로비에 전시되고, 설계 공모 누리집(nlpc-compe.org)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2024년 준공 예정인 국가문헌보존관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산인 국제방송센터(IBC)를 보수해 조성합니다. 대지 면적 14만 5천여㎡, 연면적은 3만 7천246㎡이며, 총사업비는 610억 원입니다.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는 “현재 도서관 서고가 2023년이면 포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국가문헌보존관은 서적은 물론 CD·DVD 등 자료 약 1천400만 점을 수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내부에는 수장 시설 외에 전시 공간과 지역 주민을 위한 시설도 들어선다”며 “공식 명칭도 추후 공모를 통해 정하려고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평창 국가문헌보존관 설계 공모 당선작에 ‘무한의 길’
    • 입력 2021-08-05 17:26:11
    • 수정2021-08-05 17:27:11
    문화
국립중앙도서관이 한국패시브건축협회와 함께 진행한 평창 국가문헌보존관 건립 국제 설계 공모 당선작으로 신한건축사사무소가 제출한 ‘무한의 길’(TIMELESS CORRIDOR)을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신한건축사사무소와 디엔비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가 함께 작업한 ‘무한의 길’은 국가문헌보존관이 과거·현재·미래를 관통하는 곳이자 자료와 사람이 소통하는 공간이라는 점을 잘 살린 거로 평가됐습니다.

또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한 각종 자료를 보관하는 국가문헌보존관 기능을 충실하게 반영했으며, 동선이 간결하고 운영하기 효율적일 것으로 예상돼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건축사사무소엠피아트의 ‘지식의 회랑’은 2위를 차지했고,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가 제출한 ‘지식 플랫폼’이 3위에 올랐습니다. 4위와 5위는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건축공방건축사사무소 작품이었습니다.

수상작은 10일부터 24일까지 국립중앙도서관 1층 로비에 전시되고, 설계 공모 누리집(nlpc-compe.org)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2024년 준공 예정인 국가문헌보존관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산인 국제방송센터(IBC)를 보수해 조성합니다. 대지 면적 14만 5천여㎡, 연면적은 3만 7천246㎡이며, 총사업비는 610억 원입니다.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는 “현재 도서관 서고가 2023년이면 포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국가문헌보존관은 서적은 물론 CD·DVD 등 자료 약 1천400만 점을 수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내부에는 수장 시설 외에 전시 공간과 지역 주민을 위한 시설도 들어선다”며 “공식 명칭도 추후 공모를 통해 정하려고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