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인터뷰] 혼돈의 탈출 행렬…바이든 “후회없어”
입력 2021.08.17 (23:40)
수정 2021.08.17 (23: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보신 것처럼 탈레반에 장악된 아프가니스탄, 특히 수도 카불은 그야말로 혼란 속에 빠져있습니다.
20년에 걸친 전쟁을 ‘질서 있고 안전하게’ 끝내려던 미국의 계획은 차질을 빚게 된 셈인데요.
중동 지역학 박사인 김수완 한국외대 융합인재학부 교수와 함께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상황, 보다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앞선 리포트 보셨지만,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선 목숨을 건 탈출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20년 전의 극단적인 공포정치가 다시 찾아올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겠죠?
[앵커]
탈레반은 20년 전 집권 당시 여성과 아동 인권 탄압, 또 공개 처형도 서슴치 않았잖아요?
[앵커]
국제사회를 의식해서인지 탈레반은 연일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정부를 구성하겠다면서 달라진 모습을 강조하고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탈레반과의 전쟁, 역사를 다시 짚어보죠. 미국이 9.11 테러 이후 대테러 전쟁을 명분으로 아프간을 침공하면서 시작된 거잖습니까?
[앵커]
이 과정에서 탈레반이 물러나고 미국 주도의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는데 그 때 탈레반을 완전히 제압한 게 아니었던 겁니까?
[앵커]
이런 사실을 미국도 알았을 텐데 결국 완전 철군을 결정한 계기는 뭔가요?
[앵커]
지난주까지만 해도 미국은 탈레반이 수도 카불을 점령하는데 석 달은 걸릴 것으로 봤지만, 실제로는 10일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왜 이렇게 속절없이 무너진 겁니까?
[앵커]
아프간 상황이 심각한 혼란에 빠지면서 바이든 대통령의 철군 계획이 성급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데요.
바이든 대통령은 오늘도 그 결정에 후회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는데, 이걸 어떻게 봐야 할까요?
[앵커]
아프가니스탄이 중앙아시아와 중동, 남아시아를 잇는 지정학적 요충지라 주변국, 특히 강대국들도 관심있게 보고 있는데요.
당장 난민 문제부터 이해관계가 많이 걸려있죠?
보신 것처럼 탈레반에 장악된 아프가니스탄, 특히 수도 카불은 그야말로 혼란 속에 빠져있습니다.
20년에 걸친 전쟁을 ‘질서 있고 안전하게’ 끝내려던 미국의 계획은 차질을 빚게 된 셈인데요.
중동 지역학 박사인 김수완 한국외대 융합인재학부 교수와 함께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상황, 보다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앞선 리포트 보셨지만,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선 목숨을 건 탈출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20년 전의 극단적인 공포정치가 다시 찾아올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겠죠?
[앵커]
탈레반은 20년 전 집권 당시 여성과 아동 인권 탄압, 또 공개 처형도 서슴치 않았잖아요?
[앵커]
국제사회를 의식해서인지 탈레반은 연일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정부를 구성하겠다면서 달라진 모습을 강조하고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탈레반과의 전쟁, 역사를 다시 짚어보죠. 미국이 9.11 테러 이후 대테러 전쟁을 명분으로 아프간을 침공하면서 시작된 거잖습니까?
[앵커]
이 과정에서 탈레반이 물러나고 미국 주도의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는데 그 때 탈레반을 완전히 제압한 게 아니었던 겁니까?
[앵커]
이런 사실을 미국도 알았을 텐데 결국 완전 철군을 결정한 계기는 뭔가요?
[앵커]
지난주까지만 해도 미국은 탈레반이 수도 카불을 점령하는데 석 달은 걸릴 것으로 봤지만, 실제로는 10일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왜 이렇게 속절없이 무너진 겁니까?
[앵커]
아프간 상황이 심각한 혼란에 빠지면서 바이든 대통령의 철군 계획이 성급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데요.
바이든 대통령은 오늘도 그 결정에 후회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는데, 이걸 어떻게 봐야 할까요?
[앵커]
아프가니스탄이 중앙아시아와 중동, 남아시아를 잇는 지정학적 요충지라 주변국, 특히 강대국들도 관심있게 보고 있는데요.
당장 난민 문제부터 이해관계가 많이 걸려있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인터뷰] 혼돈의 탈출 행렬…바이든 “후회없어”
-
- 입력 2021-08-17 23:40:02
- 수정2021-08-17 23:55:53

[앵커]
보신 것처럼 탈레반에 장악된 아프가니스탄, 특히 수도 카불은 그야말로 혼란 속에 빠져있습니다.
20년에 걸친 전쟁을 ‘질서 있고 안전하게’ 끝내려던 미국의 계획은 차질을 빚게 된 셈인데요.
중동 지역학 박사인 김수완 한국외대 융합인재학부 교수와 함께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상황, 보다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앞선 리포트 보셨지만,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선 목숨을 건 탈출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20년 전의 극단적인 공포정치가 다시 찾아올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겠죠?
[앵커]
탈레반은 20년 전 집권 당시 여성과 아동 인권 탄압, 또 공개 처형도 서슴치 않았잖아요?
[앵커]
국제사회를 의식해서인지 탈레반은 연일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정부를 구성하겠다면서 달라진 모습을 강조하고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탈레반과의 전쟁, 역사를 다시 짚어보죠. 미국이 9.11 테러 이후 대테러 전쟁을 명분으로 아프간을 침공하면서 시작된 거잖습니까?
[앵커]
이 과정에서 탈레반이 물러나고 미국 주도의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는데 그 때 탈레반을 완전히 제압한 게 아니었던 겁니까?
[앵커]
이런 사실을 미국도 알았을 텐데 결국 완전 철군을 결정한 계기는 뭔가요?
[앵커]
지난주까지만 해도 미국은 탈레반이 수도 카불을 점령하는데 석 달은 걸릴 것으로 봤지만, 실제로는 10일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왜 이렇게 속절없이 무너진 겁니까?
[앵커]
아프간 상황이 심각한 혼란에 빠지면서 바이든 대통령의 철군 계획이 성급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데요.
바이든 대통령은 오늘도 그 결정에 후회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는데, 이걸 어떻게 봐야 할까요?
[앵커]
아프가니스탄이 중앙아시아와 중동, 남아시아를 잇는 지정학적 요충지라 주변국, 특히 강대국들도 관심있게 보고 있는데요.
당장 난민 문제부터 이해관계가 많이 걸려있죠?
보신 것처럼 탈레반에 장악된 아프가니스탄, 특히 수도 카불은 그야말로 혼란 속에 빠져있습니다.
20년에 걸친 전쟁을 ‘질서 있고 안전하게’ 끝내려던 미국의 계획은 차질을 빚게 된 셈인데요.
중동 지역학 박사인 김수완 한국외대 융합인재학부 교수와 함께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상황, 보다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앞선 리포트 보셨지만,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선 목숨을 건 탈출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20년 전의 극단적인 공포정치가 다시 찾아올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겠죠?
[앵커]
탈레반은 20년 전 집권 당시 여성과 아동 인권 탄압, 또 공개 처형도 서슴치 않았잖아요?
[앵커]
국제사회를 의식해서인지 탈레반은 연일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정부를 구성하겠다면서 달라진 모습을 강조하고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앵커]
탈레반과의 전쟁, 역사를 다시 짚어보죠. 미국이 9.11 테러 이후 대테러 전쟁을 명분으로 아프간을 침공하면서 시작된 거잖습니까?
[앵커]
이 과정에서 탈레반이 물러나고 미국 주도의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는데 그 때 탈레반을 완전히 제압한 게 아니었던 겁니까?
[앵커]
이런 사실을 미국도 알았을 텐데 결국 완전 철군을 결정한 계기는 뭔가요?
[앵커]
지난주까지만 해도 미국은 탈레반이 수도 카불을 점령하는데 석 달은 걸릴 것으로 봤지만, 실제로는 10일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왜 이렇게 속절없이 무너진 겁니까?
[앵커]
아프간 상황이 심각한 혼란에 빠지면서 바이든 대통령의 철군 계획이 성급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데요.
바이든 대통령은 오늘도 그 결정에 후회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는데, 이걸 어떻게 봐야 할까요?
[앵커]
아프가니스탄이 중앙아시아와 중동, 남아시아를 잇는 지정학적 요충지라 주변국, 특히 강대국들도 관심있게 보고 있는데요.
당장 난민 문제부터 이해관계가 많이 걸려있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