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시·군 취업자 역대 최대…“청년·제조업 많은 곳 실업률 높아”

입력 2021.08.24 (14:13) 수정 2021.08.24 (14: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전국 9개 도에 있는 시·군의 취업자 수가 201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통계청이 오늘(24일) 발표한 ‘지역별 고용조사 시군구 주요 고용지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시 지역 취업자(이하 거주지 기준)는 1,312만 8,000명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3.9% 증가했습니다. 고용률(59.7%)은 1.4%포인트 올랐습니다.

9개 도에 있는 군 지역 취업자는 206만 8,000명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4% 증가했고 고용률(67.3%)은 1.4%포인트 올랐습니다.

시·군 지역의 취업자 수와 증가 폭은 모두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대입니다.

시 지역 고용률은 2019년 상반기(60.3%) 이후 역대 두 번째, 군 지역 고용률은 역대 가장 높았습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상반기 코로나19 영향으로 취업자 수가 줄었던 기저효과도 있었고 조사 대상 기간(4월 11∼17일)에는 사회적 거리두기도 완화되면서 취업자 수가 크게 증가했다”고 말했습니다.

시 지역의 청년층 취업자(171만 7,000명)는 전년 동기 대비 7만 4,000명, 고령층 취업자(388만 7,000명)는 2만 9,000명 늘었습니다.

군 지역은 청년층 취업자(15만 1,000명)는 전년 동기 대비 1,000명 줄었고, 고령층 취업자(111만 9,000명)는 5만 3,000명 늘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조사에 포함된 7개 특별시·광역시의 구 지역 취업자는 1,089만 8,000명, 고용률은 55.4%로 집계됐습니다.

특별시·광역시의 청년층 취업자는 162만 2,000명, 고령층 취업자는 298만 7,000명이었습니다.

실업률을 보면, 9개 도의 시 지역 실업자는 48만 3,000명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6% 늘었으나 실업률(3.5%)은 0.1%포인트 내렸습니다.

군 지역 실업자(3만 2,000명)는 2.2% 늘었고 실업률은 1.5%로 지난해와 같았습니다.

특별시·광역시 구 지역 실업자는 55만 3,000명, 실업률은 4.8%로 나타났습니다.

전국에서 가장 실업률이 높은 지역은 인천 남동구(6.3%), 서울 관악구(6.2%), 인천 부평구(6.2%), 서울 도봉구(6.1%), 서울 중랑구·인천 미추홀구(5.9), 부산 동래구(5.8%) 등입니다.

시·군 단위에서는 경기 시흥시·안산시(5.2%), 경북 구미시(4.9%), 경남 통영시(4.6%), 경남 고성군(3.3%), 경북 칠곡군(3.3%), 충북 증평군(3.2%)의 실업률이 높았습니다.

김경희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실업률은 구, 시, 군 순으로 높았는데 청년층과 제조업 산업단지가 많은 지역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근무지 기준 취업자 비중이 거주지 기준보다 낮은 지역은 서울 은평구, 부산 북구, 경기 의정부시, 전남 순천시, 충북 증평군, 경기도 양평군 등입니다. 주거지역을 벗어나 다른 지역으로 출·퇴근하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산업·직업별 취업자 특성을 살펴보면 시 지역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부문, 기능·기계조작·조립 종사자가 많았습니다. 군 지역은 농림어업 부문,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가, 특·광역시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부문, 관리자·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가장 많았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상반기 시·군 취업자 역대 최대…“청년·제조업 많은 곳 실업률 높아”
    • 입력 2021-08-24 14:13:50
    • 수정2021-08-24 14:32:00
    경제
올해 상반기 전국 9개 도에 있는 시·군의 취업자 수가 201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통계청이 오늘(24일) 발표한 ‘지역별 고용조사 시군구 주요 고용지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시 지역 취업자(이하 거주지 기준)는 1,312만 8,000명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3.9% 증가했습니다. 고용률(59.7%)은 1.4%포인트 올랐습니다.

9개 도에 있는 군 지역 취업자는 206만 8,000명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4% 증가했고 고용률(67.3%)은 1.4%포인트 올랐습니다.

시·군 지역의 취업자 수와 증가 폭은 모두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대입니다.

시 지역 고용률은 2019년 상반기(60.3%) 이후 역대 두 번째, 군 지역 고용률은 역대 가장 높았습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상반기 코로나19 영향으로 취업자 수가 줄었던 기저효과도 있었고 조사 대상 기간(4월 11∼17일)에는 사회적 거리두기도 완화되면서 취업자 수가 크게 증가했다”고 말했습니다.

시 지역의 청년층 취업자(171만 7,000명)는 전년 동기 대비 7만 4,000명, 고령층 취업자(388만 7,000명)는 2만 9,000명 늘었습니다.

군 지역은 청년층 취업자(15만 1,000명)는 전년 동기 대비 1,000명 줄었고, 고령층 취업자(111만 9,000명)는 5만 3,000명 늘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조사에 포함된 7개 특별시·광역시의 구 지역 취업자는 1,089만 8,000명, 고용률은 55.4%로 집계됐습니다.

특별시·광역시의 청년층 취업자는 162만 2,000명, 고령층 취업자는 298만 7,000명이었습니다.

실업률을 보면, 9개 도의 시 지역 실업자는 48만 3,000명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6% 늘었으나 실업률(3.5%)은 0.1%포인트 내렸습니다.

군 지역 실업자(3만 2,000명)는 2.2% 늘었고 실업률은 1.5%로 지난해와 같았습니다.

특별시·광역시 구 지역 실업자는 55만 3,000명, 실업률은 4.8%로 나타났습니다.

전국에서 가장 실업률이 높은 지역은 인천 남동구(6.3%), 서울 관악구(6.2%), 인천 부평구(6.2%), 서울 도봉구(6.1%), 서울 중랑구·인천 미추홀구(5.9), 부산 동래구(5.8%) 등입니다.

시·군 단위에서는 경기 시흥시·안산시(5.2%), 경북 구미시(4.9%), 경남 통영시(4.6%), 경남 고성군(3.3%), 경북 칠곡군(3.3%), 충북 증평군(3.2%)의 실업률이 높았습니다.

김경희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실업률은 구, 시, 군 순으로 높았는데 청년층과 제조업 산업단지가 많은 지역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근무지 기준 취업자 비중이 거주지 기준보다 낮은 지역은 서울 은평구, 부산 북구, 경기 의정부시, 전남 순천시, 충북 증평군, 경기도 양평군 등입니다. 주거지역을 벗어나 다른 지역으로 출·퇴근하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입니다.

산업·직업별 취업자 특성을 살펴보면 시 지역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부문, 기능·기계조작·조립 종사자가 많았습니다. 군 지역은 농림어업 부문,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가, 특·광역시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부문, 관리자·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가장 많았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