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방부, 테러 보복공습 “IS-K 2명 제거”…추가 공습 가능성
입력 2021.08.29 (06:00)
수정 2021.08.29 (06: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이 카불 공항 테러에 대응해 전격적으로 보복 공습을 가해 이슬람국가 IS 호라산의 고위급 2명을 제거했다고 밝혔습니다.
미 국방부는 31일로 예정된 철군시한까지 추가 테러 가능성이 높은 만큼 상황에 따라 추가 공습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김양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 국방부가 카불 공항 폭탄 테러에 대응해 이슬람국가 IS 고위급을 겨냥한 보복 공습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공습으로 카불공항 테러를 저지른 IS 지부 IS-호라산의 기획자와 협력자 등 고위급 2명이 제거됐습니다.
[행크 테일러/미 합동참모본부 소장 : "2명의 IS 고위급 목표물이 사살됐습니다. 그리고 1명은 다쳤습니다. 민간인 사상자는 0명입니다."]
공격은 아프간 동부 낭가하르주에서 이뤄졌으며 단 한 번의 무인기 공습으로 목표물을 타격했고, 민간인 사상자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미 국방부는 이어 현지에서 추가 테러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필요에 따라 대테러 작전을 수행할 것이라며 추가 공습 가능성도 열어뒀습니다.
[존 커비/미 국방부 대변인 : "우리는 우리 스스로에 대한 방어 능력과 작전 능력을 항시적으로 유지하고 있을 겁니다."]
미국의 이번 공습은 바이든 미 대통령이 테러에 대한 군사적 응징을 천명한 지 하루 만에 전격적으로 이뤄졌습니다.
현지시간 26일, 아프간 카불공항 검문검색소에서 IS가 저지른 폭탄테러로 미군 13명과 민간인 170여 명이 숨진 데 따른 겁니다.
IS에 대한 미국의 보복 공습에 탈레반은 아프간 영토에 대한 명백한 공격이라며 반발했습니다.
무자히드 탈레반 대변인은 미군이 떠나면 탈레반이 카불 공항을 전면 통제하게 될 것이라며 며칠 내로 내각 구성을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미군이 약속한 철군시한은 31일, 앞으로 사흘 남았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미국이 카불 공항 테러에 대응해 전격적으로 보복 공습을 가해 이슬람국가 IS 호라산의 고위급 2명을 제거했다고 밝혔습니다.
미 국방부는 31일로 예정된 철군시한까지 추가 테러 가능성이 높은 만큼 상황에 따라 추가 공습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김양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 국방부가 카불 공항 폭탄 테러에 대응해 이슬람국가 IS 고위급을 겨냥한 보복 공습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공습으로 카불공항 테러를 저지른 IS 지부 IS-호라산의 기획자와 협력자 등 고위급 2명이 제거됐습니다.
[행크 테일러/미 합동참모본부 소장 : "2명의 IS 고위급 목표물이 사살됐습니다. 그리고 1명은 다쳤습니다. 민간인 사상자는 0명입니다."]
공격은 아프간 동부 낭가하르주에서 이뤄졌으며 단 한 번의 무인기 공습으로 목표물을 타격했고, 민간인 사상자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미 국방부는 이어 현지에서 추가 테러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필요에 따라 대테러 작전을 수행할 것이라며 추가 공습 가능성도 열어뒀습니다.
[존 커비/미 국방부 대변인 : "우리는 우리 스스로에 대한 방어 능력과 작전 능력을 항시적으로 유지하고 있을 겁니다."]
미국의 이번 공습은 바이든 미 대통령이 테러에 대한 군사적 응징을 천명한 지 하루 만에 전격적으로 이뤄졌습니다.
현지시간 26일, 아프간 카불공항 검문검색소에서 IS가 저지른 폭탄테러로 미군 13명과 민간인 170여 명이 숨진 데 따른 겁니다.
IS에 대한 미국의 보복 공습에 탈레반은 아프간 영토에 대한 명백한 공격이라며 반발했습니다.
무자히드 탈레반 대변인은 미군이 떠나면 탈레반이 카불 공항을 전면 통제하게 될 것이라며 며칠 내로 내각 구성을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미군이 약속한 철군시한은 31일, 앞으로 사흘 남았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국방부, 테러 보복공습 “IS-K 2명 제거”…추가 공습 가능성
-
- 입력 2021-08-29 06:00:23
- 수정2021-08-29 06:17:24

[앵커]
미국이 카불 공항 테러에 대응해 전격적으로 보복 공습을 가해 이슬람국가 IS 호라산의 고위급 2명을 제거했다고 밝혔습니다.
미 국방부는 31일로 예정된 철군시한까지 추가 테러 가능성이 높은 만큼 상황에 따라 추가 공습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김양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 국방부가 카불 공항 폭탄 테러에 대응해 이슬람국가 IS 고위급을 겨냥한 보복 공습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공습으로 카불공항 테러를 저지른 IS 지부 IS-호라산의 기획자와 협력자 등 고위급 2명이 제거됐습니다.
[행크 테일러/미 합동참모본부 소장 : "2명의 IS 고위급 목표물이 사살됐습니다. 그리고 1명은 다쳤습니다. 민간인 사상자는 0명입니다."]
공격은 아프간 동부 낭가하르주에서 이뤄졌으며 단 한 번의 무인기 공습으로 목표물을 타격했고, 민간인 사상자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미 국방부는 이어 현지에서 추가 테러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필요에 따라 대테러 작전을 수행할 것이라며 추가 공습 가능성도 열어뒀습니다.
[존 커비/미 국방부 대변인 : "우리는 우리 스스로에 대한 방어 능력과 작전 능력을 항시적으로 유지하고 있을 겁니다."]
미국의 이번 공습은 바이든 미 대통령이 테러에 대한 군사적 응징을 천명한 지 하루 만에 전격적으로 이뤄졌습니다.
현지시간 26일, 아프간 카불공항 검문검색소에서 IS가 저지른 폭탄테러로 미군 13명과 민간인 170여 명이 숨진 데 따른 겁니다.
IS에 대한 미국의 보복 공습에 탈레반은 아프간 영토에 대한 명백한 공격이라며 반발했습니다.
무자히드 탈레반 대변인은 미군이 떠나면 탈레반이 카불 공항을 전면 통제하게 될 것이라며 며칠 내로 내각 구성을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미군이 약속한 철군시한은 31일, 앞으로 사흘 남았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미국이 카불 공항 테러에 대응해 전격적으로 보복 공습을 가해 이슬람국가 IS 호라산의 고위급 2명을 제거했다고 밝혔습니다.
미 국방부는 31일로 예정된 철군시한까지 추가 테러 가능성이 높은 만큼 상황에 따라 추가 공습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김양순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미 국방부가 카불 공항 폭탄 테러에 대응해 이슬람국가 IS 고위급을 겨냥한 보복 공습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공습으로 카불공항 테러를 저지른 IS 지부 IS-호라산의 기획자와 협력자 등 고위급 2명이 제거됐습니다.
[행크 테일러/미 합동참모본부 소장 : "2명의 IS 고위급 목표물이 사살됐습니다. 그리고 1명은 다쳤습니다. 민간인 사상자는 0명입니다."]
공격은 아프간 동부 낭가하르주에서 이뤄졌으며 단 한 번의 무인기 공습으로 목표물을 타격했고, 민간인 사상자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미 국방부는 이어 현지에서 추가 테러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필요에 따라 대테러 작전을 수행할 것이라며 추가 공습 가능성도 열어뒀습니다.
[존 커비/미 국방부 대변인 : "우리는 우리 스스로에 대한 방어 능력과 작전 능력을 항시적으로 유지하고 있을 겁니다."]
미국의 이번 공습은 바이든 미 대통령이 테러에 대한 군사적 응징을 천명한 지 하루 만에 전격적으로 이뤄졌습니다.
현지시간 26일, 아프간 카불공항 검문검색소에서 IS가 저지른 폭탄테러로 미군 13명과 민간인 170여 명이 숨진 데 따른 겁니다.
IS에 대한 미국의 보복 공습에 탈레반은 아프간 영토에 대한 명백한 공격이라며 반발했습니다.
무자히드 탈레반 대변인은 미군이 떠나면 탈레반이 카불 공항을 전면 통제하게 될 것이라며 며칠 내로 내각 구성을 발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미군이 약속한 철군시한은 31일, 앞으로 사흘 남았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양순입니다.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탈레반 ‘아프간 점령’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