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먹는 코로나 치료제 도입시 국가가 전액 비용 부담”

입력 2021.09.13 (15:04) 수정 2021.09.13 (15: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먹는 형태의 코로나19 치료제 구매 가격이 90만원을 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방역당국은 이 치료제가 도입될 경우 국가가 전액 부담한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오늘 오전 백브리핑에서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도입시 본인 부담금과 관련한 질의에 “국민 자부담은 현재로서는 없는 체계로 운영된다”고 답했습니다.

손 반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코로나19) 치료 과정은 전체 다 국가가 부담하고 있어서 국민은 비용 부담이 없는 상황”이라며 “치료제가 도입된다고 하면 동일한 원칙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코로나19는 1급 감염병으로 지정돼 있으며,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치료비용은 전액 국가가 부담합니다. 현재 국내에서 코로나19 치료제로 쓰이는 ‘렘데시비르’ 투약 비용 역시 국가가 지원하고 있습니다.

경구용 치료제 구매 예산으로는 올해 추가경정예산으로 168억 원이 배정됐고,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는 194억 원이 편성돼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앞서 올해 추경 예산에 1만 8천 명분, 내년 예산안에 2천만 명분에 대한 치료제 구매비용을 반영했다고 밝혔는데 산술적으로 1인당 치료제 구매 비용은 95만 원 정도로 책정된 셈입니다.

정부는 현재 경구용 치료제 개발 상황을 보면서 각 제약사와 구매를 협의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 3상 임상 시험 진행 중인 경구용 치료제는 MSD의 몰누피라비르, 로슈의 AT-527, 화이자의 PF-07321332 등이 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방역당국 “먹는 코로나 치료제 도입시 국가가 전액 비용 부담”
    • 입력 2021-09-13 15:04:33
    • 수정2021-09-13 15:07:45
    사회
먹는 형태의 코로나19 치료제 구매 가격이 90만원을 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방역당국은 이 치료제가 도입될 경우 국가가 전액 부담한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오늘 오전 백브리핑에서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도입시 본인 부담금과 관련한 질의에 “국민 자부담은 현재로서는 없는 체계로 운영된다”고 답했습니다.

손 반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코로나19) 치료 과정은 전체 다 국가가 부담하고 있어서 국민은 비용 부담이 없는 상황”이라며 “치료제가 도입된다고 하면 동일한 원칙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코로나19는 1급 감염병으로 지정돼 있으며, 감염병예방법에 따라 치료비용은 전액 국가가 부담합니다. 현재 국내에서 코로나19 치료제로 쓰이는 ‘렘데시비르’ 투약 비용 역시 국가가 지원하고 있습니다.

경구용 치료제 구매 예산으로는 올해 추가경정예산으로 168억 원이 배정됐고,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는 194억 원이 편성돼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앞서 올해 추경 예산에 1만 8천 명분, 내년 예산안에 2천만 명분에 대한 치료제 구매비용을 반영했다고 밝혔는데 산술적으로 1인당 치료제 구매 비용은 95만 원 정도로 책정된 셈입니다.

정부는 현재 경구용 치료제 개발 상황을 보면서 각 제약사와 구매를 협의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 3상 임상 시험 진행 중인 경구용 치료제는 MSD의 몰누피라비르, 로슈의 AT-527, 화이자의 PF-07321332 등이 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