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 순찰도·방역도 ‘척척’…성큼 다가온 로봇 시대

입력 2021.09.24 (21:47) 수정 2021.09.24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주 배달하는 로봇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이렇듯 코로나19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면서 로봇 산업이 부쩍 성장하고 있습니다.
​​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이 활용되는 모습, 김유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직원들이 모두 퇴근한 한밤의 자동차 공장.

네 발로 걷는 로봇이 활동을 시작합니다.

열화상 카메라 등 다양한 장비와 인공지능을 활용해 화재 위험이나 무단 침입을 감지해 냅니다.

작업 공간은 물론 사람이 다니기 힘든 좁은 곳까지 꼼꼼하게 살핍니다.

[로버트 플레이터/보스턴다이내믹스 CEO : “사람이 갈 수 있는 곳은 어디든 갈 수 있는 이동성을 갖춘 로봇입니다. 뛰어난 이동성을 갖고 있어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방역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병원에는 방역로봇이 투입됐습니다.

병원을 돌아다니며 소독 작업을 하는 것은 기본.

마스크 미착용자들을 통제하고,

[“마스크를 착용하여 주십시오.”]

거리두기를 유도하기도 합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해주세요.”]

[박진영/용인세브란스병원 디지털의료산업센터소장 : “직원들은 본연의 업무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되었고, 로봇이 가서 친근하게 이야기를 하다보니까 다들 즐거워하고 재미있어 하시면서 좋은 분위기에서 방역 수칙을 잘 지키는 계기가….”]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로봇산업.

올해 50조 원 수준인 세계 시장 규모가 2025년에는 190조 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부도 2023년까지 국내 로봇시장 규모를 15조 원대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문형남/숙명여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 : “과거에는 로봇이 주로 공장에서 제조용으로 많이 쓰였습니다.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에 로봇이 우리 생활 속으로 아주 가까이 다가왔고….”]

다만, 로봇 보급 확산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는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됩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영상편집:남은주/그래픽:김현갑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장 순찰도·방역도 ‘척척’…성큼 다가온 로봇 시대
    • 입력 2021-09-24 21:47:07
    • 수정2021-09-24 21:59:11
    뉴스 9
[앵커]

지난주 배달하는 로봇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이렇듯 코로나19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하면서 로봇 산업이 부쩍 성장하고 있습니다.
​​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이 활용되는 모습, 김유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직원들이 모두 퇴근한 한밤의 자동차 공장.

네 발로 걷는 로봇이 활동을 시작합니다.

열화상 카메라 등 다양한 장비와 인공지능을 활용해 화재 위험이나 무단 침입을 감지해 냅니다.

작업 공간은 물론 사람이 다니기 힘든 좁은 곳까지 꼼꼼하게 살핍니다.

[로버트 플레이터/보스턴다이내믹스 CEO : “사람이 갈 수 있는 곳은 어디든 갈 수 있는 이동성을 갖춘 로봇입니다. 뛰어난 이동성을 갖고 있어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방역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병원에는 방역로봇이 투입됐습니다.

병원을 돌아다니며 소독 작업을 하는 것은 기본.

마스크 미착용자들을 통제하고,

[“마스크를 착용하여 주십시오.”]

거리두기를 유도하기도 합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해주세요.”]

[박진영/용인세브란스병원 디지털의료산업센터소장 : “직원들은 본연의 업무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되었고, 로봇이 가서 친근하게 이야기를 하다보니까 다들 즐거워하고 재미있어 하시면서 좋은 분위기에서 방역 수칙을 잘 지키는 계기가….”]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로봇산업.

올해 50조 원 수준인 세계 시장 규모가 2025년에는 190조 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부도 2023년까지 국내 로봇시장 규모를 15조 원대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문형남/숙명여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 : “과거에는 로봇이 주로 공장에서 제조용으로 많이 쓰였습니다.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에 로봇이 우리 생활 속으로 아주 가까이 다가왔고….”]

다만, 로봇 보급 확산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는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됩니다.

KBS 뉴스 김유대입니다.

영상편집:남은주/그래픽:김현갑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