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퇴직금 50억은 산재 영향? “화천대유, 5년간 신청 안 해”
입력 2021.09.27 (16:24) 수정 2021.09.27 (16:31) 취재K
경기도 성남시 대장동 개발 사업에서 특혜 의혹이 제기된 자산관리사 '화천대유'는 최근 5년간 산업재해 신청을 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앞서 화천대유 최대주주 김만배 씨는 퇴직금 산정에 곽상도 의원의 아들 곽 모 씨가 산재를 당한 것이 영향을 끼쳤다고 언급했습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송옥주 의원실에 따르면 근로복지공단은 오늘(27일) 최근 5년간 화천대유자산관리 측의 산업재해 신청 기록이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산업재해 신청은 재해자 본인이 근로복지공단에 하게 돼 있는데, 재해자가 신청하면 근로복지공단에 사측 통계로 기록됩니다. 그러니까 최근 5년간 화천대유 직원이 산업재해 보상 신청을 한 적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화천대유는 지난 2015년 6월부터 지난 3월까지 약 6년간 이 회사에 근무했던 곽상도 의원의 아들 곽 모 씨에게 퇴직금 및 성과급, 위로금 등의 명목으로 50억 원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오늘 경찰 조사에 출석한 화천대유 최대주주인 김만배 씨는 '50억 원이 너무 큰 금액 아니냐'는 기자들 질문에 "개인 신상과 관련돼 말하기 곤란하지만 곽 씨가 산재를 입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곽 씨도 어제 곽 의원 SNS를 통해 밝힌 입장문에서 "2018년부터 기침이 끊이지 않고, 이명이 들리고, 어지럼증이 생기는 등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라며 "증상이 계속 악화돼 정상적인 업무 수행이 점차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됐다"고 적었습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송옥주 의원실에 따르면 근로복지공단은 오늘(27일) 최근 5년간 화천대유자산관리 측의 산업재해 신청 기록이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산업재해 신청은 재해자 본인이 근로복지공단에 하게 돼 있는데, 재해자가 신청하면 근로복지공단에 사측 통계로 기록됩니다. 그러니까 최근 5년간 화천대유 직원이 산업재해 보상 신청을 한 적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화천대유는 지난 2015년 6월부터 지난 3월까지 약 6년간 이 회사에 근무했던 곽상도 의원의 아들 곽 모 씨에게 퇴직금 및 성과급, 위로금 등의 명목으로 50억 원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오늘 경찰 조사에 출석한 화천대유 최대주주인 김만배 씨는 '50억 원이 너무 큰 금액 아니냐'는 기자들 질문에 "개인 신상과 관련돼 말하기 곤란하지만 곽 씨가 산재를 입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곽 씨도 어제 곽 의원 SNS를 통해 밝힌 입장문에서 "2018년부터 기침이 끊이지 않고, 이명이 들리고, 어지럼증이 생기는 등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라며 "증상이 계속 악화돼 정상적인 업무 수행이 점차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됐다"고 적었습니다.
- 퇴직금 50억은 산재 영향? “화천대유, 5년간 신청 안 해”
-
- 입력 2021-09-27 16:24:57
- 수정2021-09-27 16:31:19

경기도 성남시 대장동 개발 사업에서 특혜 의혹이 제기된 자산관리사 '화천대유'는 최근 5년간 산업재해 신청을 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앞서 화천대유 최대주주 김만배 씨는 퇴직금 산정에 곽상도 의원의 아들 곽 모 씨가 산재를 당한 것이 영향을 끼쳤다고 언급했습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송옥주 의원실에 따르면 근로복지공단은 오늘(27일) 최근 5년간 화천대유자산관리 측의 산업재해 신청 기록이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산업재해 신청은 재해자 본인이 근로복지공단에 하게 돼 있는데, 재해자가 신청하면 근로복지공단에 사측 통계로 기록됩니다. 그러니까 최근 5년간 화천대유 직원이 산업재해 보상 신청을 한 적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화천대유는 지난 2015년 6월부터 지난 3월까지 약 6년간 이 회사에 근무했던 곽상도 의원의 아들 곽 모 씨에게 퇴직금 및 성과급, 위로금 등의 명목으로 50억 원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오늘 경찰 조사에 출석한 화천대유 최대주주인 김만배 씨는 '50억 원이 너무 큰 금액 아니냐'는 기자들 질문에 "개인 신상과 관련돼 말하기 곤란하지만 곽 씨가 산재를 입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곽 씨도 어제 곽 의원 SNS를 통해 밝힌 입장문에서 "2018년부터 기침이 끊이지 않고, 이명이 들리고, 어지럼증이 생기는 등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라며 "증상이 계속 악화돼 정상적인 업무 수행이 점차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됐다"고 적었습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송옥주 의원실에 따르면 근로복지공단은 오늘(27일) 최근 5년간 화천대유자산관리 측의 산업재해 신청 기록이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산업재해 신청은 재해자 본인이 근로복지공단에 하게 돼 있는데, 재해자가 신청하면 근로복지공단에 사측 통계로 기록됩니다. 그러니까 최근 5년간 화천대유 직원이 산업재해 보상 신청을 한 적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화천대유는 지난 2015년 6월부터 지난 3월까지 약 6년간 이 회사에 근무했던 곽상도 의원의 아들 곽 모 씨에게 퇴직금 및 성과급, 위로금 등의 명목으로 50억 원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오늘 경찰 조사에 출석한 화천대유 최대주주인 김만배 씨는 '50억 원이 너무 큰 금액 아니냐'는 기자들 질문에 "개인 신상과 관련돼 말하기 곤란하지만 곽 씨가 산재를 입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곽 씨도 어제 곽 의원 SNS를 통해 밝힌 입장문에서 "2018년부터 기침이 끊이지 않고, 이명이 들리고, 어지럼증이 생기는 등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라며 "증상이 계속 악화돼 정상적인 업무 수행이 점차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됐다"고 적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기자 정보
-
-
정재우 기자 jjw@kbs.co.kr
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