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과 지역 잇는 ‘챌린지랩’…성과도 공유
입력 2021.09.29 (09:59)
수정 2021.09.29 (11: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공유대학의 성공 조건을 찾는 기획 보도입니다.
공유대학에선 기업 연계 프로젝트 실험실, 이른바 '챌린지 랩'이 운영 중입니다.
연구 환경이 열악한 지역대학 교수들에게 수도권에 버금가는 인프라를 제공하고 그 성과를 대학과 기업, 지역사회가 공유하는 현장을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창원대학교의 스마트 수소 연구실입니다.
고압위험가스 공급 장치와 수소 촉매 분석기 등 고가의 실험 장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5년 차 이하 젊은 교수들에게 양질의 연구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챌린지랩'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 받았습니다.
[정대운/창원대 '스마트 수소 챌린지랩' 책임 교수 : "우리가(연구실이) 경쟁력이 생기면 이제 그 학생들이 결국에는 지역 산업에 어떤 밑거름이 될 수 있잖아요. 어떤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는 거죠."]
경남대학교 차세대 산업용 로봇 연구실, 사람의 뇌파를 분석해 로봇을 정밀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연구를 공동 수행한 이 IT 기업은 연구실 소속 학부생을 신입사원으로 채용했습니다.
[김재규/IT 기업 대표 : "챌린지 랩을 통해서 저희랑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그 친구의 능력도 알게 되고…."]
새싹삼의 생육 환경을 연구하는 이 챌린지랩은 확보된 기술을 인근 농가에 전수합니다.
기후 변화와 고령화로 쇠퇴하는 농촌 공동체를 되살리는 것이 목표입니다.
[권대곤/남해대 스마트팜 챌린지랩 책임교수 : "필요한 연구 기술들을 지역사회에 공유하고 나누어서 지역민들이 더불어 잘 살 수 있는 그런 역할을 대학에서 해야 하지 않나…."]
대학 내부의 연구 역량을 높이기 위한 챌린지 랩이 대학 밖 중소기업과 지역 사회에도 희망의 바람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공유대학의 성공 조건을 찾는 기획 보도입니다.
공유대학에선 기업 연계 프로젝트 실험실, 이른바 '챌린지 랩'이 운영 중입니다.
연구 환경이 열악한 지역대학 교수들에게 수도권에 버금가는 인프라를 제공하고 그 성과를 대학과 기업, 지역사회가 공유하는 현장을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창원대학교의 스마트 수소 연구실입니다.
고압위험가스 공급 장치와 수소 촉매 분석기 등 고가의 실험 장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5년 차 이하 젊은 교수들에게 양질의 연구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챌린지랩'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 받았습니다.
[정대운/창원대 '스마트 수소 챌린지랩' 책임 교수 : "우리가(연구실이) 경쟁력이 생기면 이제 그 학생들이 결국에는 지역 산업에 어떤 밑거름이 될 수 있잖아요. 어떤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는 거죠."]
경남대학교 차세대 산업용 로봇 연구실, 사람의 뇌파를 분석해 로봇을 정밀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연구를 공동 수행한 이 IT 기업은 연구실 소속 학부생을 신입사원으로 채용했습니다.
[김재규/IT 기업 대표 : "챌린지 랩을 통해서 저희랑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그 친구의 능력도 알게 되고…."]
새싹삼의 생육 환경을 연구하는 이 챌린지랩은 확보된 기술을 인근 농가에 전수합니다.
기후 변화와 고령화로 쇠퇴하는 농촌 공동체를 되살리는 것이 목표입니다.
[권대곤/남해대 스마트팜 챌린지랩 책임교수 : "필요한 연구 기술들을 지역사회에 공유하고 나누어서 지역민들이 더불어 잘 살 수 있는 그런 역할을 대학에서 해야 하지 않나…."]
대학 내부의 연구 역량을 높이기 위한 챌린지 랩이 대학 밖 중소기업과 지역 사회에도 희망의 바람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학과 지역 잇는 ‘챌린지랩’…성과도 공유
-
- 입력 2021-09-29 09:59:36
- 수정2021-09-29 11:06:37

[앵커]
공유대학의 성공 조건을 찾는 기획 보도입니다.
공유대학에선 기업 연계 프로젝트 실험실, 이른바 '챌린지 랩'이 운영 중입니다.
연구 환경이 열악한 지역대학 교수들에게 수도권에 버금가는 인프라를 제공하고 그 성과를 대학과 기업, 지역사회가 공유하는 현장을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창원대학교의 스마트 수소 연구실입니다.
고압위험가스 공급 장치와 수소 촉매 분석기 등 고가의 실험 장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5년 차 이하 젊은 교수들에게 양질의 연구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챌린지랩'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 받았습니다.
[정대운/창원대 '스마트 수소 챌린지랩' 책임 교수 : "우리가(연구실이) 경쟁력이 생기면 이제 그 학생들이 결국에는 지역 산업에 어떤 밑거름이 될 수 있잖아요. 어떤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는 거죠."]
경남대학교 차세대 산업용 로봇 연구실, 사람의 뇌파를 분석해 로봇을 정밀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연구를 공동 수행한 이 IT 기업은 연구실 소속 학부생을 신입사원으로 채용했습니다.
[김재규/IT 기업 대표 : "챌린지 랩을 통해서 저희랑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그 친구의 능력도 알게 되고…."]
새싹삼의 생육 환경을 연구하는 이 챌린지랩은 확보된 기술을 인근 농가에 전수합니다.
기후 변화와 고령화로 쇠퇴하는 농촌 공동체를 되살리는 것이 목표입니다.
[권대곤/남해대 스마트팜 챌린지랩 책임교수 : "필요한 연구 기술들을 지역사회에 공유하고 나누어서 지역민들이 더불어 잘 살 수 있는 그런 역할을 대학에서 해야 하지 않나…."]
대학 내부의 연구 역량을 높이기 위한 챌린지 랩이 대학 밖 중소기업과 지역 사회에도 희망의 바람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공유대학의 성공 조건을 찾는 기획 보도입니다.
공유대학에선 기업 연계 프로젝트 실험실, 이른바 '챌린지 랩'이 운영 중입니다.
연구 환경이 열악한 지역대학 교수들에게 수도권에 버금가는 인프라를 제공하고 그 성과를 대학과 기업, 지역사회가 공유하는 현장을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창원대학교의 스마트 수소 연구실입니다.
고압위험가스 공급 장치와 수소 촉매 분석기 등 고가의 실험 장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5년 차 이하 젊은 교수들에게 양질의 연구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챌린지랩'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 받았습니다.
[정대운/창원대 '스마트 수소 챌린지랩' 책임 교수 : "우리가(연구실이) 경쟁력이 생기면 이제 그 학생들이 결국에는 지역 산업에 어떤 밑거름이 될 수 있잖아요. 어떤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는 거죠."]
경남대학교 차세대 산업용 로봇 연구실, 사람의 뇌파를 분석해 로봇을 정밀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연구를 공동 수행한 이 IT 기업은 연구실 소속 학부생을 신입사원으로 채용했습니다.
[김재규/IT 기업 대표 : "챌린지 랩을 통해서 저희랑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그 친구의 능력도 알게 되고…."]
새싹삼의 생육 환경을 연구하는 이 챌린지랩은 확보된 기술을 인근 농가에 전수합니다.
기후 변화와 고령화로 쇠퇴하는 농촌 공동체를 되살리는 것이 목표입니다.
[권대곤/남해대 스마트팜 챌린지랩 책임교수 : "필요한 연구 기술들을 지역사회에 공유하고 나누어서 지역민들이 더불어 잘 살 수 있는 그런 역할을 대학에서 해야 하지 않나…."]
대학 내부의 연구 역량을 높이기 위한 챌린지 랩이 대학 밖 중소기업과 지역 사회에도 희망의 바람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
김소영 기자 kantapia@kbs.co.kr
김소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