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주인 만난 부산 향토조선소 부활 시동

입력 2021.09.30 (07:30) 수정 2021.09.30 (08: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까지 이어진 장기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은 한진중공업, 대선조선 두 향토 조선소가 올해 채권단 관리를 졸업하고 수주 실적이 급등하는 등 부활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공웅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선조선이 지난해 수주한 친환경 컨테이너선.

선박 도장 작업이 한창입니다.

바로 옆 도크에서는 대형 어업 지도선을 만들고 있습니다.

대선조선이 앞으로 선주에게 인도해야 하는 선박만 24척입니다.

2024년 상반기 일감까지 이미 확보한 겁니다.

또 올해 들어서는 유럽과 중국 선사 등에서 22척, 6억 5천만 달러 상당을 수주했습니다.

지난 4월, 10년간의 채권단 관리를 졸업하고, 동일철강에 인수된 뒤 5개월 만에 수주 실적이 850%가 증가했습니다.

중·소형 해운사가 필요로 하는 소형 특수선 시장에 집중한 결과입니다.

[오창봉/대선조선 영업본부장 : "친환경 선박에 대한 요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 것들에 대해서 저희 자체적인 기술력과 지역에 있는 대학과 해운사, 기술사들과 협력을 통해서 그런 요구 사항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저희가 기술적으로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지역 대표 기업인 한진중공업도 지난달 동부건설컨소시엄이 인수한 뒤 경영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건설사가 인수한 뒤 조선업을 포기하는 게 아니냐는 지역 사회의 우려를 의식해 부산시, 상공회의소 등과 협약을 맺고, 조선업과 고용 유지를 약속했습니다.

[홍문기/한진중공업 대표이사 : "반드시 한진중공업을 조속히 정상화해서 부산 경제에 이바지하는 그런 회사를 만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주력 분야인 방산 분야와 특수 목적선은 물론이고 해운업 호황으로 커진 상선 시장에도 다시 뛰어들 계획입니다.

특히 지역 경제계는 고용 인원 2천 명에, 협력업체가 100곳이 넘는 한진중공업이 중소기업과의 상생에 더 책임 있는 역할을 해달라고 주문했습니다.

[장인화/부산상공회의소 회장 : "부산의 향토기업인 한진중공업이 빠른 정상화를 통해서 지역기업들과 함께 동반 성장하길 기대합니다."]

10년 불황을 뚫고 다시 도약하기 시작한 지역 조선업.

두 조선소가 돌파구를 찾기 힘든 지역 경제에 희망의 불씨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공웅조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새 주인 만난 부산 향토조선소 부활 시동
    • 입력 2021-09-30 07:30:42
    • 수정2021-09-30 08:41:27
    뉴스광장(부산)
[앵커]

지난해까지 이어진 장기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은 한진중공업, 대선조선 두 향토 조선소가 올해 채권단 관리를 졸업하고 수주 실적이 급등하는 등 부활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공웅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선조선이 지난해 수주한 친환경 컨테이너선.

선박 도장 작업이 한창입니다.

바로 옆 도크에서는 대형 어업 지도선을 만들고 있습니다.

대선조선이 앞으로 선주에게 인도해야 하는 선박만 24척입니다.

2024년 상반기 일감까지 이미 확보한 겁니다.

또 올해 들어서는 유럽과 중국 선사 등에서 22척, 6억 5천만 달러 상당을 수주했습니다.

지난 4월, 10년간의 채권단 관리를 졸업하고, 동일철강에 인수된 뒤 5개월 만에 수주 실적이 850%가 증가했습니다.

중·소형 해운사가 필요로 하는 소형 특수선 시장에 집중한 결과입니다.

[오창봉/대선조선 영업본부장 : "친환경 선박에 대한 요구가 많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 것들에 대해서 저희 자체적인 기술력과 지역에 있는 대학과 해운사, 기술사들과 협력을 통해서 그런 요구 사항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저희가 기술적으로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지역 대표 기업인 한진중공업도 지난달 동부건설컨소시엄이 인수한 뒤 경영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건설사가 인수한 뒤 조선업을 포기하는 게 아니냐는 지역 사회의 우려를 의식해 부산시, 상공회의소 등과 협약을 맺고, 조선업과 고용 유지를 약속했습니다.

[홍문기/한진중공업 대표이사 : "반드시 한진중공업을 조속히 정상화해서 부산 경제에 이바지하는 그런 회사를 만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주력 분야인 방산 분야와 특수 목적선은 물론이고 해운업 호황으로 커진 상선 시장에도 다시 뛰어들 계획입니다.

특히 지역 경제계는 고용 인원 2천 명에, 협력업체가 100곳이 넘는 한진중공업이 중소기업과의 상생에 더 책임 있는 역할을 해달라고 주문했습니다.

[장인화/부산상공회의소 회장 : "부산의 향토기업인 한진중공업이 빠른 정상화를 통해서 지역기업들과 함께 동반 성장하길 기대합니다."]

10년 불황을 뚫고 다시 도약하기 시작한 지역 조선업.

두 조선소가 돌파구를 찾기 힘든 지역 경제에 희망의 불씨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공웅조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