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뭐니] 금융 소비자 보호한다는데…챙길 권리는?
입력 2021.09.30 (07:37)
수정 2021.09.30 (08: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시청자들이 궁금해할 생활 속 경제 이야기를 풀어주는 경제뭐니 코너입니다.
금융상품 피해를 막기 위한 강화된 소비자 권리, 황현규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금융소비자보호법이 6개월의 적용 유예기간을 마치고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금융상품에 덜컥 가입했다가 생기는 피해를 막기 위한 법인데요,
2년 전 상황부터 보시죠.
투자자들이 은행을 찾아 항의하는 모습인데요,
1억 원을 예치했는데, 현재 0원이 됐다는 글을 손에 들기도 했습니다.
DLF 사태입니다.
해외 금리와 연계한 금융상품인 DLF에 가입한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봤는데요,
당시 은행에서 투자 위험성 등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제기됐습니다.
이후에도 라임·옵티머스 펀드 등 대규모 금융 피해가 잇따르자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제정됐는데요,
핵심은 은행과 증권사, 투자사 등 금융회사가 반드시 지켜야 할 6대 판매 원칙입니다.
예금과 대출, 투자, 보험 등 모든 금융상품에 적용되는데요,
앞서 DLF 사태에서 봤듯 소비자를 보호하려면 우선 상품 설명이 중요하겠죠.
예금 수익률과 대출 이자율이 얼마인지, 또 펀드 등 투자 상품의 경우 위험 등급을 충분히 설명해줘야 하는데요,
예전보다 금융상품 가입에 시간이 많이 걸려 불편하더라도 설명을 대충 듣고 서명하면 안 되겠죠.
혹시라도 금융회사와 분쟁이 생기면 불리해집니다.
이 밖에도 금융회사는 나이와 소득, 재산 등에 상관 없이 소비자에게 부적합한 상품을 권유할 수 없고요,
변동성이 커 확실하지 않은 수익률을 단정적으로 말해서도 안 됩니다.
이른바 '꺾기'라고 하죠.
대출할 때 보험이나 카드 등을 끼워파는 영업도 못 하게 했습니다.
금융회사가 이런 원칙을 어기고 상품을 판매했다면 최대 1억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하고요,
수입의 최대 50%인 징벌적 과징금도 도입했습니다.
소비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금융회사가 판매 원칙을 위반한걸 안 날로부터 1년 안에, 계약일로부터 최대 5년 안에 금융 상품을 해지할 권리를 갖습니다.
이때 판매사는 수수료나 위약금을 요구할 수 없습니다.
금융상품에 가입한 뒤 마음이 바뀔 경우 상품에 따라 7일에서 30일 안에 계약을 철회할 수도 있는데요,
하지만 무엇보다 금융상품 가입 전에 꼼꼼하게 알아보고 신중하게 결정해야겠죠.
지금까지 경제뭐니였습니다.
시청자들이 궁금해할 생활 속 경제 이야기를 풀어주는 경제뭐니 코너입니다.
금융상품 피해를 막기 위한 강화된 소비자 권리, 황현규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금융소비자보호법이 6개월의 적용 유예기간을 마치고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금융상품에 덜컥 가입했다가 생기는 피해를 막기 위한 법인데요,
2년 전 상황부터 보시죠.
투자자들이 은행을 찾아 항의하는 모습인데요,
1억 원을 예치했는데, 현재 0원이 됐다는 글을 손에 들기도 했습니다.
DLF 사태입니다.
해외 금리와 연계한 금융상품인 DLF에 가입한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봤는데요,
당시 은행에서 투자 위험성 등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제기됐습니다.
이후에도 라임·옵티머스 펀드 등 대규모 금융 피해가 잇따르자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제정됐는데요,
핵심은 은행과 증권사, 투자사 등 금융회사가 반드시 지켜야 할 6대 판매 원칙입니다.
예금과 대출, 투자, 보험 등 모든 금융상품에 적용되는데요,
앞서 DLF 사태에서 봤듯 소비자를 보호하려면 우선 상품 설명이 중요하겠죠.
예금 수익률과 대출 이자율이 얼마인지, 또 펀드 등 투자 상품의 경우 위험 등급을 충분히 설명해줘야 하는데요,
예전보다 금융상품 가입에 시간이 많이 걸려 불편하더라도 설명을 대충 듣고 서명하면 안 되겠죠.
혹시라도 금융회사와 분쟁이 생기면 불리해집니다.
이 밖에도 금융회사는 나이와 소득, 재산 등에 상관 없이 소비자에게 부적합한 상품을 권유할 수 없고요,
변동성이 커 확실하지 않은 수익률을 단정적으로 말해서도 안 됩니다.
이른바 '꺾기'라고 하죠.
대출할 때 보험이나 카드 등을 끼워파는 영업도 못 하게 했습니다.
금융회사가 이런 원칙을 어기고 상품을 판매했다면 최대 1억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하고요,
수입의 최대 50%인 징벌적 과징금도 도입했습니다.
소비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금융회사가 판매 원칙을 위반한걸 안 날로부터 1년 안에, 계약일로부터 최대 5년 안에 금융 상품을 해지할 권리를 갖습니다.
이때 판매사는 수수료나 위약금을 요구할 수 없습니다.
금융상품에 가입한 뒤 마음이 바뀔 경우 상품에 따라 7일에서 30일 안에 계약을 철회할 수도 있는데요,
하지만 무엇보다 금융상품 가입 전에 꼼꼼하게 알아보고 신중하게 결정해야겠죠.
지금까지 경제뭐니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제뭐니] 금융 소비자 보호한다는데…챙길 권리는?
-
- 입력 2021-09-30 07:37:41
- 수정2021-09-30 08:41:27

[앵커]
시청자들이 궁금해할 생활 속 경제 이야기를 풀어주는 경제뭐니 코너입니다.
금융상품 피해를 막기 위한 강화된 소비자 권리, 황현규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금융소비자보호법이 6개월의 적용 유예기간을 마치고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금융상품에 덜컥 가입했다가 생기는 피해를 막기 위한 법인데요,
2년 전 상황부터 보시죠.
투자자들이 은행을 찾아 항의하는 모습인데요,
1억 원을 예치했는데, 현재 0원이 됐다는 글을 손에 들기도 했습니다.
DLF 사태입니다.
해외 금리와 연계한 금융상품인 DLF에 가입한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봤는데요,
당시 은행에서 투자 위험성 등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제기됐습니다.
이후에도 라임·옵티머스 펀드 등 대규모 금융 피해가 잇따르자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제정됐는데요,
핵심은 은행과 증권사, 투자사 등 금융회사가 반드시 지켜야 할 6대 판매 원칙입니다.
예금과 대출, 투자, 보험 등 모든 금융상품에 적용되는데요,
앞서 DLF 사태에서 봤듯 소비자를 보호하려면 우선 상품 설명이 중요하겠죠.
예금 수익률과 대출 이자율이 얼마인지, 또 펀드 등 투자 상품의 경우 위험 등급을 충분히 설명해줘야 하는데요,
예전보다 금융상품 가입에 시간이 많이 걸려 불편하더라도 설명을 대충 듣고 서명하면 안 되겠죠.
혹시라도 금융회사와 분쟁이 생기면 불리해집니다.
이 밖에도 금융회사는 나이와 소득, 재산 등에 상관 없이 소비자에게 부적합한 상품을 권유할 수 없고요,
변동성이 커 확실하지 않은 수익률을 단정적으로 말해서도 안 됩니다.
이른바 '꺾기'라고 하죠.
대출할 때 보험이나 카드 등을 끼워파는 영업도 못 하게 했습니다.
금융회사가 이런 원칙을 어기고 상품을 판매했다면 최대 1억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하고요,
수입의 최대 50%인 징벌적 과징금도 도입했습니다.
소비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금융회사가 판매 원칙을 위반한걸 안 날로부터 1년 안에, 계약일로부터 최대 5년 안에 금융 상품을 해지할 권리를 갖습니다.
이때 판매사는 수수료나 위약금을 요구할 수 없습니다.
금융상품에 가입한 뒤 마음이 바뀔 경우 상품에 따라 7일에서 30일 안에 계약을 철회할 수도 있는데요,
하지만 무엇보다 금융상품 가입 전에 꼼꼼하게 알아보고 신중하게 결정해야겠죠.
지금까지 경제뭐니였습니다.
시청자들이 궁금해할 생활 속 경제 이야기를 풀어주는 경제뭐니 코너입니다.
금융상품 피해를 막기 위한 강화된 소비자 권리, 황현규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금융소비자보호법이 6개월의 적용 유예기간을 마치고 시행에 들어갔습니다.
금융상품에 덜컥 가입했다가 생기는 피해를 막기 위한 법인데요,
2년 전 상황부터 보시죠.
투자자들이 은행을 찾아 항의하는 모습인데요,
1억 원을 예치했는데, 현재 0원이 됐다는 글을 손에 들기도 했습니다.
DLF 사태입니다.
해외 금리와 연계한 금융상품인 DLF에 가입한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봤는데요,
당시 은행에서 투자 위험성 등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제기됐습니다.
이후에도 라임·옵티머스 펀드 등 대규모 금융 피해가 잇따르자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제정됐는데요,
핵심은 은행과 증권사, 투자사 등 금융회사가 반드시 지켜야 할 6대 판매 원칙입니다.
예금과 대출, 투자, 보험 등 모든 금융상품에 적용되는데요,
앞서 DLF 사태에서 봤듯 소비자를 보호하려면 우선 상품 설명이 중요하겠죠.
예금 수익률과 대출 이자율이 얼마인지, 또 펀드 등 투자 상품의 경우 위험 등급을 충분히 설명해줘야 하는데요,
예전보다 금융상품 가입에 시간이 많이 걸려 불편하더라도 설명을 대충 듣고 서명하면 안 되겠죠.
혹시라도 금융회사와 분쟁이 생기면 불리해집니다.
이 밖에도 금융회사는 나이와 소득, 재산 등에 상관 없이 소비자에게 부적합한 상품을 권유할 수 없고요,
변동성이 커 확실하지 않은 수익률을 단정적으로 말해서도 안 됩니다.
이른바 '꺾기'라고 하죠.
대출할 때 보험이나 카드 등을 끼워파는 영업도 못 하게 했습니다.
금융회사가 이런 원칙을 어기고 상품을 판매했다면 최대 1억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하고요,
수입의 최대 50%인 징벌적 과징금도 도입했습니다.
소비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금융회사가 판매 원칙을 위반한걸 안 날로부터 1년 안에, 계약일로부터 최대 5년 안에 금융 상품을 해지할 권리를 갖습니다.
이때 판매사는 수수료나 위약금을 요구할 수 없습니다.
금융상품에 가입한 뒤 마음이 바뀔 경우 상품에 따라 7일에서 30일 안에 계약을 철회할 수도 있는데요,
하지만 무엇보다 금융상품 가입 전에 꼼꼼하게 알아보고 신중하게 결정해야겠죠.
지금까지 경제뭐니였습니다.
-
-
황현규 기자 true@kbs.co.kr
황현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