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위드 코로나’ 체계 전환 필요…치명률·사망률 안정적 관리”

입력 2021.10.01 (16:53) 수정 2021.10.01 (17: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11월 ‘단계적 일상 회복’ 전환을 준비하기 위해 전문가들과 함께 오늘(1일) 첫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토론회에 참석한 윤태호 부산대 의대 교수는 발제를 통해 “코로나19의 치명성에 비해 과도한 자원 투입이 이뤄지고, 인력 피로도가 상당히 높아 지속가능한 대응이 상당히 어렵다”며 “치명률이 독감 수준으로 떨어지면 일상적인 방역·의료대응으로도 관리가 가능하도록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윤 교수는 이 자리에서 ‘3단계 일상회복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1단계는 접종 완료율 70% 이상이 되고 중증환자 수가 300~400명대, 월간 치명률이 0.3%인 경우 적용되는데,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2~3단계에 준하는 방역조치가 시행되지만 백신 접종 완료자는 관련 규제에서 제외됩니다.

접종 완료율이 80% 이상으로 올라가면 2단계가 적용되고 이때는 방역 수준이 거리두기 1~2단계로 완화됩니다.

접종 완료율이 80% 이상이면서 중증환자 수가 300명 미만, 월간 치명률이 0.2% 미만으로 떨어지면 3단계를 시행합니다. 3단계는 개인 위생수칙 준수를 통한 ‘일상회복’을 의미하며, 감염병 위기단계 수준이 하향 조정되고 의료 대응도 일상체계로 전환됩니다.

이재갑 한림대 의대 교수 역시 의료체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재택치료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교수는 “(생활치료센터) 입소 기간을 줄이면서 재택치료를 활성화하고, 추후에는 재택치료가 기본이 되도록 전환돼야 한다”면서도 “신속 전원, 모니터링이 중요하고 확진 환자가 옆집에 있어도 된다는 국민적인 공감대가 없으면 안 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현재 코로나19 진단과 치료가 분리돼 시행되고 있는데 이를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코로나19 전담 병동을 호흡기 감염병 전용 병동으로 개편해 유지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1인실 형태의 호흡기 감염병 전용 중환자실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김 윤 서울대 의대 교수 또한 단계적 일상 회복 전환은 피할 수 없는 수순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김 교수는 “4차 유행에서는 이동량 변화율과 확진자 수 증가 비율을 분석해보니 마이너스 관계를 나타냈다”며 “작년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피해는 20~30조 원 규모로 추정되는데 사회적 약자에 피해가 집중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12월에 시작하면 5차 유행과 맞물려 내년 봄까지 전환이 불가능하다”며 “일상 회복을 위한 전환까지 4~6개월이 소요되므로 11월에 시작된다고 하더라도 내년 4월에 완료된다는 의미”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함께 중증환자 및 사망자 수 최소화에 목표를 둬야 한다고 했습니다.

김 교수는 “하루 1만 명의 확진자가 나오고 위중증 환자가 100~150명인 상황을 가정해 중환자실 병상을 1,500개로 확충하는 한편, 중환자실과 준중환자실을 연계 운영해 병상 회전율을 30%가량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확진자 수 집계와 관련해선 “매일 집계하는 발표를 중단하고 주 1회로 전환해야 한다”며 “초과 사망률, 실업률, 학생 등교율 자영업자 폐업 등 다양한 방역 지표를 산출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문가 “‘위드 코로나’ 체계 전환 필요…치명률·사망률 안정적 관리”
    • 입력 2021-10-01 16:53:10
    • 수정2021-10-01 17:10:10
    사회
정부가 11월 ‘단계적 일상 회복’ 전환을 준비하기 위해 전문가들과 함께 오늘(1일) 첫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토론회에 참석한 윤태호 부산대 의대 교수는 발제를 통해 “코로나19의 치명성에 비해 과도한 자원 투입이 이뤄지고, 인력 피로도가 상당히 높아 지속가능한 대응이 상당히 어렵다”며 “치명률이 독감 수준으로 떨어지면 일상적인 방역·의료대응으로도 관리가 가능하도록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윤 교수는 이 자리에서 ‘3단계 일상회복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1단계는 접종 완료율 70% 이상이 되고 중증환자 수가 300~400명대, 월간 치명률이 0.3%인 경우 적용되는데,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2~3단계에 준하는 방역조치가 시행되지만 백신 접종 완료자는 관련 규제에서 제외됩니다.

접종 완료율이 80% 이상으로 올라가면 2단계가 적용되고 이때는 방역 수준이 거리두기 1~2단계로 완화됩니다.

접종 완료율이 80% 이상이면서 중증환자 수가 300명 미만, 월간 치명률이 0.2% 미만으로 떨어지면 3단계를 시행합니다. 3단계는 개인 위생수칙 준수를 통한 ‘일상회복’을 의미하며, 감염병 위기단계 수준이 하향 조정되고 의료 대응도 일상체계로 전환됩니다.

이재갑 한림대 의대 교수 역시 의료체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재택치료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교수는 “(생활치료센터) 입소 기간을 줄이면서 재택치료를 활성화하고, 추후에는 재택치료가 기본이 되도록 전환돼야 한다”면서도 “신속 전원, 모니터링이 중요하고 확진 환자가 옆집에 있어도 된다는 국민적인 공감대가 없으면 안 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현재 코로나19 진단과 치료가 분리돼 시행되고 있는데 이를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코로나19 전담 병동을 호흡기 감염병 전용 병동으로 개편해 유지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1인실 형태의 호흡기 감염병 전용 중환자실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김 윤 서울대 의대 교수 또한 단계적 일상 회복 전환은 피할 수 없는 수순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김 교수는 “4차 유행에서는 이동량 변화율과 확진자 수 증가 비율을 분석해보니 마이너스 관계를 나타냈다”며 “작년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피해는 20~30조 원 규모로 추정되는데 사회적 약자에 피해가 집중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12월에 시작하면 5차 유행과 맞물려 내년 봄까지 전환이 불가능하다”며 “일상 회복을 위한 전환까지 4~6개월이 소요되므로 11월에 시작된다고 하더라도 내년 4월에 완료된다는 의미”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함께 중증환자 및 사망자 수 최소화에 목표를 둬야 한다고 했습니다.

김 교수는 “하루 1만 명의 확진자가 나오고 위중증 환자가 100~150명인 상황을 가정해 중환자실 병상을 1,500개로 확충하는 한편, 중환자실과 준중환자실을 연계 운영해 병상 회전율을 30%가량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확진자 수 집계와 관련해선 “매일 집계하는 발표를 중단하고 주 1회로 전환해야 한다”며 “초과 사망률, 실업률, 학생 등교율 자영업자 폐업 등 다양한 방역 지표를 산출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