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버려지는 반려동물…“일회성 등록제 한계 뚜렷”

입력 2021.10.04 (21:31) 수정 2021.10.04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네 집 가운데 한 집은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데 주인을 잃어버리거나 버려지는 동물들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최근에 정부가 관리 대책을 내놨는데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공장을 떠돌아다니는 덩치 큰 개 한 마리.

얼마나 굶었는지 배는 홀쭉하게 올라붙었고 갈비뼈와 등뼈가 훤히 보입니다.

머리에는 말라붙은 피딱지.

올무로 추정되는 빨랫줄은 목 깊숙이 파고 들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지난해 구조된 유기 동물은 13만 마리 정도.

올해도 8월까지 6만 8,000여 마리가 길거리를 떠돌다 구조됐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민간 보호소 구조 건은 포함되지 않은 수치입니다.

이처럼 버려진 동물들은 누군가의 학대 대상이 되기 쉽다 보니 공격성이 발휘돼 때로는 안전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부는 유기견에 의한 인명 사고까지 생기자 관리방안을 최근 내놓았습니다.

반려동물 등록률을 현행 30%대에서 70%까지 높이고, 동물보호관리시스템을 내실화해 유기견 문제 등을 개선하겠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금처럼 한번 등록으로 끝나서는 효율적인 유기견 관리가 어렵다고 지적합니다.

주인이 바뀌거나 소재지를 이동했을 경우 등록돼 있어도 반려동물 관리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최초 등록 못지 않게 최신 정보 관리가 그만큼 중요하단 얘기입니다.

[이형주/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대표 : "자발적으로 본인이 1년마다라든지, 소정의 비용을 내고 정보를 갱신하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해외에서는) 갱신한 동물들에 대해서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표식을 하게 한다든가."]

이 밖에 정부가 민간 보호소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겠다고 했지만, 기본적으로 인력과 예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민간 보호소를 지원 없이 감독만 하는 것은 현장과 겉도는 대책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박민경입니다.

촬영기자:임동수/영상편집:신남규/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쉽게 버려지는 반려동물…“일회성 등록제 한계 뚜렷”
    • 입력 2021-10-04 21:31:53
    • 수정2021-10-04 22:00:13
    뉴스 9
[앵커]

요즘 네 집 가운데 한 집은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데 주인을 잃어버리거나 버려지는 동물들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최근에 정부가 관리 대책을 내놨는데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공장을 떠돌아다니는 덩치 큰 개 한 마리.

얼마나 굶었는지 배는 홀쭉하게 올라붙었고 갈비뼈와 등뼈가 훤히 보입니다.

머리에는 말라붙은 피딱지.

올무로 추정되는 빨랫줄은 목 깊숙이 파고 들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지난해 구조된 유기 동물은 13만 마리 정도.

올해도 8월까지 6만 8,000여 마리가 길거리를 떠돌다 구조됐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민간 보호소 구조 건은 포함되지 않은 수치입니다.

이처럼 버려진 동물들은 누군가의 학대 대상이 되기 쉽다 보니 공격성이 발휘돼 때로는 안전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부는 유기견에 의한 인명 사고까지 생기자 관리방안을 최근 내놓았습니다.

반려동물 등록률을 현행 30%대에서 70%까지 높이고, 동물보호관리시스템을 내실화해 유기견 문제 등을 개선하겠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금처럼 한번 등록으로 끝나서는 효율적인 유기견 관리가 어렵다고 지적합니다.

주인이 바뀌거나 소재지를 이동했을 경우 등록돼 있어도 반려동물 관리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최초 등록 못지 않게 최신 정보 관리가 그만큼 중요하단 얘기입니다.

[이형주/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대표 : "자발적으로 본인이 1년마다라든지, 소정의 비용을 내고 정보를 갱신하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해외에서는) 갱신한 동물들에 대해서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표식을 하게 한다든가."]

이 밖에 정부가 민간 보호소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겠다고 했지만, 기본적으로 인력과 예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민간 보호소를 지원 없이 감독만 하는 것은 현장과 겉도는 대책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박민경입니다.

촬영기자:임동수/영상편집:신남규/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