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하는 기자들Q] 방역과 방해 사이 ‘코로나19’ 보도의 목적은?

입력 2021.10.09 (10: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달 안으로 성인의 80% 이상이 백신 접종을 완료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정부도 단계적 일상회복, 이른바 ‘위드코로나’ 준비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 초부터 시작된 백신 접종을 둘러싸고 여러 논란이 있었지만,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백신 접종률을 크게 높일 수 있었습니다.

그럼 언론은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데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위드코로나’를 앞둔 지금, 시대의 흐름에 맞는 보도를 하고 있을까요?

■ ‘오보’부터 ‘백신 공포 조장’까지…신뢰 잃은 코로나19 방역 보도

‘백신’을 둘러싼 언론 보도의 문제점은 올해 초부터 여러 차례 지적돼왔습니다. 이런 논란을 딛고 안정적인 접종률을 보이는 지금은 어떨까. 1차 접종률이 50%를 넘어가던 8월 이후의 기사들로 한정해 살펴봤습니다.

‘백신’ 관련 사망 기사‘백신’ 관련 사망 기사

우선, ‘이상 반응’이나 ‘사망사례’ 관련 보도가 연일 쏟아졌습니다. 주로 백신을 맞은 뒤 며칠 뒤에 숨졌다는 식의 보도입니다. 백신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당사자의 입장을 그대로 전할 뿐 방역 당국의 역학조사나 인과관계에 대한 추가 취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정재훈 가천대학교 예방의학과 교수는 “이상 반응에 대한 조사 같은 것들이 빨라야 몇 주 정도 걸리는데 그사이에 이미 그 사례에 대한 보도는 다 나간다”며 “신속한 보도도 매우 중요하지만 이런 의학적인 사안에 있어서는 최소한의 검증 절차가 어느 정도 있을 필요가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대해 조수진 장로회신학대 교양학부 미디어트랙 교수도 “언론이 너무 성급한 것”이라며 “사망 사례 등에 대한 언론 보도의 기준이 세워져야 이런 성급한 보도를 좀 막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머니투데이가 8월 10일 보도한 ‘2030 접종 보이콧’ 기사머니투데이가 8월 10일 보도한 ‘2030 접종 보이콧’ 기사

백신 접종 반응을 전하면서 ‘과장 보도’로 인해 신문윤리위원회에 ‘경고’를 받은 기사도 있습니다. 8월 10일 보도된 머니투데이의 ‘2030 접종 보이콧’이란 제목의 기사는 세 명의 익명인터뷰 등을 전하며 ”20·30세대 일부는 백신 접종을 거부한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해 신문윤리위는 “일부 사례를 들어 백신접종을 꺼리는 움직임이 대대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양 일반화해 기술한 위 기사는 사안의 전모를 충실하게 전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며 “객관적 사실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예단을 갖고 일방적으로 기사를 작성했다는 의심을 피하기 어렵다. 제목도 본문의 내용을 왜곡 과장했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고 제재 이유를 밝혔습니다.

■ ‘백신 접종’을 바라보는 언론의 시선

‘백신 접종은’ 지난 1년간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이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백신 이상반응부터 어떤 백신이 더 낫다는 식의 백신 선호 문제, 백신 공급 등 시기별로 다양한 논란이 벌어졌습니다.

그럼 언론은 백신을 어떤 관점으로 바라봤을까. 조선, 중앙, 동아일보와 한겨레, 경향신문 등 5대 일간지로 한정해 제목에 ’백신‘이 포함된 1년 치 사설 180개를 분석했습니다.

제목에 ‘백신’이 포함된 5대 일간지 사설 중 정부 비판 비율제목에 ‘백신’이 포함된 5대 일간지 사설 중 정부 비판 비율

우선 사설에서 비판하고 있는 대상을 살펴봤더니, 조선일보 90.7%, 중앙일보 79.4%, 동아일보 41.4%, 경향신문 31.9%, 한겨레 22.2%가 정부를 비판했습니다.

조선일보는 ‘한심’, ‘K방역의 처량한 신세’ 등 평가적인 어휘를 제목에 자주 사용한 반면, 한겨레의 경우 ‘행동으로 이어져야’, ‘더 이상 혼선 없어야’ 등의 대책을 촉구하는 식의 제목이 더 많았습니다.

특히, 한겨레는 정부 외 여당과 야당, 의사협회부터 글로벌 제약회사, G20 국가 등 다양한 대상을 비판했습니다.

이에 대해 강수지 언론인권센터 활동가는 ”코로나 상황이라는 것이 한 사람의 노력으로 절대 해결될 수 있는 부분이 아니어서 힘을 모아서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여야 하는데 언론이 지나치게 정책을 비판하는 기사를 쏟아내다 보면 국민들의 신뢰도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 시국을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그렇게 크게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질문하는기자들Q는 23번째 순서로 ‘코로나19 백신 보도’를 통해 언론이 방역에 ‘방해꾼’ 역할은 하는 것은 아닌지, 국가 재난 위기 상황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짚어봅니다.

KBS 미디어비평 프로그램 ’질문하는 기자들Q‘ 23회는 <’방역과 방해 사이 ‘코로나19’ 보도의 목적은?>이라는 주제로 10일(일) 밤 10시 35분에 KBS1TV에서 방영됩니다. 김솔희 KBS 아나운서가 진행하고 조수진 장로회신학대 교양학부 미디어트랙 교수, 정재훈 가천대학교 예방의학과 교수, 김효신·이세중 KBS 기자가 출연합니다.

<질문하는 기자들 Q> 다시 보기는 KBS 홈페이지와 유튜브 계정에서 가능합니다.
▲ 프로그램 홈페이지: news.kbs.co.kr/vod/program.do?bcd=0193#20210620&1
▲ 유튜브 계정 <질문하는 기자들 Q>: www.youtube.com/c/질문하는기자들Q/featured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질문하는 기자들Q] 방역과 방해 사이 ‘코로나19’ 보도의 목적은?
    • 입력 2021-10-09 10:00:52
    취재K

이달 안으로 성인의 80% 이상이 백신 접종을 완료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정부도 단계적 일상회복, 이른바 ‘위드코로나’ 준비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 초부터 시작된 백신 접종을 둘러싸고 여러 논란이 있었지만,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백신 접종률을 크게 높일 수 있었습니다.

그럼 언론은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데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위드코로나’를 앞둔 지금, 시대의 흐름에 맞는 보도를 하고 있을까요?

■ ‘오보’부터 ‘백신 공포 조장’까지…신뢰 잃은 코로나19 방역 보도

‘백신’을 둘러싼 언론 보도의 문제점은 올해 초부터 여러 차례 지적돼왔습니다. 이런 논란을 딛고 안정적인 접종률을 보이는 지금은 어떨까. 1차 접종률이 50%를 넘어가던 8월 이후의 기사들로 한정해 살펴봤습니다.

‘백신’ 관련 사망 기사
우선, ‘이상 반응’이나 ‘사망사례’ 관련 보도가 연일 쏟아졌습니다. 주로 백신을 맞은 뒤 며칠 뒤에 숨졌다는 식의 보도입니다. 백신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당사자의 입장을 그대로 전할 뿐 방역 당국의 역학조사나 인과관계에 대한 추가 취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정재훈 가천대학교 예방의학과 교수는 “이상 반응에 대한 조사 같은 것들이 빨라야 몇 주 정도 걸리는데 그사이에 이미 그 사례에 대한 보도는 다 나간다”며 “신속한 보도도 매우 중요하지만 이런 의학적인 사안에 있어서는 최소한의 검증 절차가 어느 정도 있을 필요가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대해 조수진 장로회신학대 교양학부 미디어트랙 교수도 “언론이 너무 성급한 것”이라며 “사망 사례 등에 대한 언론 보도의 기준이 세워져야 이런 성급한 보도를 좀 막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머니투데이가 8월 10일 보도한 ‘2030 접종 보이콧’ 기사
백신 접종 반응을 전하면서 ‘과장 보도’로 인해 신문윤리위원회에 ‘경고’를 받은 기사도 있습니다. 8월 10일 보도된 머니투데이의 ‘2030 접종 보이콧’이란 제목의 기사는 세 명의 익명인터뷰 등을 전하며 ”20·30세대 일부는 백신 접종을 거부한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해 신문윤리위는 “일부 사례를 들어 백신접종을 꺼리는 움직임이 대대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양 일반화해 기술한 위 기사는 사안의 전모를 충실하게 전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며 “객관적 사실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예단을 갖고 일방적으로 기사를 작성했다는 의심을 피하기 어렵다. 제목도 본문의 내용을 왜곡 과장했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고 제재 이유를 밝혔습니다.

■ ‘백신 접종’을 바라보는 언론의 시선

‘백신 접종은’ 지난 1년간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이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백신 이상반응부터 어떤 백신이 더 낫다는 식의 백신 선호 문제, 백신 공급 등 시기별로 다양한 논란이 벌어졌습니다.

그럼 언론은 백신을 어떤 관점으로 바라봤을까. 조선, 중앙, 동아일보와 한겨레, 경향신문 등 5대 일간지로 한정해 제목에 ’백신‘이 포함된 1년 치 사설 180개를 분석했습니다.

제목에 ‘백신’이 포함된 5대 일간지 사설 중 정부 비판 비율
우선 사설에서 비판하고 있는 대상을 살펴봤더니, 조선일보 90.7%, 중앙일보 79.4%, 동아일보 41.4%, 경향신문 31.9%, 한겨레 22.2%가 정부를 비판했습니다.

조선일보는 ‘한심’, ‘K방역의 처량한 신세’ 등 평가적인 어휘를 제목에 자주 사용한 반면, 한겨레의 경우 ‘행동으로 이어져야’, ‘더 이상 혼선 없어야’ 등의 대책을 촉구하는 식의 제목이 더 많았습니다.

특히, 한겨레는 정부 외 여당과 야당, 의사협회부터 글로벌 제약회사, G20 국가 등 다양한 대상을 비판했습니다.

이에 대해 강수지 언론인권센터 활동가는 ”코로나 상황이라는 것이 한 사람의 노력으로 절대 해결될 수 있는 부분이 아니어서 힘을 모아서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여야 하는데 언론이 지나치게 정책을 비판하는 기사를 쏟아내다 보면 국민들의 신뢰도가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 시국을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그렇게 크게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질문하는기자들Q는 23번째 순서로 ‘코로나19 백신 보도’를 통해 언론이 방역에 ‘방해꾼’ 역할은 하는 것은 아닌지, 국가 재난 위기 상황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짚어봅니다.

KBS 미디어비평 프로그램 ’질문하는 기자들Q‘ 23회는 <’방역과 방해 사이 ‘코로나19’ 보도의 목적은?>이라는 주제로 10일(일) 밤 10시 35분에 KBS1TV에서 방영됩니다. 김솔희 KBS 아나운서가 진행하고 조수진 장로회신학대 교양학부 미디어트랙 교수, 정재훈 가천대학교 예방의학과 교수, 김효신·이세중 KBS 기자가 출연합니다.

<질문하는 기자들 Q> 다시 보기는 KBS 홈페이지와 유튜브 계정에서 가능합니다.
▲ 프로그램 홈페이지: news.kbs.co.kr/vod/program.do?bcd=0193#20210620&1
▲ 유튜브 계정 <질문하는 기자들 Q>: www.youtube.com/c/질문하는기자들Q/featured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