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산단, 코로나19 이전보다 생산·수출 늘었지만 고용 줄어”

입력 2021.10.13 (10:15) 수정 2021.10.13 (10: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산업단지의 생산과 수출, 가동률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에 비해 늘었지만, 고용은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한국산업단지공단의 ‘국가산업단지 산업동향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국가산단의 총생산액은 258조 원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상반기 대비 16조 원(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수출액은 2019년 상반기에 비해 83억 달러(10.7%) 증가한 860억4천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전경련은 국가산단의 생산액이 ‘V’자 회복을 보이는 이유에 대해 생산액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석유화학과 기계 업종의 수요가 회복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석유화학과 기계 업종의 지난해 상반기 생산액은 2019년에 비해 각각 14조8천200억 원과 2조8천400억 원 감소했지만, 플라스틱 포장 용기 등의 수요가 늘고 각국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한 인프라 투자에 나서면서 올해 상반기 생산액은 작년에 비해 각각 13조7천억 원과 6조9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국가산단 가동률도 지난해 2분기 최저점(72.3%)을 찍은 이후 빠른 속도로 회복해 올해 2분기에는 2017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은 82.2%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올해 2분기 고용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1분기에 비해 약 2만7천 명 감소한 탓에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종별 고용 감소 폭은 전기·전자(-1만6천169명), 운송장비(-5천489명), 기계(-4천685명) 순으로 컸습니다.

전경련은 또 국가산단이 석유화학·운송장비·철강 등 온실가스 배출 업종에 속한 기업 위주로 구성돼 있어 탄소 국경세 도입과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 등 탄소중립 관련 제도 변화로 생산과 수출이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습니다.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수소환원제철 등 탄소 저감 기술을 도입해야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기술 개발 수준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에너지기술평가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CCUS 기술 수준은 미국의 79.7% 수준이며, 수소환원제철 기술도 상용화 시기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탄소 저감기술 도입 없이 기업들이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은 불가능한 만큼 기술개발을 위한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가산단, 코로나19 이전보다 생산·수출 늘었지만 고용 줄어”
    • 입력 2021-10-13 10:15:58
    • 수정2021-10-13 10:16:20
    경제
국가산업단지의 생산과 수출, 가동률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에 비해 늘었지만, 고용은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한국산업단지공단의 ‘국가산업단지 산업동향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국가산단의 총생산액은 258조 원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상반기 대비 16조 원(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수출액은 2019년 상반기에 비해 83억 달러(10.7%) 증가한 860억4천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전경련은 국가산단의 생산액이 ‘V’자 회복을 보이는 이유에 대해 생산액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석유화학과 기계 업종의 수요가 회복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석유화학과 기계 업종의 지난해 상반기 생산액은 2019년에 비해 각각 14조8천200억 원과 2조8천400억 원 감소했지만, 플라스틱 포장 용기 등의 수요가 늘고 각국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한 인프라 투자에 나서면서 올해 상반기 생산액은 작년에 비해 각각 13조7천억 원과 6조9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국가산단 가동률도 지난해 2분기 최저점(72.3%)을 찍은 이후 빠른 속도로 회복해 올해 2분기에는 2017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은 82.2%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올해 2분기 고용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1분기에 비해 약 2만7천 명 감소한 탓에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종별 고용 감소 폭은 전기·전자(-1만6천169명), 운송장비(-5천489명), 기계(-4천685명) 순으로 컸습니다.

전경련은 또 국가산단이 석유화학·운송장비·철강 등 온실가스 배출 업종에 속한 기업 위주로 구성돼 있어 탄소 국경세 도입과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 상향 등 탄소중립 관련 제도 변화로 생산과 수출이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습니다.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수소환원제철 등 탄소 저감 기술을 도입해야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기술 개발 수준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에너지기술평가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CCUS 기술 수준은 미국의 79.7% 수준이며, 수소환원제철 기술도 상용화 시기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탄소 저감기술 도입 없이 기업들이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은 불가능한 만큼 기술개발을 위한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