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감축 40% 실현 가능성은?

입력 2021.10.18 (21:21) 수정 2021.10.18 (21: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보신 것처럼 탄소 감축 계획은 나왔지만 그만큼 숙제도 만만치 않습니다.

기후위기대응팀 김덕훈 기자와 이 문제,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김기자, ​먼저 탄소 40% 감축안, 달성 가능한 겁니까?

[기자]

계산대로라면 지금부터 2030년까지 탄소를 매년 4.17%씩 줄여야 한다는 건데요.

EU가 매년 1.98%, 미국은 2.81%, 우리와 사정이 비슷한 일본도 3.56%를 감축해야 하거든요.

부담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앵커]

그럼 세부적으로 따져보죠.

먼저 ​탄소를 포집·활용·저장하는 신기술을 도입한다, 또, 해외 감축을 하겠다는 내용이 있는데 실현 가능성 어느 정돕니까?

[기자]

먼저 탄소포집, 저장, 활용기술은 공장이나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한 뒤에 땅 속 1km 깊이까지 내려보내 저장하거나, 화학 제품이나 연료로 활용하는 기술입니다.

현재는 1만 톤 포집에만 57억 원이 듭니다.

저장,활용도 2030년까지 상용화가 쉽지 않습니다.

해외 감축 분야도 "해외에 나무 심겠다", "해외에 이미 조성된 숲을 사겠다"... 이런 겁니다.

역시 막대한 재원 조달, 실현 가능성 문제가 걸려 있습니다.

[앵커]

한편으로, 현재 탄소 배출이 가장 많은 산업 분야의 감축 목표는 상대적으로 너무 적게 잡은 거 아니냐는 지적도 있는데요.

[기자]

산업 부문은 경제 성장과 일자리 문제가 달려 있어 민감합니다.

산업 분야의 경우, 2030년까지 3,800만 톤 줄이기로 했습니다.

비슷한 수준으로 탄소를 배출하는 전력 생산 부문의 감축량에 비해 3분의 1 수준에 불과합니다.

흔히 산업계 감축율은 독일의 사례를 많이 참고하는데요.

독일은 같은 기간 감축률이 37.8%입니다.

산업계는 "독일은 탄소 감축 노력을 30년 넘게 했다", "이제 막 탄소 감축을 시작한 국내와 비교하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앵커]

실현하려면 사회 전반이 크게 변할텐데, 개인이 감당해야 할 비용도 적잖을 것 같아요.

[기자]

발전 단가가 떨어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재생에너지 여전히 비쌉니다.

태양광, 풍력 등 자연 환경을 이용하는 탓에 전력 수급이 불안해질 가능성도 높습니다.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겁니다.

또 기업이 저탄소 기술을 개발하거나, 탄소배출권을 사들이는 과정에서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역시 소비자인 국민 개개인이 더 부담하게 될 겁니다.

삶을 유지하는 비용 자체가 비싸지는 겁니다.

이 희생과 비용을 모두 감당해야 탄소중립이 가능합니다.

[앵커]

​김 기자,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영상편집:김용태/그래픽:한종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탄소감축 40% 실현 가능성은?
    • 입력 2021-10-18 21:21:05
    • 수정2021-10-18 21:31:56
    뉴스 9
[앵커]

보신 것처럼 탄소 감축 계획은 나왔지만 그만큼 숙제도 만만치 않습니다.

기후위기대응팀 김덕훈 기자와 이 문제,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김기자, ​먼저 탄소 40% 감축안, 달성 가능한 겁니까?

[기자]

계산대로라면 지금부터 2030년까지 탄소를 매년 4.17%씩 줄여야 한다는 건데요.

EU가 매년 1.98%, 미국은 2.81%, 우리와 사정이 비슷한 일본도 3.56%를 감축해야 하거든요.

부담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앵커]

그럼 세부적으로 따져보죠.

먼저 ​탄소를 포집·활용·저장하는 신기술을 도입한다, 또, 해외 감축을 하겠다는 내용이 있는데 실현 가능성 어느 정돕니까?

[기자]

먼저 탄소포집, 저장, 활용기술은 공장이나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한 뒤에 땅 속 1km 깊이까지 내려보내 저장하거나, 화학 제품이나 연료로 활용하는 기술입니다.

현재는 1만 톤 포집에만 57억 원이 듭니다.

저장,활용도 2030년까지 상용화가 쉽지 않습니다.

해외 감축 분야도 "해외에 나무 심겠다", "해외에 이미 조성된 숲을 사겠다"... 이런 겁니다.

역시 막대한 재원 조달, 실현 가능성 문제가 걸려 있습니다.

[앵커]

한편으로, 현재 탄소 배출이 가장 많은 산업 분야의 감축 목표는 상대적으로 너무 적게 잡은 거 아니냐는 지적도 있는데요.

[기자]

산업 부문은 경제 성장과 일자리 문제가 달려 있어 민감합니다.

산업 분야의 경우, 2030년까지 3,800만 톤 줄이기로 했습니다.

비슷한 수준으로 탄소를 배출하는 전력 생산 부문의 감축량에 비해 3분의 1 수준에 불과합니다.

흔히 산업계 감축율은 독일의 사례를 많이 참고하는데요.

독일은 같은 기간 감축률이 37.8%입니다.

산업계는 "독일은 탄소 감축 노력을 30년 넘게 했다", "이제 막 탄소 감축을 시작한 국내와 비교하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앵커]

실현하려면 사회 전반이 크게 변할텐데, 개인이 감당해야 할 비용도 적잖을 것 같아요.

[기자]

발전 단가가 떨어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재생에너지 여전히 비쌉니다.

태양광, 풍력 등 자연 환경을 이용하는 탓에 전력 수급이 불안해질 가능성도 높습니다.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겁니다.

또 기업이 저탄소 기술을 개발하거나, 탄소배출권을 사들이는 과정에서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역시 소비자인 국민 개개인이 더 부담하게 될 겁니다.

삶을 유지하는 비용 자체가 비싸지는 겁니다.

이 희생과 비용을 모두 감당해야 탄소중립이 가능합니다.

[앵커]

​김 기자,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영상편집:김용태/그래픽:한종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