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기시다의 ‘강경 일변’ 행보…日 전향적 자세 보여야

입력 2021.10.19 (07:52) 수정 2021.10.19 (0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춘호 해설위원

기시다 내각 출범을 계기로 전환점을 모색했던 한일 관계가 좀처럼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대를 모았던 문재인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와의 첫 전화통화도 핵심 사안에서 평행선을 달렸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야스쿠니 신사에 공물을 봉납하고 후쿠시마 원전수 방류를 재확인하는 등 연일 강경한 행보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일말의 관계 개선 의지도 없었던 아베, 스가 전임 총리의 외교 노선을 고스란히 답습하면서 한일관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취임 이후 의도적으로 한일관계를 무시하는 듯한 태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취임 연설에서 한일관계 위상을 한 단계 격하시킨 데 이어 동맹 대상으로도 거론하지 않았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첫 통화도 스가 총리 때보다 뒤로 미뤘고 실제 통화에서도 소극적인 자세를 보였습니다.

핵심 쟁점인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에 대해 문 대통령은 외교적 해법과 소통을 강조했습니다.

정상회담까지 염두에 둔 제안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시다 총리는 원론적으로 공감한다면서도 자국 언론 브리핑에 이 대목을 소개하지 않았고 정상회담에도 선을 그었습니다.

기시다 총리의 태도로 보면 한일관계는 당분간 냉랭한 상태가 지속될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다만 한일 위안부 합의를 주도했다가 곤경에 처했던 기시다 총리가 총선을 의식해 강경 노선을 선택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원래 온건파였던 만큼 이달 말 총선에서 승리할 경우 강경일변도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여기에 기시다 총리가 북핵 대응을 위해 한국과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는 점도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일본 측은 워싱턴과 서울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미일 북핵 대표 회의와 정보기관장 회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악화 일로를 걸어온 양국 관계가 전혀 실마리를 찾지 못한 채 교착 상태에 빠져 있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특히 강제징용 일본 기업의 자산매각 판결까지 나온 만큼 양국 정부의 외교적 해법이 더욱 시급해졌습니다.

우리 정부가 미래지향적 협력을 적극 제의하고 있는 만큼 일본 측도 전향적인 자세로 화답할 땝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기시다의 ‘강경 일변’ 행보…日 전향적 자세 보여야
    • 입력 2021-10-19 07:52:14
    • 수정2021-10-19 07:54:32
    뉴스광장
이춘호 해설위원

기시다 내각 출범을 계기로 전환점을 모색했던 한일 관계가 좀처럼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대를 모았던 문재인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와의 첫 전화통화도 핵심 사안에서 평행선을 달렸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야스쿠니 신사에 공물을 봉납하고 후쿠시마 원전수 방류를 재확인하는 등 연일 강경한 행보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일말의 관계 개선 의지도 없었던 아베, 스가 전임 총리의 외교 노선을 고스란히 답습하면서 한일관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기시다 총리는 취임 이후 의도적으로 한일관계를 무시하는 듯한 태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취임 연설에서 한일관계 위상을 한 단계 격하시킨 데 이어 동맹 대상으로도 거론하지 않았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첫 통화도 스가 총리 때보다 뒤로 미뤘고 실제 통화에서도 소극적인 자세를 보였습니다.

핵심 쟁점인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에 대해 문 대통령은 외교적 해법과 소통을 강조했습니다.

정상회담까지 염두에 둔 제안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시다 총리는 원론적으로 공감한다면서도 자국 언론 브리핑에 이 대목을 소개하지 않았고 정상회담에도 선을 그었습니다.

기시다 총리의 태도로 보면 한일관계는 당분간 냉랭한 상태가 지속될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다만 한일 위안부 합의를 주도했다가 곤경에 처했던 기시다 총리가 총선을 의식해 강경 노선을 선택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원래 온건파였던 만큼 이달 말 총선에서 승리할 경우 강경일변도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여기에 기시다 총리가 북핵 대응을 위해 한국과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는 점도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일본 측은 워싱턴과 서울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미일 북핵 대표 회의와 정보기관장 회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악화 일로를 걸어온 양국 관계가 전혀 실마리를 찾지 못한 채 교착 상태에 빠져 있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특히 강제징용 일본 기업의 자산매각 판결까지 나온 만큼 양국 정부의 외교적 해법이 더욱 시급해졌습니다.

우리 정부가 미래지향적 협력을 적극 제의하고 있는 만큼 일본 측도 전향적인 자세로 화답할 땝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