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석탄 화력발전 7년 만에 첫 증가 전망…에너지대란 여파
입력 2021.10.19 (10:17)
수정 2021.10.19 (10: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석탄 화력 발전량이 올해 7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현지시간 어제(18일) 올해 석탄 화력 발전량이 지난해보다 22%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석탄 화력발전이 전년보다 증가하는 것은 지난 2014년 이후 처음이라고 발표했습니다.
EIA는 석탄과 함께 미국 내 양대 발전 동력원인 천연가스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안정세를 보인 석탄을 이용한 발전량이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통상은 천연가스를 이용한 발전이 석탄보다 연료 효율이 높기 때문에 가격 차이가 크지 않으면 석탄보다는 천연가스 발전을 선호하지만, 지난 1년간 천연가스 가격이 배 이상 오르면서 비용부담이 너무 커졌다고 말했습니다.
지난해에는 전력소비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한데다 천연가스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석탄발전량이 많이 감소했습니다.
2010년 이전에는 70% 이상이던 석탄 화력 발전소의 가동률이 지난해 40%로 떨어졌으나, 올해는 2018년과 비슷한 수준인 51%로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EAI는 그러나 석탄 발전업계가 이미 2010년부터 석탄발전 용량의 30% 정도를 폐쇄했고, 2013년 이후로 신규 석탄 발전시설이 들어서지 않아, 석탄 화력발전 증가세가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여기에 발전소의 비축 석탄량도 많지 않고 석탄 발전 증가에 따른 석탄 수요를 충족시킬 만큼 생산량도 늘어나지 않은 상황이어서 내년 석탄 화력 발전은 5% 정도 감소할 것으로 EIA는 내다봤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현지시간 어제(18일) 올해 석탄 화력 발전량이 지난해보다 22%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석탄 화력발전이 전년보다 증가하는 것은 지난 2014년 이후 처음이라고 발표했습니다.
EIA는 석탄과 함께 미국 내 양대 발전 동력원인 천연가스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안정세를 보인 석탄을 이용한 발전량이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통상은 천연가스를 이용한 발전이 석탄보다 연료 효율이 높기 때문에 가격 차이가 크지 않으면 석탄보다는 천연가스 발전을 선호하지만, 지난 1년간 천연가스 가격이 배 이상 오르면서 비용부담이 너무 커졌다고 말했습니다.
지난해에는 전력소비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한데다 천연가스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석탄발전량이 많이 감소했습니다.
2010년 이전에는 70% 이상이던 석탄 화력 발전소의 가동률이 지난해 40%로 떨어졌으나, 올해는 2018년과 비슷한 수준인 51%로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EAI는 그러나 석탄 발전업계가 이미 2010년부터 석탄발전 용량의 30% 정도를 폐쇄했고, 2013년 이후로 신규 석탄 발전시설이 들어서지 않아, 석탄 화력발전 증가세가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여기에 발전소의 비축 석탄량도 많지 않고 석탄 발전 증가에 따른 석탄 수요를 충족시킬 만큼 생산량도 늘어나지 않은 상황이어서 내년 석탄 화력 발전은 5% 정도 감소할 것으로 EIA는 내다봤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석탄 화력발전 7년 만에 첫 증가 전망…에너지대란 여파
-
- 입력 2021-10-19 10:17:41
- 수정2021-10-19 10:19:24

미국의 석탄 화력 발전량이 올해 7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현지시간 어제(18일) 올해 석탄 화력 발전량이 지난해보다 22%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석탄 화력발전이 전년보다 증가하는 것은 지난 2014년 이후 처음이라고 발표했습니다.
EIA는 석탄과 함께 미국 내 양대 발전 동력원인 천연가스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안정세를 보인 석탄을 이용한 발전량이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통상은 천연가스를 이용한 발전이 석탄보다 연료 효율이 높기 때문에 가격 차이가 크지 않으면 석탄보다는 천연가스 발전을 선호하지만, 지난 1년간 천연가스 가격이 배 이상 오르면서 비용부담이 너무 커졌다고 말했습니다.
지난해에는 전력소비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한데다 천연가스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석탄발전량이 많이 감소했습니다.
2010년 이전에는 70% 이상이던 석탄 화력 발전소의 가동률이 지난해 40%로 떨어졌으나, 올해는 2018년과 비슷한 수준인 51%로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EAI는 그러나 석탄 발전업계가 이미 2010년부터 석탄발전 용량의 30% 정도를 폐쇄했고, 2013년 이후로 신규 석탄 발전시설이 들어서지 않아, 석탄 화력발전 증가세가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여기에 발전소의 비축 석탄량도 많지 않고 석탄 발전 증가에 따른 석탄 수요를 충족시킬 만큼 생산량도 늘어나지 않은 상황이어서 내년 석탄 화력 발전은 5% 정도 감소할 것으로 EIA는 내다봤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현지시간 어제(18일) 올해 석탄 화력 발전량이 지난해보다 22%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석탄 화력발전이 전년보다 증가하는 것은 지난 2014년 이후 처음이라고 발표했습니다.
EIA는 석탄과 함께 미국 내 양대 발전 동력원인 천연가스 가격이 크게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안정세를 보인 석탄을 이용한 발전량이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통상은 천연가스를 이용한 발전이 석탄보다 연료 효율이 높기 때문에 가격 차이가 크지 않으면 석탄보다는 천연가스 발전을 선호하지만, 지난 1년간 천연가스 가격이 배 이상 오르면서 비용부담이 너무 커졌다고 말했습니다.
지난해에는 전력소비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한데다 천연가스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석탄발전량이 많이 감소했습니다.
2010년 이전에는 70% 이상이던 석탄 화력 발전소의 가동률이 지난해 40%로 떨어졌으나, 올해는 2018년과 비슷한 수준인 51%로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EAI는 그러나 석탄 발전업계가 이미 2010년부터 석탄발전 용량의 30% 정도를 폐쇄했고, 2013년 이후로 신규 석탄 발전시설이 들어서지 않아, 석탄 화력발전 증가세가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여기에 발전소의 비축 석탄량도 많지 않고 석탄 발전 증가에 따른 석탄 수요를 충족시킬 만큼 생산량도 늘어나지 않은 상황이어서 내년 석탄 화력 발전은 5% 정도 감소할 것으로 EIA는 내다봤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