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기획]④ 수소로 달린다…생활 속 수소산업 체감

입력 2021.10.26 (19:44) 수정 2021.10.26 (20: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남의 수소산업 현주소를 짚어보는 기획보도입니다.

수소차는 휘발유보다 연료비 부담이 적고 소음과 매연도 없어 쾌적하게 운행할 수 있습니다.

경남에서는 수소승용차와 수소버스에 이어, 수소트램도 선보일 예정이어서 생활 속에서 수소경제를 체감하는 기회가 많아질 전망입니다.

오종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수소 승용차를 6개월 운행한 박건우 씨, 휘발유 차를 운전할 때보다 연료비 지출이 3분 1 정도 줄었습니다.

주로 창원 시내를 오가는데 2주일에 한 차례만 충전하면 돼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습니다.

[박건우/수소 승용차 이용자 : "연비 좋게 운전하면 진짜 잘 타는 사람들은 한 700km 정도 나오는 거 같고. 저는 평균적으로 한 650km 정도 나오는 거 같습니다."]

달리는 공기정화기라 불리는 수소 버스, 대기 속 산소를 정화한 뒤 수소와 반응시켜 생산한 전기로 운행하는데 대기오염물질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고 순수한 물만 배출합니다.

노선을 돌 때마다 하루 수차례씩 충전해야 하는 전기버스와 달리, 하루 한 번 충전만으로 운행이 가능한 게 장점입니다.

[정현진/수소버스 운전기사 : "승객들은 일단 차량 내가 쾌적하고 소음이 없고 또 매연도 없으니까 타시는 분들도 좋아하고."]

창원시는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많은 수소버스 28대를 운행 중인데, 내년까지 100대로 늘릴 계획입니다.

현대로템이 국내 최초로 개발 중인 수소트램도 2024년쯤 양산될 예정입니다.

이 같은 수소 교통수단의 확대는 생활 속에서 수소경제를 체감하는 기회가 될 전망입니다.

[강영택/창원산업진흥원 수소산업본부 본부장 :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위험하지 않고 안전하다는 인식들이 많이 생기고 시민의식이 상당히 개선이 되고 있는 입장입니다."]

경상남도는 현재 천 3백여 대인 수소차를 오는 2025년 만 6천여 대, 2030년 6만 6천 대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오종우입니다.

촬영기자:서다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소기획]④ 수소로 달린다…생활 속 수소산업 체감
    • 입력 2021-10-26 19:44:38
    • 수정2021-10-26 20:49:07
    뉴스7(창원)
[앵커]

경남의 수소산업 현주소를 짚어보는 기획보도입니다.

수소차는 휘발유보다 연료비 부담이 적고 소음과 매연도 없어 쾌적하게 운행할 수 있습니다.

경남에서는 수소승용차와 수소버스에 이어, 수소트램도 선보일 예정이어서 생활 속에서 수소경제를 체감하는 기회가 많아질 전망입니다.

오종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수소 승용차를 6개월 운행한 박건우 씨, 휘발유 차를 운전할 때보다 연료비 지출이 3분 1 정도 줄었습니다.

주로 창원 시내를 오가는데 2주일에 한 차례만 충전하면 돼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습니다.

[박건우/수소 승용차 이용자 : "연비 좋게 운전하면 진짜 잘 타는 사람들은 한 700km 정도 나오는 거 같고. 저는 평균적으로 한 650km 정도 나오는 거 같습니다."]

달리는 공기정화기라 불리는 수소 버스, 대기 속 산소를 정화한 뒤 수소와 반응시켜 생산한 전기로 운행하는데 대기오염물질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고 순수한 물만 배출합니다.

노선을 돌 때마다 하루 수차례씩 충전해야 하는 전기버스와 달리, 하루 한 번 충전만으로 운행이 가능한 게 장점입니다.

[정현진/수소버스 운전기사 : "승객들은 일단 차량 내가 쾌적하고 소음이 없고 또 매연도 없으니까 타시는 분들도 좋아하고."]

창원시는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많은 수소버스 28대를 운행 중인데, 내년까지 100대로 늘릴 계획입니다.

현대로템이 국내 최초로 개발 중인 수소트램도 2024년쯤 양산될 예정입니다.

이 같은 수소 교통수단의 확대는 생활 속에서 수소경제를 체감하는 기회가 될 전망입니다.

[강영택/창원산업진흥원 수소산업본부 본부장 :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위험하지 않고 안전하다는 인식들이 많이 생기고 시민의식이 상당히 개선이 되고 있는 입장입니다."]

경상남도는 현재 천 3백여 대인 수소차를 오는 2025년 만 6천여 대, 2030년 6만 6천 대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오종우입니다.

촬영기자:서다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