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① 50도 꺾인 스태빌라이저…“운항 중 충격 가능성”

입력 2021.11.02 (06:36) 수정 2021.11.12 (2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세월호 참사 뒤 7년이 넘게 지났지만, 우리는 아직도 정확한 침몰 원인을 모릅니다.

사회적 참사조사위원회가 어제 침몰 원인과 관련한 새로운 연구보고서를 공개했는데요.

그동안 유력한 원인으로 알려졌던 조타 장치 고장 등 내부적인 원인이 아니라 외부 충격에 의해 급변침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내용입니다.

박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16년 세월호 특조위 청문회, 조타수 조 모 씨의 증언입니다.

[김서중/세월호 참사 특조위원/2016년 3월 : "어디에 이상이 있을 수 있겠다고 생각을 해 보셨습니까?"]

[조○○/세월호 조타수/2016년 3월 : "저희 배의 그 날개 부분에, 날개 부분에 뭔가 약간의 충격을 받은 느낌이 있었습니다. 그때 당시에."]

[김서중/세월호 참사 특조위원/2016년 3월 : "날개라고 얘기하면 스태빌라이저 얘기하는 겁니까?"]

[조○○/세월호 조타수/2016년 3월 : "예, 예."]

세월호 선체가 거치돼 있는 목포 신항, 핀 안정기라 불리는 스태빌라이저가 보관돼있습니다.

배 중심부 아래 왼쪽과 오른쪽, 양쪽에 달려 있던 겁니다.

[이유신/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조사관 : "여기를 기준으로 이렇게, 선체 내부 쪽으로 격납이 되어 있다가 작동을 시키면 외부로 나와서 이렇게 움직이는 겁니다."]

축과 날개로 돼 있는데 날개를 움직여 배의 흔들림을 줄여줍니다.

날개는 최대 25도까지 돌아가게 돼 있는데 세월호를 인양해 보니 왼쪽 날개가 50.9도까지 돌아가 있었습니다.

[권영빈/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상임위원/2018년 8월 : "좌현 핀 스태빌라이저가 비정상적으로 그러니까 한계 각을 비정상적으로 벗어나서 비틀린 현상이 발견됐다..."]

날개가 이렇게 비틀리는 시나리오는 크게 두 가지, 세월호가 침몰하면서 해저면과 충돌해 돌아갔거나, 침몰 전 변형이 생겼을 가능성입니다.

사참위는 시험용으로 제작한 스태빌라이저와 세월호의 오른쪽 스태빌라이저를 떼내 실험을 벌였습니다.

[이장현/인하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 " 저희 위탁기관에서 이것을 또 실험으로 유사한 장비를 제작해서 실험으로 확인을 했습니다. 그래서 이론 해석한 결과하고 실험한 결과, 비슷한 크기의 이 회전 하중을 찾을 수가 있었습니다."]

실험 결과 날개가 25도를 넘어 돌아가려면 약 160톤의 힘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면 배가 해저면에 부딪히면서 받은 힘은 어느 정도일까?

사고 지점의 실제 해저면보다 보수적 기준인 자갈 45%를 적용해 힘의 크기를 계산했더니, 결론은 최대 약 70톤을 넘지 않는다였습니다.

사참위 관계자는 실험결과로 볼 때 세월호 좌현 스태빌라이저의 변형이 해저면과 부딪혀 생긴 건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결국 남는 건 침몰 전 운항 중 무언가와 부딪혀 변형이 일어났을 가능성입니다.

사참위는 이런 연구 결과를 오는 5일 조선 학회에서 발표해 전문가들의 검증을 받을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 영상에 사용한 그래픽 중 일부 오류가 있어 수정했음을 알립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월호]① 50도 꺾인 스태빌라이저…“운항 중 충격 가능성”
    • 입력 2021-11-02 06:36:47
    • 수정2021-11-12 22:11:18
    뉴스광장 1부
[앵커]

세월호 참사 뒤 7년이 넘게 지났지만, 우리는 아직도 정확한 침몰 원인을 모릅니다.

사회적 참사조사위원회가 어제 침몰 원인과 관련한 새로운 연구보고서를 공개했는데요.

그동안 유력한 원인으로 알려졌던 조타 장치 고장 등 내부적인 원인이 아니라 외부 충격에 의해 급변침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내용입니다.

박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16년 세월호 특조위 청문회, 조타수 조 모 씨의 증언입니다.

[김서중/세월호 참사 특조위원/2016년 3월 : "어디에 이상이 있을 수 있겠다고 생각을 해 보셨습니까?"]

[조○○/세월호 조타수/2016년 3월 : "저희 배의 그 날개 부분에, 날개 부분에 뭔가 약간의 충격을 받은 느낌이 있었습니다. 그때 당시에."]

[김서중/세월호 참사 특조위원/2016년 3월 : "날개라고 얘기하면 스태빌라이저 얘기하는 겁니까?"]

[조○○/세월호 조타수/2016년 3월 : "예, 예."]

세월호 선체가 거치돼 있는 목포 신항, 핀 안정기라 불리는 스태빌라이저가 보관돼있습니다.

배 중심부 아래 왼쪽과 오른쪽, 양쪽에 달려 있던 겁니다.

[이유신/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조사관 : "여기를 기준으로 이렇게, 선체 내부 쪽으로 격납이 되어 있다가 작동을 시키면 외부로 나와서 이렇게 움직이는 겁니다."]

축과 날개로 돼 있는데 날개를 움직여 배의 흔들림을 줄여줍니다.

날개는 최대 25도까지 돌아가게 돼 있는데 세월호를 인양해 보니 왼쪽 날개가 50.9도까지 돌아가 있었습니다.

[권영빈/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상임위원/2018년 8월 : "좌현 핀 스태빌라이저가 비정상적으로 그러니까 한계 각을 비정상적으로 벗어나서 비틀린 현상이 발견됐다..."]

날개가 이렇게 비틀리는 시나리오는 크게 두 가지, 세월호가 침몰하면서 해저면과 충돌해 돌아갔거나, 침몰 전 변형이 생겼을 가능성입니다.

사참위는 시험용으로 제작한 스태빌라이저와 세월호의 오른쪽 스태빌라이저를 떼내 실험을 벌였습니다.

[이장현/인하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 " 저희 위탁기관에서 이것을 또 실험으로 유사한 장비를 제작해서 실험으로 확인을 했습니다. 그래서 이론 해석한 결과하고 실험한 결과, 비슷한 크기의 이 회전 하중을 찾을 수가 있었습니다."]

실험 결과 날개가 25도를 넘어 돌아가려면 약 160톤의 힘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면 배가 해저면에 부딪히면서 받은 힘은 어느 정도일까?

사고 지점의 실제 해저면보다 보수적 기준인 자갈 45%를 적용해 힘의 크기를 계산했더니, 결론은 최대 약 70톤을 넘지 않는다였습니다.

사참위 관계자는 실험결과로 볼 때 세월호 좌현 스태빌라이저의 변형이 해저면과 부딪혀 생긴 건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결국 남는 건 침몰 전 운항 중 무언가와 부딪혀 변형이 일어났을 가능성입니다.

사참위는 이런 연구 결과를 오는 5일 조선 학회에서 발표해 전문가들의 검증을 받을 계획입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 영상에 사용한 그래픽 중 일부 오류가 있어 수정했음을 알립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