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K] 국악 본향에서 꽃 피운 ‘전북 오페라 35년’
입력 2021.11.04 (19:40)
수정 2021.11.04 (19: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문화K〉 시간입니다.
보통 전북 하면 국악의 고장이라고 하죠.
그런데 전북의 오페라는 어떤가요?
오페라 불모지나 다름없는 전북에서 35년째 전통을 잇고 있는 유일한 오페라단이 있습니다.
깊어가는 가을, 오페라의 묵직한 감동에 한번 빠져보시죠.
이화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사랑하는 이를 그리워하는 애절한 아리아가 울려 퍼집니다.
미 해군 장교를 사랑한 일본 '게이샤'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
오페라 '나비부인'입니다.
오페라 거장 푸치니의 작품으로 전 세계 오페라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변자연/관객 : "웅장하고 코로나 시대에 다시 이렇게 현장에서 무대를 볼 수 있다는 게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너무 뜻깊은 시간을 보내고…."]
오페라 '나비부인'이 전북 무대에 오른 건 이번이 두 번째.
모두 호남오페라단의 공연이었습니다.
국내외에서 실력을 인정받은 지휘자와 성악가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호남 오페라단 무대에 함께 하기 위해섭니다.
[조현애/성악가 : "작업 하나 하나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와 정말 프로적이다.' 서울의 그 어떤 좋은 퀄리티있는 오페라단들하고 같이 비교해볼 때도 정말 뒤짐이 없어요."]
지난 1986년 창단한 '호남 오페라단'.
전국에서 세 번째로 오랜 역사를 가진 민간 오페라단입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오페라가 전무했던 전라북도에 호남오페라단이 처음 깃발을 꽂았고, 모든 고난을 극복하면서…."]
지난 35년 동안 백50여 편의 작품을 만들고, 4백 회 이상 공연을 했습니다.
특히, 지역을 소재로 한 창작 오페라 10여 편을 만들며 전북 문화의 힘을 키웠습니다.
[박진철/성악가 : "창작오페라 한 편을 올리기가 상당히 어려운데 창작 오페라를 수십 편을, 아마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창작 오페라를 제작했다고…."]
지역 인재를 발굴하고, 그들이 성장할 수 있는 발판도 됐습니다.
[김동식/성악가/호남오페라단 부단장 : "여기서 활동하면서 국립오페라단에 가게 됐거든요. 거기서도 호남오페라단의 명성은 항상 듣고 있었거든요."]
국악에 치우친 전북 예술의 저변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존폐 위기를 맞기도 했습니다.
작품 한 편 제작비만도 수억 원.
유료 관객이 적은 지역에서는 공연할 때마다 적자가 쌓였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누적되어온 결손이 너무 커서 제가 감당하기 힘들다. (행정의)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되겠다. 만약에 이것이 안된다면 저는 호남오페라단의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하는 그런 기자회견을 했었죠."]
시간이 흐르면서 행정 지원과 지역 후원이 조금씩 늘었지만, 코로나19가 또다시 발목을 잡았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전공을 살리지 못하고 일용직 일을 찾아서 한다든가, 택시 운전을 한다든가 이런 상황이 되니까 오페라단 단장으로서 음악계의 선배로서 너무 마음이 아팠고요."]
그래도 공연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정기 공연을 고집했던 것이 그런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 무대라도 지켜서 그들(음악인)에게 조금이라도 후배들에게 도움을 주자…."]
이제는 지원이나 후원에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무대를 지킬 수 있는 방안을 세우고 있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오페라페스티벌에 적극적인 참여를, 지방 오페라단들이 같이 하기로 저희가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향의 도시지만 오페라 불모지였던 전북.
그 속에서 뿌리내린 전북 오페라.
[박진철/성악가 : "꼭 한 번 직접 듣고 체험하시면 이런 문화가 있구나. 이런 좋은 것이 있구나를 알게 되실 거고, 앞으로 계속 찾아주실 거라고 믿습니다."]
이제는 세계 무대를 꿈꿉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한국 오페라를 가지고 세계 시장에 나가서 우리 전라북도의 문화적 수준을, 우리 한국의 오페라를 세계 시장에 꼭 내놓고 싶습니다."]
KBS 뉴스 이화연입니다.
촬영:VJ 이현권/편집:공재성
〈문화K〉 시간입니다.
보통 전북 하면 국악의 고장이라고 하죠.
그런데 전북의 오페라는 어떤가요?
오페라 불모지나 다름없는 전북에서 35년째 전통을 잇고 있는 유일한 오페라단이 있습니다.
깊어가는 가을, 오페라의 묵직한 감동에 한번 빠져보시죠.
이화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사랑하는 이를 그리워하는 애절한 아리아가 울려 퍼집니다.
미 해군 장교를 사랑한 일본 '게이샤'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
오페라 '나비부인'입니다.
오페라 거장 푸치니의 작품으로 전 세계 오페라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변자연/관객 : "웅장하고 코로나 시대에 다시 이렇게 현장에서 무대를 볼 수 있다는 게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너무 뜻깊은 시간을 보내고…."]
오페라 '나비부인'이 전북 무대에 오른 건 이번이 두 번째.
모두 호남오페라단의 공연이었습니다.
국내외에서 실력을 인정받은 지휘자와 성악가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호남 오페라단 무대에 함께 하기 위해섭니다.
[조현애/성악가 : "작업 하나 하나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와 정말 프로적이다.' 서울의 그 어떤 좋은 퀄리티있는 오페라단들하고 같이 비교해볼 때도 정말 뒤짐이 없어요."]
지난 1986년 창단한 '호남 오페라단'.
전국에서 세 번째로 오랜 역사를 가진 민간 오페라단입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오페라가 전무했던 전라북도에 호남오페라단이 처음 깃발을 꽂았고, 모든 고난을 극복하면서…."]
지난 35년 동안 백50여 편의 작품을 만들고, 4백 회 이상 공연을 했습니다.
특히, 지역을 소재로 한 창작 오페라 10여 편을 만들며 전북 문화의 힘을 키웠습니다.
[박진철/성악가 : "창작오페라 한 편을 올리기가 상당히 어려운데 창작 오페라를 수십 편을, 아마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창작 오페라를 제작했다고…."]
지역 인재를 발굴하고, 그들이 성장할 수 있는 발판도 됐습니다.
[김동식/성악가/호남오페라단 부단장 : "여기서 활동하면서 국립오페라단에 가게 됐거든요. 거기서도 호남오페라단의 명성은 항상 듣고 있었거든요."]
국악에 치우친 전북 예술의 저변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존폐 위기를 맞기도 했습니다.
작품 한 편 제작비만도 수억 원.
유료 관객이 적은 지역에서는 공연할 때마다 적자가 쌓였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누적되어온 결손이 너무 커서 제가 감당하기 힘들다. (행정의)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되겠다. 만약에 이것이 안된다면 저는 호남오페라단의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하는 그런 기자회견을 했었죠."]
시간이 흐르면서 행정 지원과 지역 후원이 조금씩 늘었지만, 코로나19가 또다시 발목을 잡았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전공을 살리지 못하고 일용직 일을 찾아서 한다든가, 택시 운전을 한다든가 이런 상황이 되니까 오페라단 단장으로서 음악계의 선배로서 너무 마음이 아팠고요."]
그래도 공연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정기 공연을 고집했던 것이 그런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 무대라도 지켜서 그들(음악인)에게 조금이라도 후배들에게 도움을 주자…."]
이제는 지원이나 후원에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무대를 지킬 수 있는 방안을 세우고 있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오페라페스티벌에 적극적인 참여를, 지방 오페라단들이 같이 하기로 저희가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향의 도시지만 오페라 불모지였던 전북.
그 속에서 뿌리내린 전북 오페라.
[박진철/성악가 : "꼭 한 번 직접 듣고 체험하시면 이런 문화가 있구나. 이런 좋은 것이 있구나를 알게 되실 거고, 앞으로 계속 찾아주실 거라고 믿습니다."]
이제는 세계 무대를 꿈꿉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한국 오페라를 가지고 세계 시장에 나가서 우리 전라북도의 문화적 수준을, 우리 한국의 오페라를 세계 시장에 꼭 내놓고 싶습니다."]
KBS 뉴스 이화연입니다.
촬영:VJ 이현권/편집:공재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화K] 국악 본향에서 꽃 피운 ‘전북 오페라 35년’
-
- 입력 2021-11-04 19:40:21
- 수정2021-11-04 19:47:07

[앵커]
〈문화K〉 시간입니다.
보통 전북 하면 국악의 고장이라고 하죠.
그런데 전북의 오페라는 어떤가요?
오페라 불모지나 다름없는 전북에서 35년째 전통을 잇고 있는 유일한 오페라단이 있습니다.
깊어가는 가을, 오페라의 묵직한 감동에 한번 빠져보시죠.
이화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사랑하는 이를 그리워하는 애절한 아리아가 울려 퍼집니다.
미 해군 장교를 사랑한 일본 '게이샤'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
오페라 '나비부인'입니다.
오페라 거장 푸치니의 작품으로 전 세계 오페라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변자연/관객 : "웅장하고 코로나 시대에 다시 이렇게 현장에서 무대를 볼 수 있다는 게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너무 뜻깊은 시간을 보내고…."]
오페라 '나비부인'이 전북 무대에 오른 건 이번이 두 번째.
모두 호남오페라단의 공연이었습니다.
국내외에서 실력을 인정받은 지휘자와 성악가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호남 오페라단 무대에 함께 하기 위해섭니다.
[조현애/성악가 : "작업 하나 하나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와 정말 프로적이다.' 서울의 그 어떤 좋은 퀄리티있는 오페라단들하고 같이 비교해볼 때도 정말 뒤짐이 없어요."]
지난 1986년 창단한 '호남 오페라단'.
전국에서 세 번째로 오랜 역사를 가진 민간 오페라단입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오페라가 전무했던 전라북도에 호남오페라단이 처음 깃발을 꽂았고, 모든 고난을 극복하면서…."]
지난 35년 동안 백50여 편의 작품을 만들고, 4백 회 이상 공연을 했습니다.
특히, 지역을 소재로 한 창작 오페라 10여 편을 만들며 전북 문화의 힘을 키웠습니다.
[박진철/성악가 : "창작오페라 한 편을 올리기가 상당히 어려운데 창작 오페라를 수십 편을, 아마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창작 오페라를 제작했다고…."]
지역 인재를 발굴하고, 그들이 성장할 수 있는 발판도 됐습니다.
[김동식/성악가/호남오페라단 부단장 : "여기서 활동하면서 국립오페라단에 가게 됐거든요. 거기서도 호남오페라단의 명성은 항상 듣고 있었거든요."]
국악에 치우친 전북 예술의 저변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존폐 위기를 맞기도 했습니다.
작품 한 편 제작비만도 수억 원.
유료 관객이 적은 지역에서는 공연할 때마다 적자가 쌓였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누적되어온 결손이 너무 커서 제가 감당하기 힘들다. (행정의)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되겠다. 만약에 이것이 안된다면 저는 호남오페라단의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하는 그런 기자회견을 했었죠."]
시간이 흐르면서 행정 지원과 지역 후원이 조금씩 늘었지만, 코로나19가 또다시 발목을 잡았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전공을 살리지 못하고 일용직 일을 찾아서 한다든가, 택시 운전을 한다든가 이런 상황이 되니까 오페라단 단장으로서 음악계의 선배로서 너무 마음이 아팠고요."]
그래도 공연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정기 공연을 고집했던 것이 그런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 무대라도 지켜서 그들(음악인)에게 조금이라도 후배들에게 도움을 주자…."]
이제는 지원이나 후원에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무대를 지킬 수 있는 방안을 세우고 있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오페라페스티벌에 적극적인 참여를, 지방 오페라단들이 같이 하기로 저희가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향의 도시지만 오페라 불모지였던 전북.
그 속에서 뿌리내린 전북 오페라.
[박진철/성악가 : "꼭 한 번 직접 듣고 체험하시면 이런 문화가 있구나. 이런 좋은 것이 있구나를 알게 되실 거고, 앞으로 계속 찾아주실 거라고 믿습니다."]
이제는 세계 무대를 꿈꿉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한국 오페라를 가지고 세계 시장에 나가서 우리 전라북도의 문화적 수준을, 우리 한국의 오페라를 세계 시장에 꼭 내놓고 싶습니다."]
KBS 뉴스 이화연입니다.
촬영:VJ 이현권/편집:공재성
〈문화K〉 시간입니다.
보통 전북 하면 국악의 고장이라고 하죠.
그런데 전북의 오페라는 어떤가요?
오페라 불모지나 다름없는 전북에서 35년째 전통을 잇고 있는 유일한 오페라단이 있습니다.
깊어가는 가을, 오페라의 묵직한 감동에 한번 빠져보시죠.
이화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사랑하는 이를 그리워하는 애절한 아리아가 울려 퍼집니다.
미 해군 장교를 사랑한 일본 '게이샤'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
오페라 '나비부인'입니다.
오페라 거장 푸치니의 작품으로 전 세계 오페라 애호가들의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변자연/관객 : "웅장하고 코로나 시대에 다시 이렇게 현장에서 무대를 볼 수 있다는 게 음악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너무 뜻깊은 시간을 보내고…."]
오페라 '나비부인'이 전북 무대에 오른 건 이번이 두 번째.
모두 호남오페라단의 공연이었습니다.
국내외에서 실력을 인정받은 지휘자와 성악가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호남 오페라단 무대에 함께 하기 위해섭니다.
[조현애/성악가 : "작업 하나 하나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와 정말 프로적이다.' 서울의 그 어떤 좋은 퀄리티있는 오페라단들하고 같이 비교해볼 때도 정말 뒤짐이 없어요."]
지난 1986년 창단한 '호남 오페라단'.
전국에서 세 번째로 오랜 역사를 가진 민간 오페라단입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오페라가 전무했던 전라북도에 호남오페라단이 처음 깃발을 꽂았고, 모든 고난을 극복하면서…."]
지난 35년 동안 백50여 편의 작품을 만들고, 4백 회 이상 공연을 했습니다.
특히, 지역을 소재로 한 창작 오페라 10여 편을 만들며 전북 문화의 힘을 키웠습니다.
[박진철/성악가 : "창작오페라 한 편을 올리기가 상당히 어려운데 창작 오페라를 수십 편을, 아마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창작 오페라를 제작했다고…."]
지역 인재를 발굴하고, 그들이 성장할 수 있는 발판도 됐습니다.
[김동식/성악가/호남오페라단 부단장 : "여기서 활동하면서 국립오페라단에 가게 됐거든요. 거기서도 호남오페라단의 명성은 항상 듣고 있었거든요."]
국악에 치우친 전북 예술의 저변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존폐 위기를 맞기도 했습니다.
작품 한 편 제작비만도 수억 원.
유료 관객이 적은 지역에서는 공연할 때마다 적자가 쌓였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누적되어온 결손이 너무 커서 제가 감당하기 힘들다. (행정의) 정책적인 배려가 있어야 되겠다. 만약에 이것이 안된다면 저는 호남오페라단의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하는 그런 기자회견을 했었죠."]
시간이 흐르면서 행정 지원과 지역 후원이 조금씩 늘었지만, 코로나19가 또다시 발목을 잡았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전공을 살리지 못하고 일용직 일을 찾아서 한다든가, 택시 운전을 한다든가 이런 상황이 되니까 오페라단 단장으로서 음악계의 선배로서 너무 마음이 아팠고요."]
그래도 공연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정기 공연을 고집했던 것이 그런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 무대라도 지켜서 그들(음악인)에게 조금이라도 후배들에게 도움을 주자…."]
이제는 지원이나 후원에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무대를 지킬 수 있는 방안을 세우고 있습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오페라페스티벌에 적극적인 참여를, 지방 오페라단들이 같이 하기로 저희가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향의 도시지만 오페라 불모지였던 전북.
그 속에서 뿌리내린 전북 오페라.
[박진철/성악가 : "꼭 한 번 직접 듣고 체험하시면 이런 문화가 있구나. 이런 좋은 것이 있구나를 알게 되실 거고, 앞으로 계속 찾아주실 거라고 믿습니다."]
이제는 세계 무대를 꿈꿉니다.
[조장남/(사)호남 오페라단장 : "한국 오페라를 가지고 세계 시장에 나가서 우리 전라북도의 문화적 수준을, 우리 한국의 오페라를 세계 시장에 꼭 내놓고 싶습니다."]
KBS 뉴스 이화연입니다.
촬영:VJ 이현권/편집:공재성
-
-
이화연 기자 yeon@kbs.co.kr
이화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