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상 후유증 겪다 숨진 채 발견…아물지 않은 5·18 상처

입력 2021.11.25 (06:24) 수정 2021.11.25 (07: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5·18 학살의 책임자인 전두환 씨가 사망한 그제, 전남 강진의 저수지에선 5·18 당시 총상을 당해 후유증에 시달리던 60대 남성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이 남성은 지난 40여 년의 고통을 유서에 남겼는데요.

5·18 이후 후유증에 시달리다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 부상자들이 40명이 넘습니다.

김애린 기자입니다.

[리포트]

1980년 5월, 고향인 전남 강진에서 광주에 일을 보러 온 20대 청년.

계엄군의 만행을 목격하고 광주에 남습니다.

총탄에 쓰러진 시민들을 병원으로 옮기던 청년은 자신도 계엄군의 총에 맞아 하반신이 마비됐습니다.

이 청년은 총상 후유증에 시달리던 와중에도 당시 헬기 사격을 목격했다고 증언하는 등 신군부의 만행을 알리는데 앞장서 왔습니다.

[고 이광영 씨/2019년 5월 : "(헬기가 두 번을 이동하면서) 제가 타고 있는 차량을 집중적으로 사격했는데 다행히 우리가 다친 사람은 없고..."]

하지만 이광영 씨는 끝내 그날의 고통을 극복하지 못한 채 68세의 나이로 세상을 등졌습니다.

이 씨는 유서에 5·18에 대한 원한이나 서운함은 모두 잊고 가겠다면서 오랜 기간 통증에 시달려 왔다고 썼습니다.

이 씨는 최근까지 마약성 진통제를 맞으며 통증을 참아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강상원/고 이광영 씨 지인 : "2~3분에 한 번씩 통증이 와요. 그럼 막 몸이 오그라들면서 통증을 이겨내고, 또 이야기하다가 또 갑자기 통증이..."]

5월 단체와 학계 조사 결과 5·18 당시 총상을 입거나 정신적 트라우마로 고통을 받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부상자는 확인된 것만 40명이 넘습니다.

하지만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조사는 단 한 번도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박영순/전 5·18부상자회장 : "그때 당시 총상에 의해서 돌아가신 분은 몇 명이고, 또 부상을 당하신 분은 몇명이고, 그 이후에 총상으로 인해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전혀 실태 조사가 안 되어 있죠."]

5·18 이후 41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부상자들은 여전히 최초 발포 명령자도 밝히지 못하는 현실에 좌절하며 고통 속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 조민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총상 후유증 겪다 숨진 채 발견…아물지 않은 5·18 상처
    • 입력 2021-11-25 06:24:15
    • 수정2021-11-25 07:55:39
    뉴스광장 1부
[앵커]

5·18 학살의 책임자인 전두환 씨가 사망한 그제, 전남 강진의 저수지에선 5·18 당시 총상을 당해 후유증에 시달리던 60대 남성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이 남성은 지난 40여 년의 고통을 유서에 남겼는데요.

5·18 이후 후유증에 시달리다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 부상자들이 40명이 넘습니다.

김애린 기자입니다.

[리포트]

1980년 5월, 고향인 전남 강진에서 광주에 일을 보러 온 20대 청년.

계엄군의 만행을 목격하고 광주에 남습니다.

총탄에 쓰러진 시민들을 병원으로 옮기던 청년은 자신도 계엄군의 총에 맞아 하반신이 마비됐습니다.

이 청년은 총상 후유증에 시달리던 와중에도 당시 헬기 사격을 목격했다고 증언하는 등 신군부의 만행을 알리는데 앞장서 왔습니다.

[고 이광영 씨/2019년 5월 : "(헬기가 두 번을 이동하면서) 제가 타고 있는 차량을 집중적으로 사격했는데 다행히 우리가 다친 사람은 없고..."]

하지만 이광영 씨는 끝내 그날의 고통을 극복하지 못한 채 68세의 나이로 세상을 등졌습니다.

이 씨는 유서에 5·18에 대한 원한이나 서운함은 모두 잊고 가겠다면서 오랜 기간 통증에 시달려 왔다고 썼습니다.

이 씨는 최근까지 마약성 진통제를 맞으며 통증을 참아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강상원/고 이광영 씨 지인 : "2~3분에 한 번씩 통증이 와요. 그럼 막 몸이 오그라들면서 통증을 이겨내고, 또 이야기하다가 또 갑자기 통증이..."]

5월 단체와 학계 조사 결과 5·18 당시 총상을 입거나 정신적 트라우마로 고통을 받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부상자는 확인된 것만 40명이 넘습니다.

하지만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조사는 단 한 번도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박영순/전 5·18부상자회장 : "그때 당시 총상에 의해서 돌아가신 분은 몇 명이고, 또 부상을 당하신 분은 몇명이고, 그 이후에 총상으로 인해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전혀 실태 조사가 안 되어 있죠."]

5·18 이후 41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부상자들은 여전히 최초 발포 명령자도 밝히지 못하는 현실에 좌절하며 고통 속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애린입니다.

촬영기자:박석수 조민웅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