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여론조사] 새만금 착공 30년 여론조사…전북도민 평가는?

입력 2021.11.26 (15: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착공 30년 새만금.. 전북도민 여론조사 실시

지난 1987년 당시 노태우 대통령 후보의 선거공약으로 채택된 뒤 1991년 첫 삽을 뜬 새만금 사업.
착공 30주년을 맞아 KBS전주방송총국이 전북도민들을 상대로 새만금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전북도민들은 새만금 사업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56.1%가 '알고 있다'고 응답했는데, 잘 모른다는 답변도 44%에 달했습니다.

새만금 사업 전북 발전에 도움 됐나?

새만금 사업이 전북 발전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됐느냐는 질문에는 '도움 됐다'가 48.4%, '도움 되지 않았다'가 42.3%로, '도움 됐다'가 조금 더 높았습니다.

도움이 됐다고 생각한 이유로는 '미래 유망 첨단산업을 유치할 수 있는 기반조성이 돼서'가 35.1%로 가장 많았고, '일자리 창출, 관광객 유치 등에 도움이 돼서'가 31.4%, '도로, 철도, 항만 등 기반시설이 확충돼서'가 28.2%로 뒤를 이었습니다. 30년 전 당초 새만금 개발의 목적이었던 '식량안보에 도움 돼서'는 2.8%에 그쳤습니다.

반대로 도움 되지 않았다고 생각한 이유로는, '지지부진한 개발로 인해 오히려 전북 발전을 저해시키기 때문에'가 50.7%로 절반가량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수질 및 해양생태계 오염 등 환경문제로 피해가 크기 때문에'가 21.6%, '새만금 사업에만 집중해 다른 분야 발전이 오히려 어려워졌기 때문에'가 15.8%, '새만금 관할을 두고 지자체간, 주민간 갈등으로 지역통합을 저해해서'가 6%로 뒤를 이었습니다.


■ 응답자의 68% "새만금 사업 원활히 추진 안 돼"

지난 30년 동안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됐다고 생각하는지도 물었는데 '그렇다'는 24.8%에 그쳤고, '그렇지 않다'는 68.1%로 나타났습니다.

원활하게 추진되지 않았다고 답한 응답자들에게만 따로 이유를 물어봤더니, '중앙정부의 추진 의지가 미흡하기 때문에'가 42.2%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사업변경, 중단 등 빈번한 추진 지연 등으로 인해'가 18.3%, '수질 및 환경 생태 문제 등 계속된 환경논쟁 때문에'가 15.2%, '전라북도와 지역 정치권의 대응이 부족해서'가 13.8%, '사업 타당성이 부족해서' 8.8% 순이었습니다.

새만금 사업 민간투자 활성화에 가장 필요한 것으로, '도로, 공항, 항만 등 기반시설 확충'이라는 응답이 38%로 가장 많았고, '세제 등 각종 지원, 추가 인센티브 확대'가 18%, '인허가 등 각종 규제 완화'와 '저렴한 장기임대용지 제공'은 모두 14.1%로 나타났습니다.

새만금 기본계획 변경에 따라 새만금을 글로벌 신산업 중심지로 육성하는 2단계 새만금 기본계획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4.6%가 찬성한다고 답했고, 반대한다는 응답은 12%에 그쳤습니다.

앞으로 새만금 사업의 가장 중요한 발전 방향에 대해서는 '세계를 선도하는 그린 에너지와 신산업 허브 조성'과 '특색있는 관광 생태중심도시 건설'이 각각 22.7%로 같았습니다. '세계로 열린 개방형 경제특구 조성'이 22.2%로 나타났고, '모두가 살고 싶은 명품 수변도시'와 '친환경 첨단농업 육성 거점'이 뒤를 이었습니다.

'전북 대표 공약' 새만금..계속 집중? 다른 사업 발굴?

내년 대선 후보들의 새만금 사업 지원 공약 여부에 대해서는 다른 대표 공약을 발굴해야 한다는 응답이 48.6%, 새만금을 대표 공약으로 계속 집중해야 한다는 응답은 46.3%로 비슷하게 나타났습니다.


새만금 사업을 제외한 향후 전북의 새로운 성장 동력 분야에 대한 질문에는 문화·생태 관광산업이
23.8%로 가장 많았고, 농생명·식품산업이 21.1%, 탄소·융복합부품 소재 산업 21%, 태양광·풍력·수소 등 신재생 에너지 산업 20.1%로 나타났고, 제3 금융중심지 지정 등 금융산업은 9.7%에 그쳤습니다.

■ "균형발전 위해 전북 초광역 협력해야"

최근 정부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초광역 협력에 대해선 응답자 가운데 82.7%가 동의한다고 밝혔고, 10.9%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광역시가 없는 전북이 다른 광역권과 연계, 협력한다면 어느 권역과 해야 하냐는 질문에는 대전·세종·충청권이 40.3%로 가장 많았고, 광주·전남권이 33.6%로 뒤를 이었습니다. 수도권은 12.8%, 부산·울산·경남권이 4.2%, 대구·경북권 1.7%, 강원, 제주 1.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북 여론조사] 새만금 착공 30년 여론조사…전북도민 평가는?
    • 입력 2021-11-26 15:58:24
    취재K

착공 30년 새만금.. 전북도민 여론조사 실시

지난 1987년 당시 노태우 대통령 후보의 선거공약으로 채택된 뒤 1991년 첫 삽을 뜬 새만금 사업.
착공 30주년을 맞아 KBS전주방송총국이 전북도민들을 상대로 새만금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전북도민들은 새만금 사업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56.1%가 '알고 있다'고 응답했는데, 잘 모른다는 답변도 44%에 달했습니다.

새만금 사업 전북 발전에 도움 됐나?

새만금 사업이 전북 발전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됐느냐는 질문에는 '도움 됐다'가 48.4%, '도움 되지 않았다'가 42.3%로, '도움 됐다'가 조금 더 높았습니다.

도움이 됐다고 생각한 이유로는 '미래 유망 첨단산업을 유치할 수 있는 기반조성이 돼서'가 35.1%로 가장 많았고, '일자리 창출, 관광객 유치 등에 도움이 돼서'가 31.4%, '도로, 철도, 항만 등 기반시설이 확충돼서'가 28.2%로 뒤를 이었습니다. 30년 전 당초 새만금 개발의 목적이었던 '식량안보에 도움 돼서'는 2.8%에 그쳤습니다.

반대로 도움 되지 않았다고 생각한 이유로는, '지지부진한 개발로 인해 오히려 전북 발전을 저해시키기 때문에'가 50.7%로 절반가량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수질 및 해양생태계 오염 등 환경문제로 피해가 크기 때문에'가 21.6%, '새만금 사업에만 집중해 다른 분야 발전이 오히려 어려워졌기 때문에'가 15.8%, '새만금 관할을 두고 지자체간, 주민간 갈등으로 지역통합을 저해해서'가 6%로 뒤를 이었습니다.


■ 응답자의 68% "새만금 사업 원활히 추진 안 돼"

지난 30년 동안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됐다고 생각하는지도 물었는데 '그렇다'는 24.8%에 그쳤고, '그렇지 않다'는 68.1%로 나타났습니다.

원활하게 추진되지 않았다고 답한 응답자들에게만 따로 이유를 물어봤더니, '중앙정부의 추진 의지가 미흡하기 때문에'가 42.2%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사업변경, 중단 등 빈번한 추진 지연 등으로 인해'가 18.3%, '수질 및 환경 생태 문제 등 계속된 환경논쟁 때문에'가 15.2%, '전라북도와 지역 정치권의 대응이 부족해서'가 13.8%, '사업 타당성이 부족해서' 8.8% 순이었습니다.

새만금 사업 민간투자 활성화에 가장 필요한 것으로, '도로, 공항, 항만 등 기반시설 확충'이라는 응답이 38%로 가장 많았고, '세제 등 각종 지원, 추가 인센티브 확대'가 18%, '인허가 등 각종 규제 완화'와 '저렴한 장기임대용지 제공'은 모두 14.1%로 나타났습니다.

새만금 기본계획 변경에 따라 새만금을 글로벌 신산업 중심지로 육성하는 2단계 새만금 기본계획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4.6%가 찬성한다고 답했고, 반대한다는 응답은 12%에 그쳤습니다.

앞으로 새만금 사업의 가장 중요한 발전 방향에 대해서는 '세계를 선도하는 그린 에너지와 신산업 허브 조성'과 '특색있는 관광 생태중심도시 건설'이 각각 22.7%로 같았습니다. '세계로 열린 개방형 경제특구 조성'이 22.2%로 나타났고, '모두가 살고 싶은 명품 수변도시'와 '친환경 첨단농업 육성 거점'이 뒤를 이었습니다.

'전북 대표 공약' 새만금..계속 집중? 다른 사업 발굴?

내년 대선 후보들의 새만금 사업 지원 공약 여부에 대해서는 다른 대표 공약을 발굴해야 한다는 응답이 48.6%, 새만금을 대표 공약으로 계속 집중해야 한다는 응답은 46.3%로 비슷하게 나타났습니다.


새만금 사업을 제외한 향후 전북의 새로운 성장 동력 분야에 대한 질문에는 문화·생태 관광산업이
23.8%로 가장 많았고, 농생명·식품산업이 21.1%, 탄소·융복합부품 소재 산업 21%, 태양광·풍력·수소 등 신재생 에너지 산업 20.1%로 나타났고, 제3 금융중심지 지정 등 금융산업은 9.7%에 그쳤습니다.

■ "균형발전 위해 전북 초광역 협력해야"

최근 정부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초광역 협력에 대해선 응답자 가운데 82.7%가 동의한다고 밝혔고, 10.9%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광역시가 없는 전북이 다른 광역권과 연계, 협력한다면 어느 권역과 해야 하냐는 질문에는 대전·세종·충청권이 40.3%로 가장 많았고, 광주·전남권이 33.6%로 뒤를 이었습니다. 수도권은 12.8%, 부산·울산·경남권이 4.2%, 대구·경북권 1.7%, 강원, 제주 1.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