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내년 예산 18.6조 원…“디지털 뉴딜 예산 33.3% 증가”

입력 2021.12.03 (15:37) 수정 2021.12.03 (15: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오늘(3일) 국회 의결을 거쳐 2022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의 총지출 규모가 올해(17조 5,154억 원·추경 제외 본예산 기준)보다 1조 583억 원(6%) 늘어난 18조 5,737억 원으로 결정됐다고 밝혔습니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뉴딜 2.0과 기초·원천 및 첨단 전략기술 연구개발(R&D)·3대 신산업 육성·과학기술 정보통신 인재양성 및 포용사회 실현을 위한 예산이 확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디지털 뉴딜 예산은 올해보다 33.3% 늘어난 2조 7,300억 원이 배정됐습니다.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에 5,797억 원이 투입되고, AI·데이터 바우처 지원 사업에 2,221억 원이 쓰입니다.

또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콘텐츠 산업 육성에 887억 원이 사용됩니다.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해킹바이러스 대응체계 고도화에도 634억 원이 들어갑니다.

인공지능 연산성능과 전력효율을 향상시키는 신개념 PIM(Processing In Memory)반도체 핵심기술 개발에는 신규 예산 309억 원이 쓰이고,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에 284억 원이 투입됩니다.

기초·원천 기술, 첨단전략기술 분야 예산은 올해보다 9.1% 늘어난 7조 5,600억 원으로 확정됐습니다. 구체적으로 개인 기초연구 지원에 1조 6,283억 원이, 집단 기초연구 지원에 3,731억 원의 예산이 투입됩니다.

신종 감염병 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국가 신약 개발 예산은 올해(150억 원)의 약 3배 규모인 461억 원으로 확정됐습니다. 이와 함께 백신허브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예산 193억 원이 새롭게 배정됐습니다.

또 독자적인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한국형발사체 고도화 사업에 1,728억 원을 투입합니다.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사업에도 320억 원이 신규 배정됐습니다.

이와 함께 7,400억 원을 들여 전문인력 양성을 강화합니다. 대표적으로 우주·양자·반도체 등 과학기술 혁신 인재양성 분야 예산이 올해(174억 원) 대비 큰 폭으로 늘어 403억 원으로 확정됐습니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원천 기술 개발에도 150억 원이 처음 배정됐습니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급속한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소외될 가능성이 있는 취약 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672억 원을 투입해 무선인터넷 인프라를 확대하고, 지역의 연구개발 혁신을 지원하는 데 210억 원을 쓸 예정입니다.

우정서비스 분야는 올해 대비 0.02% 줄어 5조 4,600억 원의 예산이 배정됐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과기정통부 내년 예산 18.6조 원…“디지털 뉴딜 예산 33.3% 증가”
    • 입력 2021-12-03 15:37:42
    • 수정2021-12-03 15:38:39
    IT·과학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오늘(3일) 국회 의결을 거쳐 2022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의 총지출 규모가 올해(17조 5,154억 원·추경 제외 본예산 기준)보다 1조 583억 원(6%) 늘어난 18조 5,737억 원으로 결정됐다고 밝혔습니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뉴딜 2.0과 기초·원천 및 첨단 전략기술 연구개발(R&D)·3대 신산업 육성·과학기술 정보통신 인재양성 및 포용사회 실현을 위한 예산이 확대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디지털 뉴딜 예산은 올해보다 33.3% 늘어난 2조 7,300억 원이 배정됐습니다.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에 5,797억 원이 투입되고, AI·데이터 바우처 지원 사업에 2,221억 원이 쓰입니다.

또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콘텐츠 산업 육성에 887억 원이 사용됩니다.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해킹바이러스 대응체계 고도화에도 634억 원이 들어갑니다.

인공지능 연산성능과 전력효율을 향상시키는 신개념 PIM(Processing In Memory)반도체 핵심기술 개발에는 신규 예산 309억 원이 쓰이고,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에 284억 원이 투입됩니다.

기초·원천 기술, 첨단전략기술 분야 예산은 올해보다 9.1% 늘어난 7조 5,600억 원으로 확정됐습니다. 구체적으로 개인 기초연구 지원에 1조 6,283억 원이, 집단 기초연구 지원에 3,731억 원의 예산이 투입됩니다.

신종 감염병 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국가 신약 개발 예산은 올해(150억 원)의 약 3배 규모인 461억 원으로 확정됐습니다. 이와 함께 백신허브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예산 193억 원이 새롭게 배정됐습니다.

또 독자적인 우주 수송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한국형발사체 고도화 사업에 1,728억 원을 투입합니다.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사업에도 320억 원이 신규 배정됐습니다.

이와 함께 7,400억 원을 들여 전문인력 양성을 강화합니다. 대표적으로 우주·양자·반도체 등 과학기술 혁신 인재양성 분야 예산이 올해(174억 원) 대비 큰 폭으로 늘어 403억 원으로 확정됐습니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원천 기술 개발에도 150억 원이 처음 배정됐습니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급속한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소외될 가능성이 있는 취약 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672억 원을 투입해 무선인터넷 인프라를 확대하고, 지역의 연구개발 혁신을 지원하는 데 210억 원을 쓸 예정입니다.

우정서비스 분야는 올해 대비 0.02% 줄어 5조 4,600억 원의 예산이 배정됐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