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 ‘종전선언 반대서한’에 “대북정책 유지…북한 관여 계속”

입력 2021.12.10 (08:55) 수정 2021.12.10 (08: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공화당 소속 연방 하원의원 35명이 종전선언에 반대하는 서한을 국무부와 백악관에 보낸 것과 관련해, 미국 국무부가 미국의 대북정책은 변하지 않았으며 북한에 대한 관여도 계속 모색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미 국무부 대변인 관계자는 한국계 영 김 등 공화당 의원들이 보낸 종전선언 반대 서한에 대한 논평 요구에 “우리의 정책은 변하지 않았다. 미국은 북한과의 대화와 외교를 통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이루기 위해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보도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미국과 동맹국, 해외 주둔 미군의 안보 증진을 진전시키기 위해 잘 조율된 접근의 일환으로 우리는 계속 북한과의 관여를 모색하겠다”면서 “한국과 일본, 다른 동맹들과 함께 북한에 관여할 최선의 방법을 놓고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을 향해서는 “우리는 어떤 적대적 의도도 갖고 있지 않다. 전제조건 없이 북한과 만날 준비가 돼 있다”며 “북한이 우리의 접촉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기를 희망한다”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앞서 이들 공화당 의원은 북한이 비핵화와 주민들의 인권 존중에 대해 확고한 약속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종전선언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한미의 종전선언 추진에 반대하는 서한을 앤서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성 김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앞으로 발송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국무부, ‘종전선언 반대서한’에 “대북정책 유지…북한 관여 계속”
    • 입력 2021-12-10 08:55:23
    • 수정2021-12-10 08:56:48
    정치
미국 공화당 소속 연방 하원의원 35명이 종전선언에 반대하는 서한을 국무부와 백악관에 보낸 것과 관련해, 미국 국무부가 미국의 대북정책은 변하지 않았으며 북한에 대한 관여도 계속 모색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미 국무부 대변인 관계자는 한국계 영 김 등 공화당 의원들이 보낸 종전선언 반대 서한에 대한 논평 요구에 “우리의 정책은 변하지 않았다. 미국은 북한과의 대화와 외교를 통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이루기 위해 여전히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보도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미국과 동맹국, 해외 주둔 미군의 안보 증진을 진전시키기 위해 잘 조율된 접근의 일환으로 우리는 계속 북한과의 관여를 모색하겠다”면서 “한국과 일본, 다른 동맹들과 함께 북한에 관여할 최선의 방법을 놓고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북한을 향해서는 “우리는 어떤 적대적 의도도 갖고 있지 않다. 전제조건 없이 북한과 만날 준비가 돼 있다”며 “북한이 우리의 접촉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기를 희망한다”라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앞서 이들 공화당 의원은 북한이 비핵화와 주민들의 인권 존중에 대해 확고한 약속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종전선언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한미의 종전선언 추진에 반대하는 서한을 앤서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성 김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앞으로 발송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