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여진 속 고산리 국가지질공원 지층도 무너져

입력 2021.12.15 (21:30) 수정 2021.12.15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주 계신 분들, 어젯(14일)밤 어떻게 보내셨는지요?

깊은 잠 청하기 어려우셨을 것 같습니다.

"괜찮은지" "행여 많이 놀라진 않았는지" 가족과 지인으로부터 안부 전화도 많이 받으셨을텐데요.

제주 인근 해역에선 지금까지 열 차례 넘게 여진이 이어지면서 불안감이 가시질 않습니다.

어제 지진으로 천연기념물이자 세계지질공원인 수월봉도 일부 무너져 내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문준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토 최남단 마라도.

섬을 비추는 CCTV 화면이 심하게 흔들리고 도로에 달린 CCTV도 화면이 흔들립니다.

제주 마라도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9의 강진에 높이 20여 m의 해안절벽 화산쇄설층도 무너져 내렸습니다.

지진의 충격으로 무너져 내린 응회암에는 화산 퇴적층의 무늬가 여전히 선명하게 남아있습니다.

현장 조사 결과 붕괴된 사면이 28㎥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형종/제주도 세계자연유산본부 과장 : "일부 마른 부분과 젖어 있는 부분이 확연히 구분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저희가 봤을 때 어제 지진에 의한 피해가 아닌가."]

2014년 유네스코에서 세계지질공원 지질명소로 지정된 후 탐방객들이 꾸준히 찾는 곳이라 주민들의 안타까움은 더 큽니다.

[강영환/주민 : "지진이 오고 나서 오늘 아침에 와봤더니 이렇게 낙석이 되고 굉장히 위험을 느껴서. 안전에 특별한 조처를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여진은 이틀째 계속됐습니다.

오늘(15일) 오후 3시 6분엔 제주 서남서쪽 40km 부근 해역에서 규모 2.8의 여진이 발생했습니다.

지금까지 여진 중 가장 규모가 컸습니다.

본 지진 이후 지금까지 발생한 여진은 10여 건.

여진으로 인한 피해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지진 발생 이후 비상근무에 들어간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안전관리원은 여진 발생 여부와 피해 상황 등을 실시간 관찰하며 상황 발생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촬영기자:강재윤 신비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잇따른 여진 속 고산리 국가지질공원 지층도 무너져
    • 입력 2021-12-15 21:30:44
    • 수정2021-12-15 22:03:46
    뉴스 9
[앵커]

제주 계신 분들, 어젯(14일)밤 어떻게 보내셨는지요?

깊은 잠 청하기 어려우셨을 것 같습니다.

"괜찮은지" "행여 많이 놀라진 않았는지" 가족과 지인으로부터 안부 전화도 많이 받으셨을텐데요.

제주 인근 해역에선 지금까지 열 차례 넘게 여진이 이어지면서 불안감이 가시질 않습니다.

어제 지진으로 천연기념물이자 세계지질공원인 수월봉도 일부 무너져 내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문준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토 최남단 마라도.

섬을 비추는 CCTV 화면이 심하게 흔들리고 도로에 달린 CCTV도 화면이 흔들립니다.

제주 마라도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9의 강진에 높이 20여 m의 해안절벽 화산쇄설층도 무너져 내렸습니다.

지진의 충격으로 무너져 내린 응회암에는 화산 퇴적층의 무늬가 여전히 선명하게 남아있습니다.

현장 조사 결과 붕괴된 사면이 28㎥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형종/제주도 세계자연유산본부 과장 : "일부 마른 부분과 젖어 있는 부분이 확연히 구분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저희가 봤을 때 어제 지진에 의한 피해가 아닌가."]

2014년 유네스코에서 세계지질공원 지질명소로 지정된 후 탐방객들이 꾸준히 찾는 곳이라 주민들의 안타까움은 더 큽니다.

[강영환/주민 : "지진이 오고 나서 오늘 아침에 와봤더니 이렇게 낙석이 되고 굉장히 위험을 느껴서. 안전에 특별한 조처를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여진은 이틀째 계속됐습니다.

오늘(15일) 오후 3시 6분엔 제주 서남서쪽 40km 부근 해역에서 규모 2.8의 여진이 발생했습니다.

지금까지 여진 중 가장 규모가 컸습니다.

본 지진 이후 지금까지 발생한 여진은 10여 건.

여진으로 인한 피해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지진 발생 이후 비상근무에 들어간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안전관리원은 여진 발생 여부와 피해 상황 등을 실시간 관찰하며 상황 발생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촬영기자:강재윤 신비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