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반도체에 힘입어 11월 생산 3.2%↑…소비는 1.9%↓
입력 2021.12.30 (08:15)
수정 2021.12.30 (09: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광공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동반 상승하면서 전산업생산이 10월보다 3% 넘게 증가했습니다.
반면 소비는 2% 가까이 줄었습니다.
오늘(30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 자료를 보면 11월 전산업생산 지수는 114.4로 한 달 전보다 3.2% 늘었습니다.
지난해 6월 3.9% 이후 1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입니다.
전산업생산은 7월(-0.7%)과 8월(-0.1%)에 두 달 연속 감소를 기록한 뒤 9월 1.1% 증가했습니다.
또 10월에는 1.9% 감소했다 11월 다시 반등을 기록했습니다.
광공업 생산이 5.1% 증가한 가운데 특히 제조업 생산이 5.3% 늘었습니다.
11.3% 증가한 자동차와 4.5% 늘어난 반도체가 전체 제조업의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통계청 빈현준 산업동향과장은 대체공휴일이 있었던 10월보다 조업일수가 늘어난 데다 자동차의 경우 부품 수급 차질이 한 달 전보다 다소 나아지면서 생산이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은 2% 늘었습니다.
2020년 5월 이후 1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입니다.
숙박·음식점업은 5.6% 증가했고, 예술·여가업종의 생산도 8.3%를 기록해 각각 한 달 전보다 증가 폭을 늘렸습니다.
통계청은 11월 사적모임 허용 인원이 늘고 다중시설 영업시간 제한이 해제되는 등 단계적 일상회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건설업과 공공행정도 각각 2.4%, 5.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 조정)는 119.1로 10월보다 1.9% 감소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7월의 -6.1%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으로, 11월 단계적 일상 회복이 소비 증가로는 이어지지 않은 셈입니다.
통계청은 다만 11월 소매판매액 지수 감소는 10월 지표가 121.4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데 따른 상대적 감소, 이른바 기저 효과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평년보다 온화한 날씨로 의류 판매가 감소하고, 가전제품의 경우 교체 수요가 줄어들면서 판매가 다소 부진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 장비 등 기계류 투자와 운송장비 투자가 모두 증가하며 10.9% 늘었습니다.
2014년 11월 이후 7년 만에 최대폭 상승입니다.
건설기성도 2.4% 증가했습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4로 0.4포인트 상승했지만,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3으로 0.4포인트 하락해 7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기획재정부는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대해 "전달에 대한 기저효과 영향과 방역조치 개선, 자동차 생산 차질 완화에 힘입어 생산과 투자 등 주요지표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최근 코로나 확산세 및 거리 두기 재시행 등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으로 대면 서비스업 등 내수에 영향이 우려된다"고 덧붙였습니다.
반면 소비는 2% 가까이 줄었습니다.
오늘(30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 자료를 보면 11월 전산업생산 지수는 114.4로 한 달 전보다 3.2% 늘었습니다.
지난해 6월 3.9% 이후 1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입니다.
전산업생산은 7월(-0.7%)과 8월(-0.1%)에 두 달 연속 감소를 기록한 뒤 9월 1.1% 증가했습니다.
또 10월에는 1.9% 감소했다 11월 다시 반등을 기록했습니다.
광공업 생산이 5.1% 증가한 가운데 특히 제조업 생산이 5.3% 늘었습니다.
11.3% 증가한 자동차와 4.5% 늘어난 반도체가 전체 제조업의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통계청 빈현준 산업동향과장은 대체공휴일이 있었던 10월보다 조업일수가 늘어난 데다 자동차의 경우 부품 수급 차질이 한 달 전보다 다소 나아지면서 생산이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은 2% 늘었습니다.
2020년 5월 이후 1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입니다.
숙박·음식점업은 5.6% 증가했고, 예술·여가업종의 생산도 8.3%를 기록해 각각 한 달 전보다 증가 폭을 늘렸습니다.
통계청은 11월 사적모임 허용 인원이 늘고 다중시설 영업시간 제한이 해제되는 등 단계적 일상회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건설업과 공공행정도 각각 2.4%, 5.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 조정)는 119.1로 10월보다 1.9% 감소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7월의 -6.1%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으로, 11월 단계적 일상 회복이 소비 증가로는 이어지지 않은 셈입니다.
통계청은 다만 11월 소매판매액 지수 감소는 10월 지표가 121.4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데 따른 상대적 감소, 이른바 기저 효과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평년보다 온화한 날씨로 의류 판매가 감소하고, 가전제품의 경우 교체 수요가 줄어들면서 판매가 다소 부진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 장비 등 기계류 투자와 운송장비 투자가 모두 증가하며 10.9% 늘었습니다.
2014년 11월 이후 7년 만에 최대폭 상승입니다.
건설기성도 2.4% 증가했습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4로 0.4포인트 상승했지만,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3으로 0.4포인트 하락해 7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기획재정부는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대해 "전달에 대한 기저효과 영향과 방역조치 개선, 자동차 생산 차질 완화에 힘입어 생산과 투자 등 주요지표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최근 코로나 확산세 및 거리 두기 재시행 등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으로 대면 서비스업 등 내수에 영향이 우려된다"고 덧붙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동차·반도체에 힘입어 11월 생산 3.2%↑…소비는 1.9%↓
-
- 입력 2021-12-30 08:15:39
- 수정2021-12-30 09:33:34

지난달 광공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동반 상승하면서 전산업생산이 10월보다 3% 넘게 증가했습니다.
반면 소비는 2% 가까이 줄었습니다.
오늘(30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 자료를 보면 11월 전산업생산 지수는 114.4로 한 달 전보다 3.2% 늘었습니다.
지난해 6월 3.9% 이후 1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입니다.
전산업생산은 7월(-0.7%)과 8월(-0.1%)에 두 달 연속 감소를 기록한 뒤 9월 1.1% 증가했습니다.
또 10월에는 1.9% 감소했다 11월 다시 반등을 기록했습니다.
광공업 생산이 5.1% 증가한 가운데 특히 제조업 생산이 5.3% 늘었습니다.
11.3% 증가한 자동차와 4.5% 늘어난 반도체가 전체 제조업의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통계청 빈현준 산업동향과장은 대체공휴일이 있었던 10월보다 조업일수가 늘어난 데다 자동차의 경우 부품 수급 차질이 한 달 전보다 다소 나아지면서 생산이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은 2% 늘었습니다.
2020년 5월 이후 1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입니다.
숙박·음식점업은 5.6% 증가했고, 예술·여가업종의 생산도 8.3%를 기록해 각각 한 달 전보다 증가 폭을 늘렸습니다.
통계청은 11월 사적모임 허용 인원이 늘고 다중시설 영업시간 제한이 해제되는 등 단계적 일상회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건설업과 공공행정도 각각 2.4%, 5.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 조정)는 119.1로 10월보다 1.9% 감소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7월의 -6.1%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으로, 11월 단계적 일상 회복이 소비 증가로는 이어지지 않은 셈입니다.
통계청은 다만 11월 소매판매액 지수 감소는 10월 지표가 121.4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데 따른 상대적 감소, 이른바 기저 효과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평년보다 온화한 날씨로 의류 판매가 감소하고, 가전제품의 경우 교체 수요가 줄어들면서 판매가 다소 부진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 장비 등 기계류 투자와 운송장비 투자가 모두 증가하며 10.9% 늘었습니다.
2014년 11월 이후 7년 만에 최대폭 상승입니다.
건설기성도 2.4% 증가했습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4로 0.4포인트 상승했지만,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3으로 0.4포인트 하락해 7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기획재정부는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대해 "전달에 대한 기저효과 영향과 방역조치 개선, 자동차 생산 차질 완화에 힘입어 생산과 투자 등 주요지표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최근 코로나 확산세 및 거리 두기 재시행 등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으로 대면 서비스업 등 내수에 영향이 우려된다"고 덧붙였습니다.
반면 소비는 2% 가까이 줄었습니다.
오늘(30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 자료를 보면 11월 전산업생산 지수는 114.4로 한 달 전보다 3.2% 늘었습니다.
지난해 6월 3.9% 이후 1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입니다.
전산업생산은 7월(-0.7%)과 8월(-0.1%)에 두 달 연속 감소를 기록한 뒤 9월 1.1% 증가했습니다.
또 10월에는 1.9% 감소했다 11월 다시 반등을 기록했습니다.
광공업 생산이 5.1% 증가한 가운데 특히 제조업 생산이 5.3% 늘었습니다.
11.3% 증가한 자동차와 4.5% 늘어난 반도체가 전체 제조업의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통계청 빈현준 산업동향과장은 대체공휴일이 있었던 10월보다 조업일수가 늘어난 데다 자동차의 경우 부품 수급 차질이 한 달 전보다 다소 나아지면서 생산이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은 2% 늘었습니다.
2020년 5월 이후 1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입니다.
숙박·음식점업은 5.6% 증가했고, 예술·여가업종의 생산도 8.3%를 기록해 각각 한 달 전보다 증가 폭을 늘렸습니다.
통계청은 11월 사적모임 허용 인원이 늘고 다중시설 영업시간 제한이 해제되는 등 단계적 일상회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건설업과 공공행정도 각각 2.4%, 5.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반면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 조정)는 119.1로 10월보다 1.9% 감소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7월의 -6.1%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으로, 11월 단계적 일상 회복이 소비 증가로는 이어지지 않은 셈입니다.
통계청은 다만 11월 소매판매액 지수 감소는 10월 지표가 121.4로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데 따른 상대적 감소, 이른바 기저 효과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평년보다 온화한 날씨로 의류 판매가 감소하고, 가전제품의 경우 교체 수요가 줄어들면서 판매가 다소 부진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 장비 등 기계류 투자와 운송장비 투자가 모두 증가하며 10.9% 늘었습니다.
2014년 11월 이후 7년 만에 최대폭 상승입니다.
건설기성도 2.4% 증가했습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4로 0.4포인트 상승했지만,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1.3으로 0.4포인트 하락해 7월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기획재정부는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대해 "전달에 대한 기저효과 영향과 방역조치 개선, 자동차 생산 차질 완화에 힘입어 생산과 투자 등 주요지표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최근 코로나 확산세 및 거리 두기 재시행 등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으로 대면 서비스업 등 내수에 영향이 우려된다"고 덧붙였습니다.
-
-
박예원 기자 air@kbs.co.kr
박예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