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발생 46%는 입산자 등 실화…예방 요령은?

입력 2022.01.11 (19:11) 수정 2022.01.11 (19: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산불은 건조하고 바람이 강한 날씨 속에 사람들의 부주의가 더해졌을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산불 피해를 막을 수 있는데요.

자세한 산불 예방 요령을 구본국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산불은 대부분 사소한 부주의에서 비롯됩니다.

산림청이 산불 발생 원인을 조사한 결과 입산자나 성묘객의 실화가 전체의 46%를 차지했습니다.

논밭이나 쓰레기를 태우다 불이 산으로 옮겨붙은 경우도 31%에 달했습니다.

산불을 키우는 건 날씨 영향이 크지만, 발생은 대부분이 인위적인 원인 때문이란 겁니다.

이 때문에 산불을 막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산불 발생 위험이 커 입산 통제 지역으로 지정된 곳에는 등산을 삼가야 합니다.

등산할 때에는 성냥이나 라이터 등 불이 붙기 쉬운 물건은 두고 가야 합니다.

산이나 산 주변에서는 취사나 흡연을 하지 말아야 하고, 성묘할 때도 불씨를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산 주변에서 논밭을 태우거나 쓰레기를 소각하는 것도 금물입니다.

특히 농사철을 앞둔 봄철은 건조한 데다 바람도 강하게 불기 때문에 불이 주변으로 옮겨붙기 쉽습니다.

농촌에서 어르신들이 소각하다가 큰 산불이나 인명 사고로 이어진 경우가 많은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불가피하게 산림 주변에서 소각을 해야 할 경우 읍·면·동사무소나 시·군·구의 산림 부서에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산림 주변에서 위험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발견하면 즉시 산림청이나 경찰서에 신고해야 합니다.

KBS 뉴스 구본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불 발생 46%는 입산자 등 실화…예방 요령은?
    • 입력 2022-01-11 19:11:27
    • 수정2022-01-11 19:25:27
    뉴스7(창원)
[앵커]

산불은 건조하고 바람이 강한 날씨 속에 사람들의 부주의가 더해졌을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만큼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산불 피해를 막을 수 있는데요.

자세한 산불 예방 요령을 구본국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산불은 대부분 사소한 부주의에서 비롯됩니다.

산림청이 산불 발생 원인을 조사한 결과 입산자나 성묘객의 실화가 전체의 46%를 차지했습니다.

논밭이나 쓰레기를 태우다 불이 산으로 옮겨붙은 경우도 31%에 달했습니다.

산불을 키우는 건 날씨 영향이 크지만, 발생은 대부분이 인위적인 원인 때문이란 겁니다.

이 때문에 산불을 막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산불 발생 위험이 커 입산 통제 지역으로 지정된 곳에는 등산을 삼가야 합니다.

등산할 때에는 성냥이나 라이터 등 불이 붙기 쉬운 물건은 두고 가야 합니다.

산이나 산 주변에서는 취사나 흡연을 하지 말아야 하고, 성묘할 때도 불씨를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산 주변에서 논밭을 태우거나 쓰레기를 소각하는 것도 금물입니다.

특히 농사철을 앞둔 봄철은 건조한 데다 바람도 강하게 불기 때문에 불이 주변으로 옮겨붙기 쉽습니다.

농촌에서 어르신들이 소각하다가 큰 산불이나 인명 사고로 이어진 경우가 많은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불가피하게 산림 주변에서 소각을 해야 할 경우 읍·면·동사무소나 시·군·구의 산림 부서에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산림 주변에서 위험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발견하면 즉시 산림청이나 경찰서에 신고해야 합니다.

KBS 뉴스 구본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