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뉴스] 마이데이터 전면 시행…활용법은?

입력 2022.01.11 (19:23) 수정 2022.01.11 (19: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려운 뉴스를 쉽고 친절하게 풀어드립니다.

'친절한 뉴스' 입니다.

최근 은행들이 앞다퉈 내놓는 광고들이 있는데요,

하나, NH 등 광고 영상들 바로 금융권 가장 뜨거운 키워드인‘마이데이터’, 지난 5일부터 시행 중인 은행자산관리 서비스입니다.

현재 내 금융정보들은 은행과 카드사, 보험사, 증권사 등에 다 흩어져 있죠.

때문에 내 금융정보를 확인하려면 해당 금융회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일일이 확인해야 합니다.

불편하고 번거롭죠.

그렇다면,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어떨까요?

이처럼 각 금융회사에 흩어져 있는 내 금융정보들을 한곳에 모아서 관리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 되면 내가 지정한 금융회사 애플리케이션 하나로 은행거래나 대출정보는 물론이고, 카드대금 사용 내역과 펀드 상품 수익률까지 맞춤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내 소비나 지출 패턴을 분석해 나에게 맞는 금융상품을 추천해 주고요,

내가 어떤 소비를 많이 했는지 재무상태도 체크해줍니다.

나만의 자산관리 전문가가 생기는 겁니다.

[이현경/KB국민은행 마이데이터부 : "카드 승인내역 이런 정보들을 다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이 어떤 지출을 많이 하는지, 어떤 브랜드를 선호하는지 명확하게 파악해서 정말 맞춤형으로 이 사람에게 꼭 필요한 상품이 무엇인지…."]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이른바‘개인신용정보 전송요구권’을 기반으로 시작됐는데요,

쉽게 말해 기존에는 고객이 정보이용 권한을 수동적으로 허락했다면, 이제는 "내 데이터는 직접 관리할 테니 원하는 회사에 내 데이터를 보내주세요" 라고 요구하고 내 금융 정보를 어떤 회사에서 쓸 지 내가 직접 정해 관리할 수 있게 된 겁니다.

그렇다면, 마이데이터는 어떻게 가입하는 걸까요?

먼저, 내가 자주 쓰는 금융회사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해 서비스 가입을 선택하고, 본인 인증과 몇 단계의 동의 절차를 거쳐 어떤 금융회사 정보를 활용할지 선택하면 됩니다.

현재 은행과 카드사, 증권사, 핀테크 업체 등 33곳에서 서비스를 시작을 했고요,

올해 상반기 안에 21개 회사가 추가 서비스를 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편리해진 만큼 남은 숙제도 있는데요,

민감한 금융 정보들이 한곳으로 모이다 보니 보안에 대한 우려는 여전합니다.

한 달간 있었던 시범서비스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도 있었죠.

또한, 개인정보가 지나치게 많이 수집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승주/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실제로 내가 받는 혜택은 뭐고, 나는 어떤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약관 같은 걸 보여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 필요가…."]

앞으로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국세·지방세, 건강보험 등 공공정보, 의료나 교육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된다는데요.

본격적인 마이데이터 시대가 열린 만큼 미비점은 보완하고, 소비자들도 꼼꼼히 따져 현명하게 선택해야겠습니다.

'친절한 뉴스' 양재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친절한 뉴스] 마이데이터 전면 시행…활용법은?
    • 입력 2022-01-11 19:23:46
    • 수정2022-01-11 19:49:34
    뉴스7(광주)
어려운 뉴스를 쉽고 친절하게 풀어드립니다.

'친절한 뉴스' 입니다.

최근 은행들이 앞다퉈 내놓는 광고들이 있는데요,

하나, NH 등 광고 영상들 바로 금융권 가장 뜨거운 키워드인‘마이데이터’, 지난 5일부터 시행 중인 은행자산관리 서비스입니다.

현재 내 금융정보들은 은행과 카드사, 보험사, 증권사 등에 다 흩어져 있죠.

때문에 내 금융정보를 확인하려면 해당 금융회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일일이 확인해야 합니다.

불편하고 번거롭죠.

그렇다면,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어떨까요?

이처럼 각 금융회사에 흩어져 있는 내 금융정보들을 한곳에 모아서 관리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 되면 내가 지정한 금융회사 애플리케이션 하나로 은행거래나 대출정보는 물론이고, 카드대금 사용 내역과 펀드 상품 수익률까지 맞춤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내 소비나 지출 패턴을 분석해 나에게 맞는 금융상품을 추천해 주고요,

내가 어떤 소비를 많이 했는지 재무상태도 체크해줍니다.

나만의 자산관리 전문가가 생기는 겁니다.

[이현경/KB국민은행 마이데이터부 : "카드 승인내역 이런 정보들을 다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이 어떤 지출을 많이 하는지, 어떤 브랜드를 선호하는지 명확하게 파악해서 정말 맞춤형으로 이 사람에게 꼭 필요한 상품이 무엇인지…."]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이른바‘개인신용정보 전송요구권’을 기반으로 시작됐는데요,

쉽게 말해 기존에는 고객이 정보이용 권한을 수동적으로 허락했다면, 이제는 "내 데이터는 직접 관리할 테니 원하는 회사에 내 데이터를 보내주세요" 라고 요구하고 내 금융 정보를 어떤 회사에서 쓸 지 내가 직접 정해 관리할 수 있게 된 겁니다.

그렇다면, 마이데이터는 어떻게 가입하는 걸까요?

먼저, 내가 자주 쓰는 금융회사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해 서비스 가입을 선택하고, 본인 인증과 몇 단계의 동의 절차를 거쳐 어떤 금융회사 정보를 활용할지 선택하면 됩니다.

현재 은행과 카드사, 증권사, 핀테크 업체 등 33곳에서 서비스를 시작을 했고요,

올해 상반기 안에 21개 회사가 추가 서비스를 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편리해진 만큼 남은 숙제도 있는데요,

민감한 금융 정보들이 한곳으로 모이다 보니 보안에 대한 우려는 여전합니다.

한 달간 있었던 시범서비스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도 있었죠.

또한, 개인정보가 지나치게 많이 수집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승주/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실제로 내가 받는 혜택은 뭐고, 나는 어떤 보호를 받을 수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약관 같은 걸 보여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 필요가…."]

앞으로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국세·지방세, 건강보험 등 공공정보, 의료나 교육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된다는데요.

본격적인 마이데이터 시대가 열린 만큼 미비점은 보완하고, 소비자들도 꼼꼼히 따져 현명하게 선택해야겠습니다.

'친절한 뉴스' 양재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