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입장권’ 거래 논란 확산…“판매 금지 요청”

입력 2022.01.11 (21:40) 수정 2022.01.11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한라산 정상 등반을 위한 예약권, 이른바 입장권을 온라인 중고거래 시장에서 거래한다는 소식 KBS가 보도했는데요,

논란이 확산하면서 제주도가 포털과 중고거래 앱 등에 한라산 탐방예약권의 판매 금지를 공식 요청했습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립공원 지정 50주년을 맞은 2020년부터 탐방예약제가 적용된 한라산.

생태계 보전을 위해 정상에 오를 수 있는 탐방객을 하루 천5백 명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설경을 찾는 인파가 몰리면서 예약이 쉽지 않습니다.

한라산 탐방예약시스템입니다.

이달 마지막 주 평일을 선택하고 탐방시간을 고르니 예약이 마감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달 1일까지 모든 예약이 마감될 정도로 인기다 보니 이른바 예약권을 사고 파는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한라산을 검색하니 예약권을 사겠다는 게시물이 하루에만 수십 건 올라오고, 10장이나 갖고 있다며 판매하겠다는 글도 나타납니다.

거래금액도 인원 수에 따라 만 원대부터 10만 원을 넘어서는 것도 있습니다.

한 번에 10명까지 예약할 수 있는 데다 QR 코드만 넘겨주면 신분확인 없이 탐방할 수 있는 제도적 허점을 이용한 겁니다.

[최경진/제주시 조천읍 : "미리 예약이 다 마감이 되어서 실제로 한라산을 가고 싶은 사람은 못 가고, 저 또한 거의 매주 한 번씩 한라산을 갔는데 이제는 거의 못 가는 상황이예요."]

결국, 제주도는 중고거래 앱인 당근마켓을 비롯해 네이버와 카카오 등에도 판매금지 요청 공문을 보내는 한편 시스템 개선을 검토 중입니다.

[김근용/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장 : "이런 문제가 없도록 모니터링을 계속 할 것이고 만약에 차후에도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전화번호를 이용해서 본인 예약 여부를 확인할 생각으로 있습니다."]

한편 이처럼 부작용이 잇따르면서 예약 보증금을 부과하거나 도민 예약을 따로 할당하는 방안도 검토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촬영기자:양경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라산 ‘입장권’ 거래 논란 확산…“판매 금지 요청”
    • 입력 2022-01-11 21:40:41
    • 수정2022-01-11 21:55:41
    뉴스9(제주)
[앵커]

최근 한라산 정상 등반을 위한 예약권, 이른바 입장권을 온라인 중고거래 시장에서 거래한다는 소식 KBS가 보도했는데요,

논란이 확산하면서 제주도가 포털과 중고거래 앱 등에 한라산 탐방예약권의 판매 금지를 공식 요청했습니다.

김가람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립공원 지정 50주년을 맞은 2020년부터 탐방예약제가 적용된 한라산.

생태계 보전을 위해 정상에 오를 수 있는 탐방객을 하루 천5백 명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설경을 찾는 인파가 몰리면서 예약이 쉽지 않습니다.

한라산 탐방예약시스템입니다.

이달 마지막 주 평일을 선택하고 탐방시간을 고르니 예약이 마감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달 1일까지 모든 예약이 마감될 정도로 인기다 보니 이른바 예약권을 사고 파는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한라산을 검색하니 예약권을 사겠다는 게시물이 하루에만 수십 건 올라오고, 10장이나 갖고 있다며 판매하겠다는 글도 나타납니다.

거래금액도 인원 수에 따라 만 원대부터 10만 원을 넘어서는 것도 있습니다.

한 번에 10명까지 예약할 수 있는 데다 QR 코드만 넘겨주면 신분확인 없이 탐방할 수 있는 제도적 허점을 이용한 겁니다.

[최경진/제주시 조천읍 : "미리 예약이 다 마감이 되어서 실제로 한라산을 가고 싶은 사람은 못 가고, 저 또한 거의 매주 한 번씩 한라산을 갔는데 이제는 거의 못 가는 상황이예요."]

결국, 제주도는 중고거래 앱인 당근마켓을 비롯해 네이버와 카카오 등에도 판매금지 요청 공문을 보내는 한편 시스템 개선을 검토 중입니다.

[김근용/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장 : "이런 문제가 없도록 모니터링을 계속 할 것이고 만약에 차후에도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전화번호를 이용해서 본인 예약 여부를 확인할 생각으로 있습니다."]

한편 이처럼 부작용이 잇따르면서 예약 보증금을 부과하거나 도민 예약을 따로 할당하는 방안도 검토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가람입니다.

촬영기자:양경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