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연구원, 실제 원자로와 똑같은 환경 부품 손상 실증 장비 구축

입력 2022.01.17 (16:33) 수정 2022.01.17 (16: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실제 원자로와 똑같은 환경에서 원전 부품의 부식·손상에 대비할 수 있는 실증 장비를 국내 최초로 구축했다고 오늘(17일) 밝혔습니다.

연구원이 개발한 '조사유기 응력부식균열'(IASCC) 설비 환경은 원자로 내부와 같아, 방사화한 소재를 안전하게 실험할 수 있습니다. 이 설비는 원자로 압력용기에 해당하는 고온·고압 반응기에 펌프·냉각수 배관을 연결한 것으로, 실제 원자로와 같은 최대 360도·200기압 이상인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외부에서 원격 조종이 가능한 로봇팔과 반응기 밀봉 때 볼트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반력 암(arm)도 설치됐습니다.

IASCC 실증 장비는 머리카락 굵기 100분의 1 수준인 수㎛(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의 부식 균열까지 정확하게 측정해낼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원자력연구원은 이달부터 1년간 일반 시험구역에서 IASCC 실증 장비를 시운전 후 방사선 차폐 시설 내부에 2대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연구원은 이번 실증 장비가 설치되면 방사선 차폐가 되지 않아 실제 방사화 소재를 실험할 수 없거나, 고준위 시료를 취급하는 대형 콘크리트 핫셀 시설과 혼합돼 있어 교차 오염이 우려되는 기존 실증 장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김성우 박사는 "고리1호기 인출 볼트의 손상 원인 분석, 혁신 소형모듈 원자로(SMR) 재료 연구 등 다양한 분야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공식 유튜브 과학하는원연이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원자력연구원, 실제 원자로와 똑같은 환경 부품 손상 실증 장비 구축
    • 입력 2022-01-17 16:33:28
    • 수정2022-01-17 16:41:58
    IT·과학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실제 원자로와 똑같은 환경에서 원전 부품의 부식·손상에 대비할 수 있는 실증 장비를 국내 최초로 구축했다고 오늘(17일) 밝혔습니다.

연구원이 개발한 '조사유기 응력부식균열'(IASCC) 설비 환경은 원자로 내부와 같아, 방사화한 소재를 안전하게 실험할 수 있습니다. 이 설비는 원자로 압력용기에 해당하는 고온·고압 반응기에 펌프·냉각수 배관을 연결한 것으로, 실제 원자로와 같은 최대 360도·200기압 이상인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외부에서 원격 조종이 가능한 로봇팔과 반응기 밀봉 때 볼트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반력 암(arm)도 설치됐습니다.

IASCC 실증 장비는 머리카락 굵기 100분의 1 수준인 수㎛(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의 부식 균열까지 정확하게 측정해낼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원자력연구원은 이달부터 1년간 일반 시험구역에서 IASCC 실증 장비를 시운전 후 방사선 차폐 시설 내부에 2대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연구원은 이번 실증 장비가 설치되면 방사선 차폐가 되지 않아 실제 방사화 소재를 실험할 수 없거나, 고준위 시료를 취급하는 대형 콘크리트 핫셀 시설과 혼합돼 있어 교차 오염이 우려되는 기존 실증 장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김성우 박사는 "고리1호기 인출 볼트의 손상 원인 분석, 혁신 소형모듈 원자로(SMR) 재료 연구 등 다양한 분야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공식 유튜브 과학하는원연이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