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기관 사이트 접속장애 복구한 듯…디도스 공격 여파 가능성
입력 2022.01.27 (10:13)
수정 2022.01.27 (10: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의 주요 기관 사이트 접속이 오늘(27일) 오전에도 한때 원활하지 않다가 복구됐습니다. 북한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에 따른 여파인지 주목됩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 외무성, 고려항공,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 등의 사이트들은 오늘 오전 8시까지 어제와 마찬가지로 접속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일부 사이트는 잠시 접속이 되기도 했지만 바로 끊어지거나 대기 시간이 길어 잘 열리지 않다가 현재는 평소 수준을 회복했습니다.
어제 발생한 북한에 대한 사이버 공격 여파일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로이터 통신은 어제 영국의 인터넷 보안 연구원 주나드 알리를 인용해 북한에 서비스 거부(디도스·DDoS)로 추정되는 공격이 발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알리 연구원은 사이버 공격이 진행되는 동안 한때 북한을 드나드는 모든 트래픽이 다운되기도 했다면서 이후에도 일부 접속 장애와 지연이 이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어제 오전부터 약 6시간가량 디도스 공격이 이뤄졌고, 이후 이메일을 다루는 서버는 복구됐지만, 나머지 기관 사이트들은 접속 장애가 회복되지 않았다고 알리 연구원은 전했습니다.
디도스는 대량의 접속 시도(트래픽)를 통해 서버에 부담을 주는 사이버 공격 유형을 말합니다. 접속량이 서버 용량을 초과할 정도로 많아지면 서버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습니다.
북한은 정찰총국 등에 해킹 관련 조직을 별도로 두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해킹하는 것으로 정보 당국은 파악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해킹 공격 능력이 손에 꼽을 정도인 북한이 정작 자신들이 당한 공격은 피해를 복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 외무성, 고려항공,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 등의 사이트들은 오늘 오전 8시까지 어제와 마찬가지로 접속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일부 사이트는 잠시 접속이 되기도 했지만 바로 끊어지거나 대기 시간이 길어 잘 열리지 않다가 현재는 평소 수준을 회복했습니다.
어제 발생한 북한에 대한 사이버 공격 여파일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로이터 통신은 어제 영국의 인터넷 보안 연구원 주나드 알리를 인용해 북한에 서비스 거부(디도스·DDoS)로 추정되는 공격이 발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알리 연구원은 사이버 공격이 진행되는 동안 한때 북한을 드나드는 모든 트래픽이 다운되기도 했다면서 이후에도 일부 접속 장애와 지연이 이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어제 오전부터 약 6시간가량 디도스 공격이 이뤄졌고, 이후 이메일을 다루는 서버는 복구됐지만, 나머지 기관 사이트들은 접속 장애가 회복되지 않았다고 알리 연구원은 전했습니다.
디도스는 대량의 접속 시도(트래픽)를 통해 서버에 부담을 주는 사이버 공격 유형을 말합니다. 접속량이 서버 용량을 초과할 정도로 많아지면 서버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습니다.
북한은 정찰총국 등에 해킹 관련 조직을 별도로 두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해킹하는 것으로 정보 당국은 파악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해킹 공격 능력이 손에 꼽을 정도인 북한이 정작 자신들이 당한 공격은 피해를 복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기관 사이트 접속장애 복구한 듯…디도스 공격 여파 가능성
-
- 입력 2022-01-27 10:13:18
- 수정2022-01-27 10:16:56
북한의 주요 기관 사이트 접속이 오늘(27일) 오전에도 한때 원활하지 않다가 복구됐습니다. 북한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에 따른 여파인지 주목됩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 외무성, 고려항공,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 등의 사이트들은 오늘 오전 8시까지 어제와 마찬가지로 접속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일부 사이트는 잠시 접속이 되기도 했지만 바로 끊어지거나 대기 시간이 길어 잘 열리지 않다가 현재는 평소 수준을 회복했습니다.
어제 발생한 북한에 대한 사이버 공격 여파일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로이터 통신은 어제 영국의 인터넷 보안 연구원 주나드 알리를 인용해 북한에 서비스 거부(디도스·DDoS)로 추정되는 공격이 발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알리 연구원은 사이버 공격이 진행되는 동안 한때 북한을 드나드는 모든 트래픽이 다운되기도 했다면서 이후에도 일부 접속 장애와 지연이 이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어제 오전부터 약 6시간가량 디도스 공격이 이뤄졌고, 이후 이메일을 다루는 서버는 복구됐지만, 나머지 기관 사이트들은 접속 장애가 회복되지 않았다고 알리 연구원은 전했습니다.
디도스는 대량의 접속 시도(트래픽)를 통해 서버에 부담을 주는 사이버 공격 유형을 말합니다. 접속량이 서버 용량을 초과할 정도로 많아지면 서버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습니다.
북한은 정찰총국 등에 해킹 관련 조직을 별도로 두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해킹하는 것으로 정보 당국은 파악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해킹 공격 능력이 손에 꼽을 정도인 북한이 정작 자신들이 당한 공격은 피해를 복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 외무성, 고려항공,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 등의 사이트들은 오늘 오전 8시까지 어제와 마찬가지로 접속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일부 사이트는 잠시 접속이 되기도 했지만 바로 끊어지거나 대기 시간이 길어 잘 열리지 않다가 현재는 평소 수준을 회복했습니다.
어제 발생한 북한에 대한 사이버 공격 여파일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로이터 통신은 어제 영국의 인터넷 보안 연구원 주나드 알리를 인용해 북한에 서비스 거부(디도스·DDoS)로 추정되는 공격이 발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알리 연구원은 사이버 공격이 진행되는 동안 한때 북한을 드나드는 모든 트래픽이 다운되기도 했다면서 이후에도 일부 접속 장애와 지연이 이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어제 오전부터 약 6시간가량 디도스 공격이 이뤄졌고, 이후 이메일을 다루는 서버는 복구됐지만, 나머지 기관 사이트들은 접속 장애가 회복되지 않았다고 알리 연구원은 전했습니다.
디도스는 대량의 접속 시도(트래픽)를 통해 서버에 부담을 주는 사이버 공격 유형을 말합니다. 접속량이 서버 용량을 초과할 정도로 많아지면 서버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습니다.
북한은 정찰총국 등에 해킹 관련 조직을 별도로 두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해킹하는 것으로 정보 당국은 파악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해킹 공격 능력이 손에 꼽을 정도인 북한이 정작 자신들이 당한 공격은 피해를 복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
-
윤진 기자 jin@kbs.co.kr
윤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