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에너지서 일자리 창출” 공언하지만 재원계획·구체성 불분명

입력 2022.01.29 (06:58) 수정 2022.01.29 (07: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청년도, 노년도 양질의 일자리를 찾는 것이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디지털화 비대면화가 더 빠르게 진행되면서 일자리 지형도 바뀌고 있는데요.

산업 전환이 빨라지는 시기에 대선후보들은 어떤 일자리 창출 해법을 내놓고 있는지 짚어봅니다.

조지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앞으로 일자리 창출 분야로 네 후보 다, 디지털 전환과 미래 에너지 분야를 꼽았습니다.

먼저 이재명 후보, 135조 원, 대대적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디지털 인프라 조성, 초연결 신산업 육성, 탄소중립 신기술 개발 등으로 분야를 특정했고 목표 일자리 갯수 3백만 개를 제시했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후보/1.18 : "디지털·비대면 탈탄소 경제로 급속하게 전환하고 있습니다. 일자리 대전환의 기회로 만들어야 합니다."]

윤석열 후보는 융합 산업 분야, 디지털 전환에 지원하되 그 대상은 미래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에 집중하겠다고 방향을 내놨습니다.

양질의 일자리는 대부분 민간이 만든다며 민간 주도에 방점을 뒀습니다.

[윤석열/국민의힘 후보/12.26 : "일자리 창출을 저해하는 모든 규제를 혁파하고, 신산업 분야 규제 혁신을 먼저 시작하겠습니다."]

심상정 후보는 녹색 산업에서의 일자리 창출이 특징입니다.

재생에너지, 저장장치산업, 전기차 등 5대 분야에서 150만 개 일자리를 약속했습니다.

[심상정/1.10 : "플랫폼 기업을 중심으로 불안정한 노동이 양산되고 있고 수도권에 편중된 디지털 혁신과 그린노믹스는 질적으로 다릅니다."]

안철수 후보, 디스플레이와 이차전지 등에서 초격차 기술 확보를 제시했습니다.

기술력을 갖춘 기업을 키우면 협력업체 등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진다는 겁니다.

[안철수/국민의당 후보/11.4 : "정부가 주도하고 민간이 끌려가는 형태가 아니라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도움을 주는..."]

모든 공약 다 상당한 재원 투입을 전제로 합니다.

그러나 재원 마련 계획, 분명치 않습니다.

[이나경/KBS 공약검증 자문단/서울여대 교수 : "이 분야의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겠다,저 분야의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겠다... 어떤 식으로 만들 것인지에 대해서 정확한 방향성 혹은 단기적, 중장기적 구체성, 계획 이런 것들은 전혀 파악할 수 없었다."]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은 이재명, 윤석열, 안철수 후보가 밝혔는데 상당수 공약, 이미 추진 중인 정책과 비슷합니다.

이재명 후보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생태계 조성.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 이익을 공정하게 나누는 성과공유제·협력이익공유제와 일맥상통합니다.

그런데 이 사업, 지난해 기준 민간기업 참여는 12곳 뿐입니다.

스톡옵션제도를 개편해 벤처기업의 우수인력을 확보하겠다는 윤석열 후보.

하지만, 최근 3년간 스톡옵션제도를 활용한 벤처기업은 1%도 안됐습니다.

중소기업을 지원해 근로환경을 개선하고 우수 인력을 유치하자는 안철수 후보.

이미 정부가 오랜기간 재원을 투입 중인 정책과 비슷하지만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 구체적이지 않습니다.

[이나경/KBS 공약검증 자문단/서울여대 교수 : "새롭게 이름만 바꿔서 더 하겠다라는 것이, 왜 그렇게 해야되는 것인지, 과연 이것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선행되고 난 후에 공약을 만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 후보들 대부분은 산업의 전환으로 새로 생길 일자리에는 주목했지만 사라지게 될 일자리에 대한 대책은 큰 비중을 두지 않았습니다.

KBS는 다음 순서로 각 후보의 기후 위기 대응 공약을 점검합니다.

KBS 뉴스 조지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디지털, 에너지서 일자리 창출” 공언하지만 재원계획·구체성 불분명
    • 입력 2022-01-29 06:58:32
    • 수정2022-01-29 07:05:10
    뉴스광장 1부
[앵커]

청년도, 노년도 양질의 일자리를 찾는 것이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디지털화 비대면화가 더 빠르게 진행되면서 일자리 지형도 바뀌고 있는데요.

산업 전환이 빨라지는 시기에 대선후보들은 어떤 일자리 창출 해법을 내놓고 있는지 짚어봅니다.

조지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앞으로 일자리 창출 분야로 네 후보 다, 디지털 전환과 미래 에너지 분야를 꼽았습니다.

먼저 이재명 후보, 135조 원, 대대적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디지털 인프라 조성, 초연결 신산업 육성, 탄소중립 신기술 개발 등으로 분야를 특정했고 목표 일자리 갯수 3백만 개를 제시했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후보/1.18 : "디지털·비대면 탈탄소 경제로 급속하게 전환하고 있습니다. 일자리 대전환의 기회로 만들어야 합니다."]

윤석열 후보는 융합 산업 분야, 디지털 전환에 지원하되 그 대상은 미래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에 집중하겠다고 방향을 내놨습니다.

양질의 일자리는 대부분 민간이 만든다며 민간 주도에 방점을 뒀습니다.

[윤석열/국민의힘 후보/12.26 : "일자리 창출을 저해하는 모든 규제를 혁파하고, 신산업 분야 규제 혁신을 먼저 시작하겠습니다."]

심상정 후보는 녹색 산업에서의 일자리 창출이 특징입니다.

재생에너지, 저장장치산업, 전기차 등 5대 분야에서 150만 개 일자리를 약속했습니다.

[심상정/1.10 : "플랫폼 기업을 중심으로 불안정한 노동이 양산되고 있고 수도권에 편중된 디지털 혁신과 그린노믹스는 질적으로 다릅니다."]

안철수 후보, 디스플레이와 이차전지 등에서 초격차 기술 확보를 제시했습니다.

기술력을 갖춘 기업을 키우면 협력업체 등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진다는 겁니다.

[안철수/국민의당 후보/11.4 : "정부가 주도하고 민간이 끌려가는 형태가 아니라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도움을 주는..."]

모든 공약 다 상당한 재원 투입을 전제로 합니다.

그러나 재원 마련 계획, 분명치 않습니다.

[이나경/KBS 공약검증 자문단/서울여대 교수 : "이 분야의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겠다,저 분야의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겠다... 어떤 식으로 만들 것인지에 대해서 정확한 방향성 혹은 단기적, 중장기적 구체성, 계획 이런 것들은 전혀 파악할 수 없었다."]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은 이재명, 윤석열, 안철수 후보가 밝혔는데 상당수 공약, 이미 추진 중인 정책과 비슷합니다.

이재명 후보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생태계 조성.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 이익을 공정하게 나누는 성과공유제·협력이익공유제와 일맥상통합니다.

그런데 이 사업, 지난해 기준 민간기업 참여는 12곳 뿐입니다.

스톡옵션제도를 개편해 벤처기업의 우수인력을 확보하겠다는 윤석열 후보.

하지만, 최근 3년간 스톡옵션제도를 활용한 벤처기업은 1%도 안됐습니다.

중소기업을 지원해 근로환경을 개선하고 우수 인력을 유치하자는 안철수 후보.

이미 정부가 오랜기간 재원을 투입 중인 정책과 비슷하지만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 구체적이지 않습니다.

[이나경/KBS 공약검증 자문단/서울여대 교수 : "새롭게 이름만 바꿔서 더 하겠다라는 것이, 왜 그렇게 해야되는 것인지, 과연 이것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선행되고 난 후에 공약을 만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 후보들 대부분은 산업의 전환으로 새로 생길 일자리에는 주목했지만 사라지게 될 일자리에 대한 대책은 큰 비중을 두지 않았습니다.

KBS는 다음 순서로 각 후보의 기후 위기 대응 공약을 점검합니다.

KBS 뉴스 조지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