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K] 제주 의료 체계 개선…“지역사회 노력 필수”
입력 2022.02.04 (07:41)
수정 2022.02.10 (09: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주지역 상급종합병원의 필요성을 짚어 보는 신년기획 주목 K 순서입니다.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위한 권역이 제주는 서울과 같이 묶여 있어서 불합리하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이런 권역 분리를 위한 제도 개선 외에도 과제가 적지 않습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19개 진료과에 290여 병상을 갖춘 종합병원입니다.
다른 지역의 병원에서 인공관절 수술을 한 강애자 씨가 진료를 받고 있습니다.
["다행히 관절 안에는 붓지 않았습니다."]
강 씨는 이상이 있을 때마다 이 병원을 찾고 있는데 만족도가 높습니다.
[강애자/한마음병원 환자 : "여기 과장님이 무릎관절(수술은) 1등, 1등이죠. 다들 말해요. 여기 과장님만큼 하는 곳이 없다고."]
한마음병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에서도 2020년 뇌졸중 1등급, 천식은 7년 연속 1등급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대형병원 선호 현상 등으로 2019년 이후 외래환자와 입원환자는 각각 10%와 20%씩 감소했습니다.
[김창희/한마음병원장 : "큰 병원으로만 쏠리지 않고 나눠지면 병원 입장에서, 환자 서비스 측면에서도 나아질 것이고. 저희처럼 작은 병원에서는 아무래도 환자들이 오면 경영이 나아지면서 투자가 많이 되겠죠. 그러면 상생의 길을 걷지 않겠나 합니다."]
상급종합병원이 필요하다고 특정 병원 한 곳만 지정하면 오히려 쏠림현상만 부추길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제주도가 중심이 돼 상급종합병원 준비 병원과 일반 병·의원들과의 진료 협력체계를 긴밀하게 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홍윤철/서울대병원 공공보건의료진흥원장 : "지역 주민에 대한 안정과 건강의 책임은 지자체가 궁극적으로 갖고 있는 것이죠. 그래서 지자체가 이런 전체 계획을 만들고 거기서 상급종합병원을 만들 수 있는 지원을 해주고, 또 그것을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 이런 것들을 해야 하는 거죠."]
제주도는 올해부터 도내 종합병원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정부에도 권역 분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는 계획입니다.
[구만섭/도지사 권한대행/지난달 3일 : "(제주)공공의료지원단에서 계속해서 논리를 개발해서 수도권과 분리되는 별도의 권역으로 인정을 받아서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전개를 해 나갈 예정입니다."]
가벼운 질환일 경우 주변의 병의원부터 먼저 간다는 인식 변화도 필수적입니다.
도민들이 건강과 생명을 자신이 살고 있는 곳에서 지켜 낼 수 있도록 병원들은 물론 지역사회의 노력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
제주지역 상급종합병원의 필요성을 짚어 보는 신년기획 주목 K 순서입니다.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위한 권역이 제주는 서울과 같이 묶여 있어서 불합리하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이런 권역 분리를 위한 제도 개선 외에도 과제가 적지 않습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19개 진료과에 290여 병상을 갖춘 종합병원입니다.
다른 지역의 병원에서 인공관절 수술을 한 강애자 씨가 진료를 받고 있습니다.
["다행히 관절 안에는 붓지 않았습니다."]
강 씨는 이상이 있을 때마다 이 병원을 찾고 있는데 만족도가 높습니다.
[강애자/한마음병원 환자 : "여기 과장님이 무릎관절(수술은) 1등, 1등이죠. 다들 말해요. 여기 과장님만큼 하는 곳이 없다고."]
한마음병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에서도 2020년 뇌졸중 1등급, 천식은 7년 연속 1등급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대형병원 선호 현상 등으로 2019년 이후 외래환자와 입원환자는 각각 10%와 20%씩 감소했습니다.
[김창희/한마음병원장 : "큰 병원으로만 쏠리지 않고 나눠지면 병원 입장에서, 환자 서비스 측면에서도 나아질 것이고. 저희처럼 작은 병원에서는 아무래도 환자들이 오면 경영이 나아지면서 투자가 많이 되겠죠. 그러면 상생의 길을 걷지 않겠나 합니다."]
상급종합병원이 필요하다고 특정 병원 한 곳만 지정하면 오히려 쏠림현상만 부추길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제주도가 중심이 돼 상급종합병원 준비 병원과 일반 병·의원들과의 진료 협력체계를 긴밀하게 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홍윤철/서울대병원 공공보건의료진흥원장 : "지역 주민에 대한 안정과 건강의 책임은 지자체가 궁극적으로 갖고 있는 것이죠. 그래서 지자체가 이런 전체 계획을 만들고 거기서 상급종합병원을 만들 수 있는 지원을 해주고, 또 그것을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 이런 것들을 해야 하는 거죠."]
제주도는 올해부터 도내 종합병원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정부에도 권역 분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는 계획입니다.
[구만섭/도지사 권한대행/지난달 3일 : "(제주)공공의료지원단에서 계속해서 논리를 개발해서 수도권과 분리되는 별도의 권역으로 인정을 받아서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전개를 해 나갈 예정입니다."]
가벼운 질환일 경우 주변의 병의원부터 먼저 간다는 인식 변화도 필수적입니다.
도민들이 건강과 생명을 자신이 살고 있는 곳에서 지켜 낼 수 있도록 병원들은 물론 지역사회의 노력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목K] 제주 의료 체계 개선…“지역사회 노력 필수”
-
- 입력 2022-02-04 07:41:43
- 수정2022-02-10 09:08:59

[앵커]
제주지역 상급종합병원의 필요성을 짚어 보는 신년기획 주목 K 순서입니다.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위한 권역이 제주는 서울과 같이 묶여 있어서 불합리하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이런 권역 분리를 위한 제도 개선 외에도 과제가 적지 않습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19개 진료과에 290여 병상을 갖춘 종합병원입니다.
다른 지역의 병원에서 인공관절 수술을 한 강애자 씨가 진료를 받고 있습니다.
["다행히 관절 안에는 붓지 않았습니다."]
강 씨는 이상이 있을 때마다 이 병원을 찾고 있는데 만족도가 높습니다.
[강애자/한마음병원 환자 : "여기 과장님이 무릎관절(수술은) 1등, 1등이죠. 다들 말해요. 여기 과장님만큼 하는 곳이 없다고."]
한마음병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에서도 2020년 뇌졸중 1등급, 천식은 7년 연속 1등급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대형병원 선호 현상 등으로 2019년 이후 외래환자와 입원환자는 각각 10%와 20%씩 감소했습니다.
[김창희/한마음병원장 : "큰 병원으로만 쏠리지 않고 나눠지면 병원 입장에서, 환자 서비스 측면에서도 나아질 것이고. 저희처럼 작은 병원에서는 아무래도 환자들이 오면 경영이 나아지면서 투자가 많이 되겠죠. 그러면 상생의 길을 걷지 않겠나 합니다."]
상급종합병원이 필요하다고 특정 병원 한 곳만 지정하면 오히려 쏠림현상만 부추길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제주도가 중심이 돼 상급종합병원 준비 병원과 일반 병·의원들과의 진료 협력체계를 긴밀하게 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홍윤철/서울대병원 공공보건의료진흥원장 : "지역 주민에 대한 안정과 건강의 책임은 지자체가 궁극적으로 갖고 있는 것이죠. 그래서 지자체가 이런 전체 계획을 만들고 거기서 상급종합병원을 만들 수 있는 지원을 해주고, 또 그것을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 이런 것들을 해야 하는 거죠."]
제주도는 올해부터 도내 종합병원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정부에도 권역 분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는 계획입니다.
[구만섭/도지사 권한대행/지난달 3일 : "(제주)공공의료지원단에서 계속해서 논리를 개발해서 수도권과 분리되는 별도의 권역으로 인정을 받아서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전개를 해 나갈 예정입니다."]
가벼운 질환일 경우 주변의 병의원부터 먼저 간다는 인식 변화도 필수적입니다.
도민들이 건강과 생명을 자신이 살고 있는 곳에서 지켜 낼 수 있도록 병원들은 물론 지역사회의 노력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
제주지역 상급종합병원의 필요성을 짚어 보는 신년기획 주목 K 순서입니다.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위한 권역이 제주는 서울과 같이 묶여 있어서 불합리하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이런 권역 분리를 위한 제도 개선 외에도 과제가 적지 않습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19개 진료과에 290여 병상을 갖춘 종합병원입니다.
다른 지역의 병원에서 인공관절 수술을 한 강애자 씨가 진료를 받고 있습니다.
["다행히 관절 안에는 붓지 않았습니다."]
강 씨는 이상이 있을 때마다 이 병원을 찾고 있는데 만족도가 높습니다.
[강애자/한마음병원 환자 : "여기 과장님이 무릎관절(수술은) 1등, 1등이죠. 다들 말해요. 여기 과장님만큼 하는 곳이 없다고."]
한마음병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에서도 2020년 뇌졸중 1등급, 천식은 7년 연속 1등급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대형병원 선호 현상 등으로 2019년 이후 외래환자와 입원환자는 각각 10%와 20%씩 감소했습니다.
[김창희/한마음병원장 : "큰 병원으로만 쏠리지 않고 나눠지면 병원 입장에서, 환자 서비스 측면에서도 나아질 것이고. 저희처럼 작은 병원에서는 아무래도 환자들이 오면 경영이 나아지면서 투자가 많이 되겠죠. 그러면 상생의 길을 걷지 않겠나 합니다."]
상급종합병원이 필요하다고 특정 병원 한 곳만 지정하면 오히려 쏠림현상만 부추길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제주도가 중심이 돼 상급종합병원 준비 병원과 일반 병·의원들과의 진료 협력체계를 긴밀하게 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홍윤철/서울대병원 공공보건의료진흥원장 : "지역 주민에 대한 안정과 건강의 책임은 지자체가 궁극적으로 갖고 있는 것이죠. 그래서 지자체가 이런 전체 계획을 만들고 거기서 상급종합병원을 만들 수 있는 지원을 해주고, 또 그것을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 이런 것들을 해야 하는 거죠."]
제주도는 올해부터 도내 종합병원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정부에도 권역 분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는 계획입니다.
[구만섭/도지사 권한대행/지난달 3일 : "(제주)공공의료지원단에서 계속해서 논리를 개발해서 수도권과 분리되는 별도의 권역으로 인정을 받아서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전개를 해 나갈 예정입니다."]
가벼운 질환일 경우 주변의 병의원부터 먼저 간다는 인식 변화도 필수적입니다.
도민들이 건강과 생명을 자신이 살고 있는 곳에서 지켜 낼 수 있도록 병원들은 물론 지역사회의 노력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
-
-
강인희 기자 inhee@kbs.co.kr
강인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