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병의원 진료 첫날…준비 부족에 참여 저조
입력 2022.02.04 (09:32)
수정 2022.02.04 (09: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미크론 대응 체계가 시행되면 동네 병의원에서 검사와 진료, 치료까지 받을 수 있다고 정부가 그동안 여러차례 알려왔는데요.
첫날인 어제, 현장은 어땠을까요?
코로나19 의료서비스를 시작한 호흡기 전담 클리닉도 있었지만 일선 병의원은 예정보다 참여가 저조했고 준비도 부족해서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습니다.
신민혜 의학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디 불편해서 오셨서요?) 목이 좀 불편해가지고요."]
서울의 한 호흡기클리닉에서 코로나19 의심환자가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받습니다.
선별진료소에 가지 않고도 가까운 병원에서 검사와 진료를 받을 수 있어 시민들은 편리하다는 반응입니다.
[신속항원검사자 : "간단하게 끝나서 좋은 것 같습니다. 결과도 빨리 나온다 해서 기대되고요."]
정부가 공개한 기관은 호흡기클리닉 391곳, 동네 병의원 208곳입니다.
새 진료체계 시행 첫날인 어제, 시범 운영을 해왔던 일부 호흡기클리닉의 경우를 제외하곤 동네 병의원 곳곳에선 준비가 덜된 모습이었습니다.
아직 검사키트조차 받지 못한 병의원도 다수였습니다.
[이동훈/용인시 의사회장/내과전문의 : "대부분 의료기관들이 아마 키트도 없었기 때문에 검사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것들도 있었고..."]
동선 관리와 폐기물 처리 등을 해결하지 못해 당장 참여가 어렵다는 병원도 적지 않습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 : "출입구가 하나인 경우가 많아 가지고 그 동선을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일반적인 동네 의료기관에서는 불가능한 걸로 생각이 되고요."]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실제 진료에 참여한 병의원의 수는 정부가 밝힌 343곳의 60% 수준에 그쳤습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 : "재택 환자분들이 늘어나면 그런 일선 의료기관도 로딩이 좀 가해지는데 기간이 너무 길어지면은 아무래도 좀 체력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힘들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정부가 공개한 병원들 가운데는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하지만 재택치료에는 참여하지 않는 곳들도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참여 병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신민혜입니다.
영상편집:박상규/영상제공:하나이비인후과 병원
오미크론 대응 체계가 시행되면 동네 병의원에서 검사와 진료, 치료까지 받을 수 있다고 정부가 그동안 여러차례 알려왔는데요.
첫날인 어제, 현장은 어땠을까요?
코로나19 의료서비스를 시작한 호흡기 전담 클리닉도 있었지만 일선 병의원은 예정보다 참여가 저조했고 준비도 부족해서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습니다.
신민혜 의학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디 불편해서 오셨서요?) 목이 좀 불편해가지고요."]
서울의 한 호흡기클리닉에서 코로나19 의심환자가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받습니다.
선별진료소에 가지 않고도 가까운 병원에서 검사와 진료를 받을 수 있어 시민들은 편리하다는 반응입니다.
[신속항원검사자 : "간단하게 끝나서 좋은 것 같습니다. 결과도 빨리 나온다 해서 기대되고요."]
정부가 공개한 기관은 호흡기클리닉 391곳, 동네 병의원 208곳입니다.
새 진료체계 시행 첫날인 어제, 시범 운영을 해왔던 일부 호흡기클리닉의 경우를 제외하곤 동네 병의원 곳곳에선 준비가 덜된 모습이었습니다.
아직 검사키트조차 받지 못한 병의원도 다수였습니다.
[이동훈/용인시 의사회장/내과전문의 : "대부분 의료기관들이 아마 키트도 없었기 때문에 검사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것들도 있었고..."]
동선 관리와 폐기물 처리 등을 해결하지 못해 당장 참여가 어렵다는 병원도 적지 않습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 : "출입구가 하나인 경우가 많아 가지고 그 동선을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일반적인 동네 의료기관에서는 불가능한 걸로 생각이 되고요."]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실제 진료에 참여한 병의원의 수는 정부가 밝힌 343곳의 60% 수준에 그쳤습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 : "재택 환자분들이 늘어나면 그런 일선 의료기관도 로딩이 좀 가해지는데 기간이 너무 길어지면은 아무래도 좀 체력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힘들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정부가 공개한 병원들 가운데는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하지만 재택치료에는 참여하지 않는 곳들도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참여 병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신민혜입니다.
영상편집:박상규/영상제공:하나이비인후과 병원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네 병의원 진료 첫날…준비 부족에 참여 저조
-
- 입력 2022-02-04 09:32:05
- 수정2022-02-04 09:37:06

[앵커]
오미크론 대응 체계가 시행되면 동네 병의원에서 검사와 진료, 치료까지 받을 수 있다고 정부가 그동안 여러차례 알려왔는데요.
첫날인 어제, 현장은 어땠을까요?
코로나19 의료서비스를 시작한 호흡기 전담 클리닉도 있었지만 일선 병의원은 예정보다 참여가 저조했고 준비도 부족해서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습니다.
신민혜 의학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디 불편해서 오셨서요?) 목이 좀 불편해가지고요."]
서울의 한 호흡기클리닉에서 코로나19 의심환자가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받습니다.
선별진료소에 가지 않고도 가까운 병원에서 검사와 진료를 받을 수 있어 시민들은 편리하다는 반응입니다.
[신속항원검사자 : "간단하게 끝나서 좋은 것 같습니다. 결과도 빨리 나온다 해서 기대되고요."]
정부가 공개한 기관은 호흡기클리닉 391곳, 동네 병의원 208곳입니다.
새 진료체계 시행 첫날인 어제, 시범 운영을 해왔던 일부 호흡기클리닉의 경우를 제외하곤 동네 병의원 곳곳에선 준비가 덜된 모습이었습니다.
아직 검사키트조차 받지 못한 병의원도 다수였습니다.
[이동훈/용인시 의사회장/내과전문의 : "대부분 의료기관들이 아마 키트도 없었기 때문에 검사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것들도 있었고..."]
동선 관리와 폐기물 처리 등을 해결하지 못해 당장 참여가 어렵다는 병원도 적지 않습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 : "출입구가 하나인 경우가 많아 가지고 그 동선을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일반적인 동네 의료기관에서는 불가능한 걸로 생각이 되고요."]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실제 진료에 참여한 병의원의 수는 정부가 밝힌 343곳의 60% 수준에 그쳤습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 : "재택 환자분들이 늘어나면 그런 일선 의료기관도 로딩이 좀 가해지는데 기간이 너무 길어지면은 아무래도 좀 체력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힘들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정부가 공개한 병원들 가운데는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하지만 재택치료에는 참여하지 않는 곳들도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참여 병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신민혜입니다.
영상편집:박상규/영상제공:하나이비인후과 병원
오미크론 대응 체계가 시행되면 동네 병의원에서 검사와 진료, 치료까지 받을 수 있다고 정부가 그동안 여러차례 알려왔는데요.
첫날인 어제, 현장은 어땠을까요?
코로나19 의료서비스를 시작한 호흡기 전담 클리닉도 있었지만 일선 병의원은 예정보다 참여가 저조했고 준비도 부족해서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습니다.
신민혜 의학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디 불편해서 오셨서요?) 목이 좀 불편해가지고요."]
서울의 한 호흡기클리닉에서 코로나19 의심환자가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받습니다.
선별진료소에 가지 않고도 가까운 병원에서 검사와 진료를 받을 수 있어 시민들은 편리하다는 반응입니다.
[신속항원검사자 : "간단하게 끝나서 좋은 것 같습니다. 결과도 빨리 나온다 해서 기대되고요."]
정부가 공개한 기관은 호흡기클리닉 391곳, 동네 병의원 208곳입니다.
새 진료체계 시행 첫날인 어제, 시범 운영을 해왔던 일부 호흡기클리닉의 경우를 제외하곤 동네 병의원 곳곳에선 준비가 덜된 모습이었습니다.
아직 검사키트조차 받지 못한 병의원도 다수였습니다.
[이동훈/용인시 의사회장/내과전문의 : "대부분 의료기관들이 아마 키트도 없었기 때문에 검사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것들도 있었고..."]
동선 관리와 폐기물 처리 등을 해결하지 못해 당장 참여가 어렵다는 병원도 적지 않습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 : "출입구가 하나인 경우가 많아 가지고 그 동선을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일반적인 동네 의료기관에서는 불가능한 걸로 생각이 되고요."]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실제 진료에 참여한 병의원의 수는 정부가 밝힌 343곳의 60% 수준에 그쳤습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 : "재택 환자분들이 늘어나면 그런 일선 의료기관도 로딩이 좀 가해지는데 기간이 너무 길어지면은 아무래도 좀 체력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힘들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정부가 공개한 병원들 가운데는 신속항원검사를 시행하지만 재택치료에는 참여하지 않는 곳들도 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참여 병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신민혜입니다.
영상편집:박상규/영상제공:하나이비인후과 병원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