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로의 전환에 車산업도 고용 위기…대응은?

입력 2022.02.21 (07:52) 수정 2022.02.21 (08: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화력발전과 함께 기후위기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또 다른 분야, 자동차 산업입니다.

양적, 질적 파급력은 화력발전소보다 더 클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고용 충격을 막기 위한 사회적 합의가 서둘러 진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강예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30년 전기차의 비중이 전체 차의 30%를 차지하면, 고용 수준이 지금보다 38% 이상 떨어져, 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울산의 경우, 내연기관차 부품을 납품해 온 부품사 전체 530여 곳 중, 150곳 이상의 업체가 사라질 것으로 추정됩니다.

엔진부품의 경우 80여 곳 업체 전부 문을 닫고, 2천 8백여 명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것이 전문가들 분석입니다.

[이정희/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 "지역사회 내에서 예를 들면 어떤 일자리를 서로 발굴해서 연결을 잘하도록 할 건지 이런 것에 대한 논의를 서둘러야…."]

하지만 전기차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고용 충격' 관련 논의는 더딘 상황.

현재 정부 계획은 노동자 보호보다, 기업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울산의 경우, 노사정이 참여하는 '자동차 산업 미래포럼'이 출범했지만, 법적 근거가 있는 협의체가 아니라 한계가 명확합니다.

노동계는 '노사정 공동결정법'을 제정하고, 기업의 산업전환 전략을 노사정이 함께 공유하고, 전환과정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지훈/민주노총 울산본부 정책기획위원장 : "노사정이 합동으로 결정할만한 법률 제정이라든지, 제도 정비를 먼저 하자. 또, 전환지도 작성 과정을 노사정이 협업하고 공유하자…."]

또, 노동자들의 고용 안정을 위한 '전환기금 조성'과 정부의 부품사 기술전환지원 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강예슬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기차로의 전환에 車산업도 고용 위기…대응은?
    • 입력 2022-02-21 07:52:29
    • 수정2022-02-21 08:46:18
    뉴스광장(부산)
[앵커]

화력발전과 함께 기후위기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또 다른 분야, 자동차 산업입니다.

양적, 질적 파급력은 화력발전소보다 더 클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고용 충격을 막기 위한 사회적 합의가 서둘러 진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강예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30년 전기차의 비중이 전체 차의 30%를 차지하면, 고용 수준이 지금보다 38% 이상 떨어져, 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울산의 경우, 내연기관차 부품을 납품해 온 부품사 전체 530여 곳 중, 150곳 이상의 업체가 사라질 것으로 추정됩니다.

엔진부품의 경우 80여 곳 업체 전부 문을 닫고, 2천 8백여 명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는 것이 전문가들 분석입니다.

[이정희/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 "지역사회 내에서 예를 들면 어떤 일자리를 서로 발굴해서 연결을 잘하도록 할 건지 이런 것에 대한 논의를 서둘러야…."]

하지만 전기차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고용 충격' 관련 논의는 더딘 상황.

현재 정부 계획은 노동자 보호보다, 기업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울산의 경우, 노사정이 참여하는 '자동차 산업 미래포럼'이 출범했지만, 법적 근거가 있는 협의체가 아니라 한계가 명확합니다.

노동계는 '노사정 공동결정법'을 제정하고, 기업의 산업전환 전략을 노사정이 함께 공유하고, 전환과정에 참여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지훈/민주노총 울산본부 정책기획위원장 : "노사정이 합동으로 결정할만한 법률 제정이라든지, 제도 정비를 먼저 하자. 또, 전환지도 작성 과정을 노사정이 협업하고 공유하자…."]

또, 노동자들의 고용 안정을 위한 '전환기금 조성'과 정부의 부품사 기술전환지원 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강예슬입니다.

촬영기자:김용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