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발 이어 이번엔 촛불 든 자영업자…이 시각 홍대

입력 2022.02.21 (22:13) 수정 2022.02.21 (22: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 지원 대책이 나왔지만, 자영업자들은 지원금보다도 영업시간 제한부터 없애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 시각 서울 홍대거리 연결해 자영업자들 반응 알아보겠습니다.

오대성 기자, 지난 주말부터 방역지침이 조금 완화됐잖아요?

먼저 여기에 대해선 뭐라고들 하십니까?

[기자]

네, 식당과 카페 등의 영업시간이 밤 10시까지로 1시간 연장됐죠.

주말 장사가 어땠는지 물어보고 다녔는데요.

업종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대부분은 코로나 확산이 심각한데다 1시간 연장으로는 별 도움이 안 됐다는 반응이었습니다.

[조정곤/노래연습장 운영 : "노래 소리 듣기가 힘들 정도예요. 밤 10시가 가까워져야 손님이 들어오는 시간이거든요. 그러면 그때 한창 마시고 노래할 때인데, 들어오셔도 받지를 못해요 지금."]

[최차수/고깃집 운영 : "대출도 만기 상환이 있어서 더이상 안됩니다. 모든 자영업자들 똑같을 거예요. (시간 제한을) 풀어줄거면 오미크론이 심하니까, 최소한 밤 12시까지는 해줘야 되지 않느냐 그런 생각이고요."]

[앵커]

자영업자들이 촛불시위를 하고 있는데, 정부의 지원책에 만족 못한다는 거겠죠?

[기자]

네, 조금 전부터 자영업자 단체 관계자와 일부 상인들이 모여 촛불문화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그동안 요구해온 손실보상 소급 적용과 보상률 100% 적용 등을 재차 주장하면서 오늘(21일) 나온 정부 지원책에 강한 불만을 드러냈습니다.

[민상헌/코로나 피해 자영업 총연합 공동대표 : "생색내기이고, 정말 용돈에 불과한 겁니다. 이분들이 얼마나 2년 넘게 손해를 봤는데, 3백만 원 준다는 게 자영업자들이 받아들이기에는 너무 적은 액수이고..."]

자영업자 단체는 이번 대책이 선거를 앞둔 '포퓰리즘 지원'이라고도 비판했는데요.

피해가 적은 업종들까지 넓게 지원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겁니다.

정부의 영업제한으로 더 큰 피해를 본 식당과 카페, 노래방, 유흥주점 등에 지원이 집중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오늘 집회에 나선 자영업자 단체의 회원은 120만 명 정도 됩니다.

해당 단체는 영업이 끝나는 밤 10시 이후에도 점포에 불을 켜두는 '점등시위'를 업주 자율에 따라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서울 홍대거리에서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영상편집:이상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삭발 이어 이번엔 촛불 든 자영업자…이 시각 홍대
    • 입력 2022-02-21 22:13:53
    • 수정2022-02-21 22:58:29
    뉴스 9
[앵커]

정부 지원 대책이 나왔지만, 자영업자들은 지원금보다도 영업시간 제한부터 없애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 시각 서울 홍대거리 연결해 자영업자들 반응 알아보겠습니다.

오대성 기자, 지난 주말부터 방역지침이 조금 완화됐잖아요?

먼저 여기에 대해선 뭐라고들 하십니까?

[기자]

네, 식당과 카페 등의 영업시간이 밤 10시까지로 1시간 연장됐죠.

주말 장사가 어땠는지 물어보고 다녔는데요.

업종마다 차이는 있었지만, 대부분은 코로나 확산이 심각한데다 1시간 연장으로는 별 도움이 안 됐다는 반응이었습니다.

[조정곤/노래연습장 운영 : "노래 소리 듣기가 힘들 정도예요. 밤 10시가 가까워져야 손님이 들어오는 시간이거든요. 그러면 그때 한창 마시고 노래할 때인데, 들어오셔도 받지를 못해요 지금."]

[최차수/고깃집 운영 : "대출도 만기 상환이 있어서 더이상 안됩니다. 모든 자영업자들 똑같을 거예요. (시간 제한을) 풀어줄거면 오미크론이 심하니까, 최소한 밤 12시까지는 해줘야 되지 않느냐 그런 생각이고요."]

[앵커]

자영업자들이 촛불시위를 하고 있는데, 정부의 지원책에 만족 못한다는 거겠죠?

[기자]

네, 조금 전부터 자영업자 단체 관계자와 일부 상인들이 모여 촛불문화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그동안 요구해온 손실보상 소급 적용과 보상률 100% 적용 등을 재차 주장하면서 오늘(21일) 나온 정부 지원책에 강한 불만을 드러냈습니다.

[민상헌/코로나 피해 자영업 총연합 공동대표 : "생색내기이고, 정말 용돈에 불과한 겁니다. 이분들이 얼마나 2년 넘게 손해를 봤는데, 3백만 원 준다는 게 자영업자들이 받아들이기에는 너무 적은 액수이고..."]

자영업자 단체는 이번 대책이 선거를 앞둔 '포퓰리즘 지원'이라고도 비판했는데요.

피해가 적은 업종들까지 넓게 지원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겁니다.

정부의 영업제한으로 더 큰 피해를 본 식당과 카페, 노래방, 유흥주점 등에 지원이 집중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오늘 집회에 나선 자영업자 단체의 회원은 120만 명 정도 됩니다.

해당 단체는 영업이 끝나는 밤 10시 이후에도 점포에 불을 켜두는 '점등시위'를 업주 자율에 따라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서울 홍대거리에서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촬영기자:송혜성/영상편집:이상철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