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한국 ICT서비스 수출 점유율, 주요국가 중 최하위”
입력 2022.02.22 (11:16)
수정 2022.02.22 (11: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세계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산업 수출 점유율이 주요 국가 중에서 최하위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가별 디지털 경제 현황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7년 기준 전세계 ICT 서비스 수출에서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0.98%로, 21개 주요 수출국 중 21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오늘(22일) 밝혔습니다.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중국(6.32%), 일본(1.07%) 등 아시아 경쟁국에 비해서도 낮게 나타났습니다.
컴퓨터 서비스와 정보·통신 서비스를 아우르는 ICT 서비스산업 수출 1위는 점유율 16.41%의 아일랜드였습니다.
전경련은 한국의 ICT 제조업 수출액이 중국에 이어 전 세계 2위인 점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ICT 분야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의미라고 분석했습니다.
컴퓨터, 전자기기, 광학제품 등 ICT 제조업의 2018년 기준 총 수출액은 중국이 5억2천850만달러로 1위였고, 우리나라는 2억5천663만달러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국내 ICT 서비스산업의 경제적 가치 창출 역량도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ICT 산업이 국가 전체의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3%로 OECD 국가 중 3번째로 높았지만, ICT 서비스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은 3.8%로 OECD 회원국 38개국 중 28위에 그쳤습니다.
전경련은 디지털 전환이 가속하는 상황에서 핵심 역량인 ICT 서비스산업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의미라고 분석했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가별 디지털 경제 현황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7년 기준 전세계 ICT 서비스 수출에서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0.98%로, 21개 주요 수출국 중 21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오늘(22일) 밝혔습니다.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중국(6.32%), 일본(1.07%) 등 아시아 경쟁국에 비해서도 낮게 나타났습니다.
컴퓨터 서비스와 정보·통신 서비스를 아우르는 ICT 서비스산업 수출 1위는 점유율 16.41%의 아일랜드였습니다.
전경련은 한국의 ICT 제조업 수출액이 중국에 이어 전 세계 2위인 점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ICT 분야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의미라고 분석했습니다.
컴퓨터, 전자기기, 광학제품 등 ICT 제조업의 2018년 기준 총 수출액은 중국이 5억2천850만달러로 1위였고, 우리나라는 2억5천663만달러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국내 ICT 서비스산업의 경제적 가치 창출 역량도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ICT 산업이 국가 전체의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3%로 OECD 국가 중 3번째로 높았지만, ICT 서비스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은 3.8%로 OECD 회원국 38개국 중 28위에 그쳤습니다.
전경련은 디지털 전환이 가속하는 상황에서 핵심 역량인 ICT 서비스산업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의미라고 분석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경련 “한국 ICT서비스 수출 점유율, 주요국가 중 최하위”
-
- 입력 2022-02-22 11:16:48
- 수정2022-02-22 11:21:08
우리나라의 세계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산업 수출 점유율이 주요 국가 중에서 최하위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가별 디지털 경제 현황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7년 기준 전세계 ICT 서비스 수출에서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0.98%로, 21개 주요 수출국 중 21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오늘(22일) 밝혔습니다.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중국(6.32%), 일본(1.07%) 등 아시아 경쟁국에 비해서도 낮게 나타났습니다.
컴퓨터 서비스와 정보·통신 서비스를 아우르는 ICT 서비스산업 수출 1위는 점유율 16.41%의 아일랜드였습니다.
전경련은 한국의 ICT 제조업 수출액이 중국에 이어 전 세계 2위인 점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ICT 분야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의미라고 분석했습니다.
컴퓨터, 전자기기, 광학제품 등 ICT 제조업의 2018년 기준 총 수출액은 중국이 5억2천850만달러로 1위였고, 우리나라는 2억5천663만달러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국내 ICT 서비스산업의 경제적 가치 창출 역량도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ICT 산업이 국가 전체의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3%로 OECD 국가 중 3번째로 높았지만, ICT 서비스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은 3.8%로 OECD 회원국 38개국 중 28위에 그쳤습니다.
전경련은 디지털 전환이 가속하는 상황에서 핵심 역량인 ICT 서비스산업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의미라고 분석했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가별 디지털 경제 현황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7년 기준 전세계 ICT 서비스 수출에서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0.98%로, 21개 주요 수출국 중 21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오늘(22일) 밝혔습니다.
우리나라의 점유율은 중국(6.32%), 일본(1.07%) 등 아시아 경쟁국에 비해서도 낮게 나타났습니다.
컴퓨터 서비스와 정보·통신 서비스를 아우르는 ICT 서비스산업 수출 1위는 점유율 16.41%의 아일랜드였습니다.
전경련은 한국의 ICT 제조업 수출액이 중국에 이어 전 세계 2위인 점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ICT 분야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의미라고 분석했습니다.
컴퓨터, 전자기기, 광학제품 등 ICT 제조업의 2018년 기준 총 수출액은 중국이 5억2천850만달러로 1위였고, 우리나라는 2억5천663만달러로 2위를 차지했습니다.
국내 ICT 서비스산업의 경제적 가치 창출 역량도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ICT 산업이 국가 전체의 부가가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3%로 OECD 국가 중 3번째로 높았지만, ICT 서비스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은 3.8%로 OECD 회원국 38개국 중 28위에 그쳤습니다.
전경련은 디지털 전환이 가속하는 상황에서 핵심 역량인 ICT 서비스산업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의미라고 분석했습니다.
-
-
김현경 기자 hkkim@kbs.co.kr
김현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