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모작 심사기준 정확하게 공지해야”…예술위, 국내 문학상 운영 실태 조사

입력 2022.02.24 (12: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정한 문학상 운영을 위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문학인과 출판인들이 ‘응모작 심사기준의 정확한 공지’를 가장 많이 꼽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공정한 문학생태계 조성 노력의 하나로 지난해 8월 말부터 올해 초까지 약 4개월 동안 ‘공정한 문학 창작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내 문학상 운영 실태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 연구는 문학상 수상 관련 정책문건 분석, 문학 분야 전문가 서면면담과 심층면접, 창작인과 출판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분석, 전문가 집단토론회 등으로 이뤄졌습니다.

조사 결과 2021년 현재 국내에서 운영되는 문학상 수는 249개였고, 문학단체가 단독으로 운영하거나 정부·지자체, 출판사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특히, 지난해 249개 문학상 가운데 212개의 문학상에서는 심사 관련 기준과 구성 여부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창작자 264명이 응답한 설문조사에선 문학 분야에 입문하게 된 경로로 ▲신춘문예 당선 59명(22.3%), ▲신인문학상 수상 49명(18.6%), ▲작품집 출간 33명(12.5%) 순이었고, 76.5%가 문학상에 지원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문학상이 ‘실질적 작가의 자격 관행처럼 인식되고 있다’는 응답이 81명(40.1%)으로 가장 많았고, ‘공신력 있는 출판사에서 당선작을 책으로 출간하기 위해서’란 응답이 55명(27.2%)으로 나타나 문학상이 여전히 작가로 인정받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문학상 운영 주최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선 ‘기성작가의 좋은 작품을 대중에게 소개하거나 신인 작가 발굴’이 문학상 운영의 가장 큰 목적으로 나타났습니다.

문학상 심사방식은 ‘예심위원 위촉과 예심 내용 공개 이후 본심 진행’이나 ‘편집부 자체 운영
예심제도’ 형식이 가장 많았습니다.

공정한 문학상 운영을 위해 가장 시급한 제도 변화로는 ‘응모작 심사기준의 정확한 공지’를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고, ‘운영 전반에 대한 개선 필요’, ‘공모전 모집 방법’, ‘계약체결의 투명화와 제도화’, ‘수상작과 작가 처우’, ‘상금 지급이나 수령 방식의 변화’ 등이 거론됐습니다.

연구보고서는 현재 문학상 운영의 문제점 개선과 공정한 문학상 운영을 위해 ▲문학상 작품 선정, 심사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심사위원 풀을 공유하는 등 문학상 제도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과 보급, ▲문학상 출품작 아카이브 설립, ▲소통 플랫폼 제공(예:
불공정계약 접수) 등 불공정 사례와 피해자 보호 지원, ▲문학상 출품작 아카이브, 계약서 디지털화 등 온라인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표절, 저작권 보호를 위한 문학인 대상 전수자료 조사를 통한 정기적 현황조사 등을 제안했습니다.

예술위 관계자는 “앞으로도 문학 분야의 창작자와 출판사 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표준계약서 사용에 대한 안내와 설명회 개최를 비롯해 창작자들을 대상으로 저작권 교육을 시행하는 등 문학 분야의 공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출판계와 함께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응모작 심사기준 정확하게 공지해야”…예술위, 국내 문학상 운영 실태 조사
    • 입력 2022-02-24 12:33:47
    문화
공정한 문학상 운영을 위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문학인과 출판인들이 ‘응모작 심사기준의 정확한 공지’를 가장 많이 꼽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공정한 문학생태계 조성 노력의 하나로 지난해 8월 말부터 올해 초까지 약 4개월 동안 ‘공정한 문학 창작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내 문학상 운영 실태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 연구는 문학상 수상 관련 정책문건 분석, 문학 분야 전문가 서면면담과 심층면접, 창작인과 출판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분석, 전문가 집단토론회 등으로 이뤄졌습니다.

조사 결과 2021년 현재 국내에서 운영되는 문학상 수는 249개였고, 문학단체가 단독으로 운영하거나 정부·지자체, 출판사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특히, 지난해 249개 문학상 가운데 212개의 문학상에서는 심사 관련 기준과 구성 여부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창작자 264명이 응답한 설문조사에선 문학 분야에 입문하게 된 경로로 ▲신춘문예 당선 59명(22.3%), ▲신인문학상 수상 49명(18.6%), ▲작품집 출간 33명(12.5%) 순이었고, 76.5%가 문학상에 지원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문학상이 ‘실질적 작가의 자격 관행처럼 인식되고 있다’는 응답이 81명(40.1%)으로 가장 많았고, ‘공신력 있는 출판사에서 당선작을 책으로 출간하기 위해서’란 응답이 55명(27.2%)으로 나타나 문학상이 여전히 작가로 인정받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문학상 운영 주최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선 ‘기성작가의 좋은 작품을 대중에게 소개하거나 신인 작가 발굴’이 문학상 운영의 가장 큰 목적으로 나타났습니다.

문학상 심사방식은 ‘예심위원 위촉과 예심 내용 공개 이후 본심 진행’이나 ‘편집부 자체 운영
예심제도’ 형식이 가장 많았습니다.

공정한 문학상 운영을 위해 가장 시급한 제도 변화로는 ‘응모작 심사기준의 정확한 공지’를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고, ‘운영 전반에 대한 개선 필요’, ‘공모전 모집 방법’, ‘계약체결의 투명화와 제도화’, ‘수상작과 작가 처우’, ‘상금 지급이나 수령 방식의 변화’ 등이 거론됐습니다.

연구보고서는 현재 문학상 운영의 문제점 개선과 공정한 문학상 운영을 위해 ▲문학상 작품 선정, 심사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 ▲심사위원 풀을 공유하는 등 문학상 제도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과 보급, ▲문학상 출품작 아카이브 설립, ▲소통 플랫폼 제공(예:
불공정계약 접수) 등 불공정 사례와 피해자 보호 지원, ▲문학상 출품작 아카이브, 계약서 디지털화 등 온라인 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표절, 저작권 보호를 위한 문학인 대상 전수자료 조사를 통한 정기적 현황조사 등을 제안했습니다.

예술위 관계자는 “앞으로도 문학 분야의 창작자와 출판사 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표준계약서 사용에 대한 안내와 설명회 개최를 비롯해 창작자들을 대상으로 저작권 교육을 시행하는 등 문학 분야의 공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출판계와 함께 노력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