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본부장, 멕시코 방문…공급망 강화·FTA 확대 논의

입력 2022.02.28 (11:25) 수정 2022.02.28 (11: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공급망 협력 강화와 자유무역협정(FTA) 논의를 위해 오늘(28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멕시코를 방문한다고 산업부가 밝혔습니다.

여 본부장은 다음 달 1일 타티아나 클로우티에르 멕시코 경제부 장관과 회담을 하고 공급망 협력 강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을 제안·논의할 계획입니다.

멕시코는 이차전지와 반도체 생산 등에 사용되는 핵심자원의 세계적 생산국입니다. 아연 생산량이 세계 6위이며 구리는 10위, 납은 5위, 형석은 2위입니다.

한국과 원자재 공급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교환하고, 유사시 공급망 차질 가능성에도 사전에 공동 대응할 수 있는 유망한 파트너국으로 꼽힙니다.

특히 지난해 11월 중국발(發) 요소수 품귀 사태 당시 우리 측과 멕시코 기업이 긴급 네트워크를 가동해 차량용 요소수 공급 계약을 체결, 국내 시장 안정화에 기여했었습니다.

여 본부장은 멕시코 방문을 계기로 홀리오 호세 프라도 에콰도르 생산통상투자수산부 장관과도 회담하고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을 협의할 예정입니다.

에콰도르 또한 석유 매장량이 중남미 3위이고 금·은·구리·아연·니켈 등의 광물자원이 풍부해 공급망 다변화에 중요한 국가로 평가됩니다.

여 본부장은 두 국가 통상장관과 FTA 네트워크 확대 방안도 논의합니다.

우선 멕시코와는 FTA 협상 재개를 추진합니다.

멕시코는 우리나라의 중남미 1위 교역상대국으로 기아차·삼성전자·포스코 등 400여개 기업이 진출한 핵심 협력국임에도 FTA 논의가 2008년 협상 중단 이후 답보 상태였습니다.

지난해부터는 한-멕시코 통상장관회의와 실무접촉을 통해 협상 재개 선언을 위한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멕시코는 인구 1억3천만명의 거대 소비시장일 뿐 아니라 북미 3국 간 자유무역협정(USMCA) 참여국으로서 북미와 중남미를 연결하는 핵심 고리 역할을 합니다.

이에 따라 FTA가 체결되면 우리 업계의 수출·투자 여건 개선과 함께 공급망 다변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에콰도르와는 2016년 5차 협상 이후 중단된 전략적경제협력협정(SECA) 재개를 추진합니다.

산업부 관계자는 "칠레, 페루, 콜롬비아, 중미 5개국 등 기존의 중남미 지역 FTA에 이어 현재 진행 중인 메르코수르와의 협상이 결실을 보고 멕시코·에콰도르와의 협상까지 새롭게 추진되면 중남미 전체를 아우르는 통상 네트워크가 완성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통상본부장, 멕시코 방문…공급망 강화·FTA 확대 논의
    • 입력 2022-02-28 11:25:41
    • 수정2022-02-28 11:34:02
    경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공급망 협력 강화와 자유무역협정(FTA) 논의를 위해 오늘(28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멕시코를 방문한다고 산업부가 밝혔습니다.

여 본부장은 다음 달 1일 타티아나 클로우티에르 멕시코 경제부 장관과 회담을 하고 공급망 협력 강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을 제안·논의할 계획입니다.

멕시코는 이차전지와 반도체 생산 등에 사용되는 핵심자원의 세계적 생산국입니다. 아연 생산량이 세계 6위이며 구리는 10위, 납은 5위, 형석은 2위입니다.

한국과 원자재 공급 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교환하고, 유사시 공급망 차질 가능성에도 사전에 공동 대응할 수 있는 유망한 파트너국으로 꼽힙니다.

특히 지난해 11월 중국발(發) 요소수 품귀 사태 당시 우리 측과 멕시코 기업이 긴급 네트워크를 가동해 차량용 요소수 공급 계약을 체결, 국내 시장 안정화에 기여했었습니다.

여 본부장은 멕시코 방문을 계기로 홀리오 호세 프라도 에콰도르 생산통상투자수산부 장관과도 회담하고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을 협의할 예정입니다.

에콰도르 또한 석유 매장량이 중남미 3위이고 금·은·구리·아연·니켈 등의 광물자원이 풍부해 공급망 다변화에 중요한 국가로 평가됩니다.

여 본부장은 두 국가 통상장관과 FTA 네트워크 확대 방안도 논의합니다.

우선 멕시코와는 FTA 협상 재개를 추진합니다.

멕시코는 우리나라의 중남미 1위 교역상대국으로 기아차·삼성전자·포스코 등 400여개 기업이 진출한 핵심 협력국임에도 FTA 논의가 2008년 협상 중단 이후 답보 상태였습니다.

지난해부터는 한-멕시코 통상장관회의와 실무접촉을 통해 협상 재개 선언을 위한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멕시코는 인구 1억3천만명의 거대 소비시장일 뿐 아니라 북미 3국 간 자유무역협정(USMCA) 참여국으로서 북미와 중남미를 연결하는 핵심 고리 역할을 합니다.

이에 따라 FTA가 체결되면 우리 업계의 수출·투자 여건 개선과 함께 공급망 다변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에콰도르와는 2016년 5차 협상 이후 중단된 전략적경제협력협정(SECA) 재개를 추진합니다.

산업부 관계자는 "칠레, 페루, 콜롬비아, 중미 5개국 등 기존의 중남미 지역 FTA에 이어 현재 진행 중인 메르코수르와의 협상이 결실을 보고 멕시코·에콰도르와의 협상까지 새롭게 추진되면 중남미 전체를 아우르는 통상 네트워크가 완성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